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패러글라이딩파크
- 홈페이지
http://hcpp.kr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우회로 179
합천 패러글라이딩파크는 전용 활공장인 합천 대암산(591m)의 넓은 이륙장과 9,920㎡가 넘는 착륙장을 갖추고 있으며, 사계절 바람의 영향에 관계없이 비행할 수 있다. 패러글라이딩 교육 및 2인승 체험 비행 전문 패러글라이딩 교육기관으로서 국가대표 선수 등으로 구성된 국내 최고의 강사진으로 기본형, 상승형, 탐험형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륙장에서 바라보는 전경은 서쪽으로 지리산 천왕봉과 덕유산까지 뻗어 있는 백두대간의 멋진 풍경을 볼 수 있고 북쪽으로는 가야산을 동쪽으로는 넓은 들판과 창녕 화왕산을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풍광을 자랑한다. 합천 패러글라이딩 체험장은 중부내륙의 지리적인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부산, 대구, 창원과 접근성이 좋아 체험 비행자 및 동호인들이 즐겨 찾는 활공장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07-1327-6619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10:00~17:00
- 주차시설
가능
◎ 이용요금
- 일반코스 100,000원
- 익스트림코스 130,000원
- VIP코스 180,000원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 주위 관광 정보
⊙ 초계향교
- 홈페이지
https://www.hc.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교촌3길 18-4 (초계면)
초계향교는 조선 인조 6년(1628)에 세워졌으며, 1800년대 초반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그 밖의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남아있는 건물은 출입문인 풍화루,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등이 있다. 건물의 배치는 명륜당이 앞에 있고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 합천 운석충돌구
- 홈페이지
https://www.hc.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원당리 산42
합천 운석충돌구는 약 5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의 끝자락 시기에 지름 약 200미터 크기의 운석이 충돌하면서 만들어졌다. 평화로웠던 초계-적중 지역의 북동쪽 하늘로부터 초음속의 수십 배 속도로 떨어진 운석으로 1400메가톤이나 되는 운석 충돌 에너지가 발생했고 약 7㎞의 구덩이가 만들어졌으며, 충격파로 뜯기고 밀려나간 바위들은 구덩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높은 산지로 남게 되었다. 이 충돌 구덩이는 오랫동안 물을 가두는 호수가 되어, 최대 70m가 넘는 호수 퇴적층을 쌓았고 인류가 정착하면서 지금의 비옥한 분지를 만들게 되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이 분지를 시추코어 조사 및 광물 분석을 통해 운석 충돌에 의해 만들어진 분지라는 직접적인 증거들을 확인하였다. 거시적인 증거로는 시추코어 130m에서 충격 원뿔암이 발견되었고, 미시적인 증거로는 142m 깊이에서 발견된 충격 각력암층의 사암에서 강력한 충격을 받았을 때 생성되는 평면 변형구조가 확인되는 석영광물입자를 확인했다. 이러한 지질학적 운석 충돌 증거들을 다룬 논문이 국제학술지 ‘곤드와나리서치’에 등재되었고 합천 운석충돌구가 한반도 최초, 동아시아에서도 두 번째로 운석충돌로 형성된 지형임을 인정받았다.
⊙ 호연정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문림길 40-19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된 호연정은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에 위치한 조선 시대 정자이다. 조선 명종 때 주이가 예안 현감을 사직한 뒤 많은 학자를 길러낸 곳이라 전해진다. 본래의 정자는 임진왜란 때 불타 소실된 것을 후손들이 재건했다. 호연정은 명예와 물욕을 버린 채 호연히 돌아와 물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마음을 나타내는 호연지기에서 나온 뜻으로 호연정이라고 붙였다고 한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규모의 제법 큰 호연정은 팔각지붕 건물로 둥근 나무 기둥이 정자를 떠받치고 있다. 자연 상태 그대로의 나무를 이용하여 건축하고 다양한 양식이 혼합되어 있는 호연정은 조선 시대 정자 중 특이한 작품 중의 하나로 꼽힌다. 정자 앞에는 주이가 직접 심었다는 여러 그루의 대나무와 은행나무로 둘러싸여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경남 합천에 방문한다면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호연정을 꼭 한번 들러보길 추천한다.
⊙ 합천 옥전 고분군
- 홈페이지
https://www.hc.go.kr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낙동강의 한 지류인 황강변 구릉에 있는 4세기에서 6세기 전반에 조성된 가야고분군이다. 고분은 1,000여 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20∼30m의 지름을 가진 18기의 고분이 한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옥전 고분군은 최고 수장급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유물이 거의 다 있는 가야 지배자의 무덤으로, 용봉환두대도나 철제갑옷, 금동장투구, 철제말투구에서 가야문화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고분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발굴조사에 의하면 덧널무덤(목곽묘),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곽묘), 구덩계 앞트임식 돌방무덤(수혈계 횡구식 석실묘),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이 발견됐다. 무덤 안에서는 토기류, 철제무기류, 갑옷마구류, 장신구류 등이 많이 나왔다. 귀고리와 목걸이의 화려한 장식과 세공기술이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M2호분에서는 2,000여개가 넘는 구슬이 발견되었고, 구슬을 직접 만들었음을 알려주는 옥마저석이 발견되었다. 23호분에서 출토된 관모는 맨 윗부분에 금동봉이 있어 국내에는 예가 없는 희귀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이 고분들은 고구려문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삼국시대 정세와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옥전서원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황강옥전로 1510-60 (쌍책면)
초계 정씨의 시조인 정배걸이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정배걸은 고려 전기의 학자로 고려 현종 8년(1017)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는 데에 힘썼던 분이다. 옥전서원을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철종 12년(1861)과 1981년에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가운데 2칸은 마루로 구성하고 양 옆으로 온돌방을 두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양 옆 지붕 아래에는 바람을 막기 위한 풍판을 달았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사천시] 우천숲물놀이장 (3) | 2025.08.14 |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군승마공원 (7) | 2025.08.14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승마클럽 (8) | 2025.08.14 |
[경상남도 김해시] 비케이승마장 (7) | 2025.08.14 |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승마랜드 (6)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