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시평생교육원

728x170

구미시평생교육원


- 홈페이지
http://www.gumi.go.kr/edu/

- 구미시평생교육원
054-480-4300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243 )

* 시민의 교육을 책임지는 구미시평생교육원
1996년 2월 21일 근로청소년복지회관과 여성복지회관을 통합하여 구미시민복지회관으로 개칭하였는데, 이후 2007년 7월 1일 구미시민복지회관을 구미시 평생교육원으로 개칭하였다. 교육원은 근로자, 시민에게 올바른 국가관과 건전한 생활관을 정립하고 여가선용 및 재능계발로 시민복지 증진을 주된 사업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주요행사로는 근로청소년대축제를 매년 개최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정서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구미시 평생교육원의 주요 사업
구미시 평생교육원은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정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소외계층 주민들을 위한 자격증 프로그램 개발·운영하고 있다. 또한 대학 위탁 프로그램 운영, 주문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이동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역 평생학습기관·단체 네트워킹, 지역 기관·단체 실무자 대상 연수, 워크숍, 세미나의 정기적 개최, 각종 평생학습 이벤트 개최, 지역 주민 평생학습 활동 지원, 평생학습전문가 양성과정 위탁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480-4300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예약안내
054-480-4300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체험프로그램
평생교육, 여성교육, 아동/가족 체험교육, 야은아카데미
※ 홈페이지 참조



◎ 주요시설
강의실, 대강당, 홍보 전시실





경북_구미_구미시평생교육원02경북_구미_구미시평생교육원03경북_구미_구미시평생교육원04경북_구미_구미시평생교육원05



◎ 주위 관광 정보

⊙ 구미시 낙동강 수상레포츠 체험센터


- 홈페이지
https://www.oleports.or.kr:6005/home/guide/guide_application.asp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326-20 (임수동)

낙동강의 풍부한 수자원과 잘 정비된 낙동강 수변을 중심으로 모든 시민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레저 스포츠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다채로운 수상 레포츠를 체험할 수 있는 구미시 낙동강 수상 레포츠 체험센터가 건립되었다. 카누, 카약, 윈드서핑, 패들보드 등 여러가지 수상 레포츠를 접해볼 수 있다.


⊙ 동락신나루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382-2번지

문화체육관광부 '강변문화관광개발계획'으로 조성된 시설로 나룻배 형상 건물 및 인근 수상레저스포츠 체험 시설이 있다. 나룻배 전망대에서는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으며, 나룻배 전망대 안에는 옛 전통 나루 문화의 활용, 전국의 나루터 및 인근 명소, 옛 나루의 모습이 담긴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동락신나루 주변에는 산책로와 쉬어갈 수 있는 의자 등이 있어 옛 나루 구경과 함께 자연에서 쉼을 만끽할 수 있다.

⊙ 동락서원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327-13 (임수동)

1610년(광해군 2) 장현광에 의해 부지암정사(不知岩精舍)로 창건되었다. 1665년(효종 6) 제자들에 의해 서원으로 승격되고, 1676년(숙종 2)에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그러나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32년 사당을, 1970년에는 부속건물도 복구하였다. 복원됨과 동시에 장경우(張慶遇)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 구미과학관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1로 219-1 (진평동)

구미의 명소인 동락동원에 위치하고 있는 공립과학관이다. 기초과학 원리 및 첨단과학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전시관과 국내수준급의 3D 천체투영관 (플라네타리움), 그리고 가상현실체험을 할 수 있는 4D영상관을 갖추고 있다. 또한 주말에는 가족들을 위한 과학체험교실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과학체험의 장을 마련하고 있어 과학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 인동향교


- 홈페이지
http://www.gumi.go.kr/tour/main.do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333 (임수동)

조선 중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현재의 향교는 1864년(고종 1)에 중건된 것이다. 고종 말기에는 인동국민학교의 전신인 옥성학원(玉城學院)이 설립되어 명륜당을 교사로 쓰기도 하였다. 동무(東廡)·서무(西廡)는 6·25 때 소실되었고 동재(東齋)·서재(西齋)도 그 뒤 철거되어 서재 자리에 관리사(管理舍)를 지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8칸의 명륜당, 신도문(神道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명륜당은 초익공오량가(初翼工五樑架)이며 工자형 지붕을 하고 있어 명륜당 건물로서는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 동락공원


- 홈페이지
http://www.gumi.go.kr/tour/main.do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1로 191 (진평동)

구미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낙동강을 따라 구미대교아래 임수동에서 칠곡군 석적면 중리까지 102천평의 면적에 수변형도시공원으로 조성된 동락공원은 세계 최초의 전자신종이 설치되어 있고 9.3㎢가 넘는 산책로와 49,213평의 넓은 잔디밭, 각종체육시설 및 편의시설이 갖춰져 시민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다.주요시설로는 얼마전에 개장한 민속정원과 국궁장, 로울러스케이트장,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배구장, 족구장, 게이트볼장, 배드민턴장 등이 있어 가족단위로 찾을 수 있는 곳으로 환영받고 있다.


⊙ 낙동강


- 홈페이지
http://tour.gb.go.kr/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남구미로 (공단동) 일대

낙동강은 유로연장 521.5km, 유역면적 23,817㎢으로 압록강(鴨綠江) 다음가는 한국 제2의 강이다. 강원 태백 함백산(咸白山 1,573m)에서 발원하여 상류부에서는 안동을 중심으로 반변천(半邊川)을 비롯한 여러 지류를 합치면서 서쪽으로 곡류하다가 함창(咸昌) 부근에서 다시 내성천(乃城川)·영강(嶺江) 등 여러 지류를 구심상(求心狀)으로 받아들이고, 유로(流路)를 남쪽으로 돌려 상주(尙州) 남쪽에서 위천(渭川)을, 선산(善山) 부근에서 감천(甘川), 대구(大邱) 부근에서 금호강(琴湖江), 남지(南旨) 부근에서 남강(南江)을 합친 뒤 동쪽으로 유로를 바꾸어 삼랑진(三浪津) 부근에서 밀양강(密陽江)을 합치고 나서 다시 남쪽으로 흘러 남해로 들어간다.

낙동강(洛東江)은 ‘가락국(또는 가야)의 동쪽을 흐르는 강’을 의미한다. 옛날 가야의 터전이었던 경북의 고령과 상주, 선산, 경남의 합천, 의령, 함안, 고성 지방은 모두 낙동강의 서쪽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이들 지역에서 보면 낙동강은 동쪽 편에 위치한다. 고려 시대 때 편찬된 <삼국유사>에는 낙동강을 ‘황산진’ 또는, ‘가야진’으로 표기했다. 그러나 조선 초기의 역사지리지인 <동국여지승람>에는 낙동강을 ‘낙수(洛水)’ 혹은 ‘낙동강’이라고 썼다. 이 책에는 ‘낙동강은 상주의 동쪽 36리에 있다’ 라는 기록이 있다. 18세기 이긍익이 지은 <연려실기술>에도 ‘낙동강은 상주의 동쪽을 말함이다’ 라고 적고 있고, 이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도 ‘낙동강’이란 이름이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낙동강의 이름은 조선 초기부터 사용됐다고 볼 수 있다.


⊙ 구미캠핑장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낙동제방길 200 (양호동)

구미 캠핑장은 경북 구미시 낙동제방길에 자리 잡고 있다. 구미시청을 기점으로 3㎞가량 떨어졌다. 자동차에 몸을 싣고 송정대로, 송원동로, 야은로를 차례로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이곳은 낙동강의 수려한 풍광을 배경으로 펼쳐진 대규모 캠핑장이다. 일반 야영장 157면과 카라반 13대를 갖췄다. 일반 야영장의 바닥은 모두 자갈로 이뤄졌다. 사이트 크기와 개수는 가로 9m 세로 9m 77면, 가로 4m 세로 5m 80면이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카라반은 세 종류로 나뉘며, 객실 내부 물품과 시설은 모두 동일하다. 객실 내부에는 침대,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이 있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다. 캠핑장은 사계절 내내 문을 연다.

캠핑장 인근에 금오산 도립공원, 금오랜드 등 유명 관광지가 빼곡하다. 관광지 주변에 여러 음식점이 성업 중이라 맘에 드는 요리도 맛볼 수 있다.

⊙ 새마을운동테마공원


-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55 (사곡동)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함께한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건립된 복합문화공간이다. 247,000㎡ 부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태동관은 1960년대를 전후로 겪은 보릿고개의 굶주림과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변화된 모습을 생생하게 전시하고 있다. 역사관은 1980년대 이후 새마을 운동의 성장기를 그리고 세계화관은 도움받는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성장한 우리나라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체험시설을 통해 새마을 운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의미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