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강북구]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728x170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우이동)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순례길 구간은 솔밭근린공원 상단부터 이준열사묘역 입구까지 2.3km에 이른다.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구간으로, 우리 조상의 불굴의 독립정신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이다. 헤이그밀사인 이준열사와 초대부통령이신 이시영선생의 묘소, 조국을 위해 꽃다운 청춘을 바친 17위의 광복국 합동 묘소 등 모두 12기의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으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잠들어 계신 4.19 민주묘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조상의 지혜가 담긴 자연친화적 다리인 섶다리와 계곡쉼터가 있어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구간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900-8086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 거리 : 2.3km
* 소요시간 : 약 1시간 10분
* 난이도 : 하
* 구간 : 솔밭근린공원 상단~이준열사묘역 입구



◎ 참고사항
※ 북한산 둘레길 스탬프 투어
각 구간별 포토포인트에서 인증사진 촬영 후 북한산국립공원내 운영장소에 제시
문의) 02-900-8087





서울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02서울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03서울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04서울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05



◎ 주위 관광 정보

⊙ 서울특별시교육청 도봉도서관


- 홈페이지
https://www.dblib.sen.go.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 556 (쌍문동)

서울의 명산인 북한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어 자연경관이 좋으며,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인근에는 백운초등학교와 덕성여대가 함께 있어 학생들이 이용하기 좋다. 1981년 개관 이래로 20만 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각종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 주민 들에게 널리 보급하고 있다.

* 대출정보 : 대출권수 1인 7권, 14일

⊙ 박을복자수박물관


- 홈페이지
http://embromuseum.com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49가길 53 (우이동)

북한산 백운대 자락에 위치한 박을복자수박물관은 전통자수와 근현대회화의 흐름을 결합시켜 한국 현대자수 발전에 기여한 박을복선생(1915~2015)의 업적을 기리는 한편 각종 문화예술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박을복 선생의 작품들을 전시하여 그동안 관람이 용이하지 않았던 감상 자수를 일반에게 선보여 문화향수의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 근현대 자수의 역사를 재정리해 놓았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을 위한 전통문화교육의 장으로, 문화예술체험 공간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은 초기부터 종합박물관의 성격과 여자대학의 특성을 살려 우리나라 여성들의 생활사를 살펴볼 수 있는 여성 생활 문화재를 집중적으로 수집 · 소장하고 있다. 유물은 총 2,367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분야별로 공예, 복식, 서화 등 분야가 다양하다. 특히 목공예와 복식유물은 수차례의 특별전과 국내외 전시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상설전시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특별전과 조사, 연구를 통해 전통문화의 체험과 교육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

⊙ 국립4.19민주묘지


- 홈페이지
http://419.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8길 17 (수유동)

삼각산(북한산) 기슭의 국립 4.19 묘지는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자행한 권력에 맞서다 1960년 4.19 혁명 때에 희생된 224분이 안장되어 있으며 이를 기리는 기념탑이 세워져 있다. 기념탑 중앙에는 의롭게 죽어간 이들을 기리는 탑문이 새겨져 있다. 135,901m²의 묘지 경내에는 소나무와 향나무, 주목과 단풍나무 등으로 아담하게 꾸며져 있으며, 1,652.9m² 규모의 기념관과 영정을 모신 유영봉 안소는 한식 목조건물이 330.58m² 규모로 확장되어 있다. 그 외에 상징문, 민주의 뿌리, 정의의 불꽃 등 조각 작품과 연못이 있으며, 보도블록을 예쁘게 깔아 놓은 산책로와 야외 의자도 있다. 벚꽃이 피는 5월, 공원에서 바라보는 삼각산(북한산)은 어머니 품과 같은 아늑함과 화려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일몰의 풍경은 장관이다.

⊙ 윤극영가옥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84길 5 (수유동)

서울특별시에선 근현대 문화유산 중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만한 가치가 있는 보물을 '서울 미래유산'으로 선정, 관리하고 있다. 국립 4·19민주묘지, 문익환 가옥 등이 여기에 꼽혔는데, 윤극영 가옥은 그 가운데 가장 먼저 선정됐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1920~3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윤극영은 동요 <반달>, <설날>, <우산 셋이 나란히>, <고드름> 등을 작곡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집인 <반달>을 제작해 '반달 할아버지'로도 불린다. 생전에 그가 머물렀던 가옥은 현재 반달 문화원으로 쓰이며 방문객들을 반갑게 맞이한다. 윤극영의 유품들이 전시된 공간은 오랜 세월의 흔적이 더해져 마치 할아버지댁에 온 것처럼 마음이 편안해진다. 은은하게 흐르는 동요 멜로디는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게 만든다.
가까운 곳에 국립 4.19 민주 묘지, 솔밭근린공원이 있다.

⊙ 법종사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354 (쌍문동)

서울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불교 사찰로 오대산 월정사 서울 포교원이다. 지상 5층으로 사찰 건물은 석탑 모양으로 높게 올려져 있다. 사찰 뒤편으로는 동네 야산과 같은 쌍문 근린공원이 있어 아름다운 자연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다.
주변으로 우이동에서 바라보는 북한산과 방학동에서 바라보는 도봉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우이선 솔밭공원역 1번 출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 보광사 보광선원(서울)


- 홈페이지
http://www.bokwangsa.org/main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45길 176 (우이동)

보광사(普光寺)는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76-19번지 삼각산에 자리한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 사찰이다. 소나무가 빼곡히 들어서 숲을 이룬 우이동의 솔밭공원을 지나 포장된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삼각산 기슭에 자리한 보광사에 닿는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이곳은 숲의 한가운데였지만 지금은 도심과 바로 이웃하고 있어 산을 한참이나 올라왔다는 것을 느끼지 못한다. 보광사는 1788년(정조 12) 금강산에서 수도한 원담 스님이 신원사를 창건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고 일부 건물만이 남아 법등을 겨우 이어 왔었다. 그러던 것을 1979년 남산당(南山堂) 정일(正日) 스님이 포교의 원을 세우고 이곳에 주석하면서 불사를 시작하여 1980년 11월 보광사로 절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스님은 가람을 일구어 오늘의 모습이 되도록 하였고, 대승경전 산림 법회와 참선 법회를 정기적으로 열어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과 선법을 전하여 스스로 바른길을 찾게 하였다. 이로써 보광사는 스님의 발원대로 명실상부한 포교의 도량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렇게 대중 교화에 혼을 쏟으셨던 정일 스님은 세연이 다해 2004년 열반에 드시고 말았다. 이후 보광사 대중들은 보다 발전적인 모습으로 스님의 뜻을 이어나가고 있다.


⊙ 서울도심등산관광센터


- 홈페이지
http://seoulhiking.or.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181-7, 5층

서울도심등산관광센터는 북한산 우이역 2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등산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북한산, 북악산, 인왕산 등 서울 도심 등산 관광 코스 및 정보 안내(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울관광 가이드북 및 지도 등의 홍보물을 제공한다. 또한 외국인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등산관광 체험 프로그램을 매주 진행하고 있으며 등산화·등산복·등산스틱·장갑·아이젠 등 등산용품 대여 서비스를 외국인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동반 내국인까지 대여가능함.) 한편, 유·무료 라커가 있어 짐을 보관할 수 있으며, 라운지에서는 휴식을 취하거나 함께 방문한 친구, 가족, 지인들과 추억을 남길 수 있다.

⊙ [북한산 둘레길] 1 소나무숲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portal/dulegil/bukhansan/index.do

- 북한산 둘레길 탐방안내센터
02-900-8086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12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 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소나무 숲길 구간은 우이 우이령길 입구에서부터 솔밭근린공원 상단까지 2.9km에 이른다. 웅장하면서도 우아한 자태가 신령스럽기까지 한 소나무. 그 소나무가 빼곡한 이 길은 넓고 완만하여 산책을 즐기기에 적합하다. 이 구간에 들어서면 강렬한 송진 향이 온몸을 감싸 상쾌함이 느껴진다. 또한, 일부 구간은 북한산 둘레길 중에서 유일하게 청정(우이) 계곡을 따라 시원한 물소리를 지척에서 들으며 걸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