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

[대구 동구] 봉무공원야영장

728x170

봉무공원야영장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50길 66 (봉무동)

봉무공원 야영장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했다. 대구광역시청을 기점으로 칠성 지하차도와 복현오거리를 거치면 도착한다. 소요시간은 약 20분이다. 이 캠핑장은 팔공산 자락에 자리 잡은 봉무공원 내에 있다. 봉무공원은 연중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나비와 애벌레를 관찰할 수 있는 나비정원, 무궁화를 중심으로 여러 수목이 어우러진 무궁화 동산, 오리 배를 탈 수 있는 대구수상월드 등 즐길 거리가 차고 넘치기 때문이다. 게다가 농구, 족구, 테니스 등이 가능한 체육시설, 어린이를 위한 미니 암벽등반장과 놀이터 등 부대시설이 다채롭다. 캠핑장은 총 10면인데 지정된 사이트 외 텐트 설치 시 강제 철거를 원칙으로 한다. 무엇보다 무료라는 점이 매력적인데 사전 예약 없이 이용객 자율로 선착순 이용이 가능하다. 화기를 이용한 취사는 가능하나 주차는 허용되지 않아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안내 초소에 비치된 운반 카트를 이용해 물품을 옮겨야 한다. 모닥불, 캠프파이어는 금지되고 동계 기간에 산불예방을 위해 야영장이 폐쇄된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여름,가을

- 문의및안내
053-662-3546

- 쉬는날
11월~다음해5월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회 3일이내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무료(선착순)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부대시설
놀이터,운동장,운동시설,마트.편의점



◎ 주요시설
소화기:21





봉무공원야영장_수상시설봉무공원야영장_운동시설봉무공원야영장_캠핑봉무공원야영장_화장실



◎ 주위 관광 정보

⊙ 땅땅식물랜드


- 홈페이지
http://plant.ttland.co.kr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220-2

인간은 자연과 함께 할 때 가장 편안하고 안정감을 가지게 되며 건강해진다고 한다. 2021년 9월 오픈한 땅땅식물랜드는 100석 규모의 실내식물체험장과 식물카페, 김경애식물연구소로 운영되고 있다. 식물은 인간의 생명을 건강하게 유지하게 하며, 산소 공급은 물론 생명 연장에도 큰 역할을 한다. 건강한 흙을 만지고 그 흙으로 한 생명(식물)을 키워 인간을 이롭게 하는 반려자가 되도록 땅땅식물랜드에서만 할 수 있는 식물체험을 통해 일상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경험을 즐겨 보자.

⊙ 치킨체험 테마파크 땅땅치킨랜드


- 홈페이지
http://ttland.co.kr/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220-2

2018년 9월 1일 땅땅랜드가 매년 여름 치맥 축제가 열리고 있는 치맥의 성지인 대구에서 오픈하였다. 대한민국 최초이자 최대의 치킨체험 테마파크인 땅땅랜드는 보고 만들고 먹고 즐기는 공간으로, 한 곳에서 4가지의 맛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의 장이다. 365일 공연과 치맥이 함께하는 땅땅랜드 주변에는 삼국시대의 210여기의 불로고분군(사적)이 자리하고 있으며, 수려한 경관의 단산지를 끼고 있는 봉무레포츠공원, 섬유박물관, 방짜유기박물관, 동화사, 시민안전테마파크, 팔공산 케이블카 등 함께 둘러볼 곳이 많아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 대구 불로동 고분군


- 홈페이지
https://dong.daegu.kr/main/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삼국시대 고분군, 불로동 고분공원 *

금호강이 흘러가는 동구 불로동 일대 야산에 200여기의 고분군이 있다. 불로동은 왕건이 동수전투(일명 : 공산전투)에서 패하여 도주하다 이 지역에 이르자 어른들은 피난가고 어린아이들만이 남아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고분들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미 일제 강점기 때 이 고분들을 조사한 적이 있는데 당시에는 경북 달성군 해안면에 속하여 해안면 고분군이라 불렀다. 이곳 불로동 고분들은 삼국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옛날 이 지역을 다스렸던 토착지배세력의 집단묘지로 추정된다.

* 불로동 고분군의 유물 *

불로동 고분군은 불로동과 입석동의 구릉에 분포하고 있었는데, 1938년 11월 입석동 쪽 고분 2기를 조사하여 해안면 고분으로 불려졌다. 그 뒤 1963년 12월과 이듬해 1월 두 차례에 걸쳐 경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불로동 고분 2기를 조사한 뒤 입석동 고분을 포함하여 대구 불로동 고분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봉토의 지름은 1∼28m 내외이고 높이는 4∼7m 정도이다. 전체적으로 불로동 고분군은 위치가 구릉이라는 점과 봉토 내부가 돌무지 무덤과 비슷하게 할석으로 축조된 점, 그리고 돌방이 지나치게 세장(細長)한 점 등이 구암동과 내당동 고분군과 유사하여, 같은 계열임을 짐작케 한다. 전체 고분군의 축조시기는 대략 5∼6세기에 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대구섬유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dtmuseum.org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227 (봉무동)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Daegu Textile Complex,DTC)섬유박물관은 대한민국의 유일의 종합섬유박물관으로,
우리나라 섬유·패션의 역사를 조망함과 함께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해 건립되었다. 섬유박물관의 전시공간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유관기관들이 참여함으로써 역사성과 전문성 등이 알차게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내외에는 실과 바늘,누에고치 컨셉 등으로 제작한 조형물들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볼거리를 더한다. 비즈니스와 문화가 어우러진 신개념 문화공간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많은 이들에게 섬유·패션에 대한 영감을 줄 수 있는 곳이다.

⊙ [대구올레 팔공산 6코스] 단산지 가는 길


- 홈페이지
http://dgcn.org/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불로동 (수성동4가)

'올레'란 제주어로 '거릿길에서 대문까지의, 집으로 통하는 아주 좁은 골목길'을 뜻한다. 제주올레와 함께 '느리게 걷는 여행'을 제안하며 대구녹색소비자연대에서는 2008년부터 '대구올레'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 봉무정


- 홈페이지
https://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327-7

봉무정은 불로동에서 팔공산쪽으로 큰 도로를 따라 약 1km 정도 가면 도로와 접하여 좌측에 불쑥 튀어 나온 나지막한 야산인 봉무토성의 동쪽 기슭에 주위로 방형의 토담으로 둘러쌓여 있다. 이 건물은 봉촌(鳳村) 최상룡(崔象龍) 선생이 동민들과 의논하여 1875년(고종 12)에 지은 것으로 동편에 덕교재(德敎齋), 서편에 예용재(禮用齋)의 양실과 중앙에 강당을 마련하고 있다. 동성편 양재는 선생이 만든 종약(宗約)과 동규(洞規)의 실시 상황 등 모든 동네 일에 대하여 동민들이 모여 의논하던 곳이고, 중앙강당은 동규를 가르치거나 각지에서 모인 여러 선비들이 사우회(士友會)를 열고 시문과 풍악으로 풍류를 즐기던 곳이었다. 건물의 동쪽과 북쪽에 대문이 있고 화강석 둥근 초석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운 납도리 5량가로 정면 13.2m, 측면 4.8m, 높이는 5m이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측면에는 내림지붕을 달아내었고 건물 정면의 중앙 3칸은 전면이 개방된 대청을 우물마루로 깔고, 양 협간 앞쪽으로 반칸의 툇마루를, 그 뛰쪽에는 온돌방을 대칭으로 각각 배치하였다.


⊙ 백원서원


- 홈페이지
http://www.dong.daegu.kr
http://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51길 18 (도동)

1597년(선조 30)에 창건되었으며, 이종학·김덕영·이여·이부의 위패를 모셨다. 1669년(현종 10)에 사액을 받았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