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

[강원도 철원군] DMZ캠핑장

728x170

DMZ캠핑장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독서당길 225-134

DMZ캠핑장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위치하고 있다. 캠핑장 앞을 흐르는 개천에서 발을 담그며 놀기에 좋다. 자갈바닥 13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부대시설로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를 갖추고 있다. 개별 사이트에서 화로대 사용 가능하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 여름, 가을

- 문의및안내
010-4761-7283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 ~ 익일 12: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3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주요시설
안전시설 설비사항 소화기:7



◎ 부대시설
전기, 무선인터넷, 장작판매





DMZ캠핑장_전경3DMZ캠핑장_전경2DMZ캠핑장_전경DMZ캠핑장_계곡



◎ 주위 관광 정보

⊙ 포충사(철원)


- 홈페이지
https://www.cwg.go.kr/tour/index.do
http://www.cha.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1619년(광해군 11) 후금과의 전투에서 당시 선천군수로 전사한 김응하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건립하였다. 김응하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새로이 흥기하는 후금을 토벌하기 위하여 도원수 강홍립(姜弘立)과 같이 좌영 군병을 이끌고 출정하였는데, 부차령(富車嶺)의 전투에서 명나라 군사가 크게 패하자 이를 구원하다가 전사하였다. 명나라 신종(神宗)은 그를 요동백(遼東伯)에 추봉하였고, 조선에서도 영의정에 추증하였으며, 충무공(忠武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특히, 효종대에 들어와 북벌론(北伐論)의 일환으로 존명의리(尊明義理)가 강조되는 분위기 속에서 송덕비를 세우고 1665년 철원유생 임창립(任昌立) 등의 주동으로 그가 거처하던 곳에 사당을 세워 철원부사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1668년 철원유생들이 상소하여 포충사로 사액되었으며, 1871년(고종 8) 대원군에 의한 서원철폐 때에도 특별히 존속되었다. 이 건물은 6·25 때 불타버리고 현재는 비석만 남아 있다. 안동김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 김응하장군 묘비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산 1-1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위치한 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는 명나라에서 건주위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조선에 원군을 요청하자 좌영장이 되어 참전하였다가 전공을 세우고 이듬해 3월에 전사한 김응하 장군을 기리기 위한 묘이다. 철원의 대표적인 지정 문화재로 손꼽히는 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는 6·25전란으로 포충 사우는 소실되고 비만 남아 있었지만 철원의 유생 및 철원군수의 노력으로 다시 봉안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아이들과 함께 찾아와 조상들의 묘를 관광하는 것은 좋은 교육이 될 것 이다.

(출처 : 강원도청)

⊙ 역고드름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iyc21net/222255063818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평화로 3282-76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의 경계에 있는 3번 국도, 철원군을 알리는 경계 표지판을 앞두고 차탄천을 가로지르는 작은 교량을 건너면 역고드름을 알리는 표지판이 나타난다. 평화누리길 12코스가 끝나는 곳, 평화누리길 자전거길 7코스로도 연결되는 역고드름은 군남홍수조절지~역고드름까지 28.2km 구간에 있다. 역고드름(승빙)은 고대산 자락의 폐터널 속에 열리는데 낙숫물이 지면에 있는 빙주에 떨어지며 자라거나, 열 분자 압력으로 지하수가 상승하여 지상의 빙주 속에 들어가며 자라는 원리로 생긴다. 12월 중순부터 자라서 3월까지만 볼 수 있으며, 안전 문제로 외부 관람을 하는 것이 좋다.

⊙ 고대산캠핑리조트


- 홈페이지
고대산캠핑리조트 http://www.godaesanresort.co.kr/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고대산길 84-12 (신서면)

고대산캠핑리조트는 고대산 자락에 자리하며 수려한 풍경과 오염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휴식을 제공한다.
캐라반, 글램핑, 오토캠핑, 컨벤션센터, 베이스볼파크 등 캠핑, 야구, 등산, 레져 등을 한 공간에서 모두 즐길 수 있다.

⊙ 고대산


-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index.do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금강산 가는 길목, 경원선 철도가 끊겨 있는 철도중 단점인 연천군 신탄리역에 인접한 고대산(832.1m)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간직하고 있으며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이고 등산으로 북녘땅을 바라볼 수 있는 국내 유일한 곳으로 등산여행에는 안성맞춤이다. 고대산(高臺山)의 유래는 "큰고래" 라고 부르고 있으나, 이것은 신탄(薪炭)지명에서 연루된 것으로 보이며 "방고래"(땔나무를 사용하는 온돌방 구들장 밑으로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고랑을 고래하고 함)를 이르는 것으로 고대산은 골이 깊고 높아 고대산(高臺山)이라고 한다.

지형도에는 "높은 별자리와 같다" 는 뜻과 의미가 담긴 곳이라 하여 고태(高台)라고도 표기하였다. 고대산은 옛부터 광범한 산록과 울창한 산림으로 말미암아 임산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목재와 숯을 만드는데도 적합한 곳으로 부락으로 형성된 주막집들이 있다하여 신탄막(薪炭幕)이라는 지명으로 불리웠으며, 실질적으로 한국전쟁 이전에는 참숯이 유명했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또한, 1907년 11월 4일 의병진 150명과 임진강에서 의병들을 토벌하러 파견된 일본군 보병 제20연대 8중대와 연천에서 격전한 후 신탄막에서 흩어지고 의병진 60명이 고대산에서 다시 일본 군대와 치열하게 교전한 곳으로서, 우리 선열들의 용맹스러운 민족정기가 서려있는 곳이기도 하다.


⊙ 철원향교


- 홈페이지
http://tour.cwg.go.kr
http://www.cha.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금학로 591 (철원읍)

고려 태조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68년(선조 1) 지방유림이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으며, 1637년(인조 15) 박무(朴茂)·박화(朴花) 등의 주선으로 복원되었다. 1915년 군수 유흥순(柳興順)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증축하였다. 광복 이후 고아원으로도 사용되었고, 1950년 6·25동란 때 전소되었다가 1957년 현재의 위치에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맞배지붕 홑처마로 된 대성전을 비롯하여 4칸의 명륜당, 부속건물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과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소장전적은 6·25동란 때 모두 소실되었으며,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 신탄리역


- 홈페이지
https://www.letskorail.com/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고대산길 4

경원선의 대광리역과 백마고지역의 중간 역이다. 1913년 7월 10일 영업을 시작하였다. 1945년 8·15 광복과 동시에 북한에 귀속되었다가 1951년 수복되었다. 1971년 철도중단점 표지판을 설치하였다. 통근열차가 운행되며 여객, 승차권발매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남한측 최북단 종착역이었다가, 2012년 11월 20일 백마고지역이 연장 개통되면서 대광리역과 백마고지역의 중간역이 되었다. 코레일(Korail) 수도권동부본부 소속으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고대산길4(대광리 169-2)에 있다. 인근에 고대산이 있다.


⊙ 소이산


- 홈페이지
https://www.cwg.go.kr/tour/contents.do?key=56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소이산은 평야에 우뚝 솟은 362m의 작은 산으로 때묻지 않은 자연과 넓은 평야를 내려다보는 정상 전망은 그 위용을 자랑한다. 고려 시대부터 외적의 출연을 알리던 제1로 봉수대가 위치한 공간으로 한국전쟁 이전 화려했던 구 철원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을 철원역사의 중심이다.
또한 소이산 생태숲 녹색길이 조성되어 있다. 그동안 소이산은 군사 통제구역을 벗어나 지뢰밭과 민간인 통제 구역에 갇혀 수십 년간 사람의 발길을 거부해 왔다. 그러나 육군 제3007부대(6사단)와의 오랜 소이산 개방 협의와 적극적인 협조로 민관 군이 하나 되어 지금의 길을 열어놓았다.
지뢰지대의 안전과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펜스 설치는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산림과 어우러지며 때묻지 않은 자연 생태계는 찾는 이에게 큰마음의 안식을 주고 있다.
(출처: 철원 문화 관광)

⊙ 학저수지


- 홈페이지
https://www.cwg.go.kr/tour/selectTourCntntsWebView.do?tourNo=424&pageUnit=9&pageIndex=1&searchCnd=all&key=571&ctgry=35&sortTy=NM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학마을길 68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위치한 학저수지는 현 강산리, 중강리, 하갈리 등의 협곡에서 유입하는 수자원으로 1921년 일제가 설비하였다가 광복 후 중앙농지개량조합이 보수확장한 인공저수지이다. 학저수지에서 바라보는 노을이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출사를 오는 장소이기도 하다. 근방에는 도피안사가 있다. 도피안사는 도선국사가 신라 경문왕 5년(865)에 창건한 유서 깊은 고찰이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