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청도군] 하비리조트

728x170

하비리조트


- 홈페이지
http://hobbycaravan.co.kr/skin1/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지슬길 34-17

하비리조트는 공기 좋고 물 맑기로 소문난 경북 청도군에 위치하고 있다. 트렌디한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곳이다. 완벽한 단열을 자랑하는 미국 직수입 카라반과 4중 단열 글램핑장, 북카페를 함께 운영 중이다. 대구에서 30분 거리에 있다. 북카페 도서와 보드게임은 무료 대여가 가능하며 퇴실 시 꼭 반납해야 한다. 반려동물은 7kg 미만 소형견만 동반이 가능하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여름,가을,겨울

- 문의및안내
010-4736-3811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http://hobbycaravan.co.kr/skin1/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5:00~익일11: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주차요금
없음





◎ 이용요금
150,000원~39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하비리조트_카라반2하비리조트_카라반내부하비리조트_카라반내부2하비리조트_카라반내부3



◎ 주위 관광 정보

⊙ 신난다 글램핑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금천리 427-2

신난다 글램핑은 경북 청도군 각북면에 자리 잡고 있다. 캠핑장에는 반려견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글램핑 15개 동을 마련했다. 객실 간 거리가 넓어 프라이빗 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객실 내부에는 침대, 소파, 선반, 에어컨, 전기밥솥, 커피포트, TV 등을 비치했다. 외부 전용 데크에는 개수대, 테이블, 의자를 배치해 바비큐를 즐길 수 있다. 사계절 내내 평일 주말 쉬지 않고 운영한다.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캠핑장 주변에 비슬산 자연휴양림, 화원 자연휴양림, 그레이스 CC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가까운 거리에 청국장으로 유명한 식당 등 여러 음식점이 성업 중이다.

⊙ 남강서원(청도)


- 홈페이지
http://www.cheongdo.go.kr/open.content/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1길 62

1864년(숙종 20)에 오졸재(迂拙齋) 박한주(朴漢柱)와 국담(菊潭) 박수춘(朴壽春)을 배향하기 위해 사림의 건의로 창건되었다. 이후 1868년(고종 5)에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현재의 남강 서원은 밀양 박 씨 국담 공파 사우당 문중의 기부금으로 2000년에 건립하였다.

⊙ 성모솔숲마을


- 홈페이지
http://xn--hz2b1p00nmlapzt6t.kr/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송내길 166

성모솔숲마을은 천주교 대구 대교구 소속 피정의 집으로 환우나 힐링을 원하시는 사람들을 위한 휴양 시설이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는 마을이다.
특히 성당이 있어 매일 미사가 열려 카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성당 내부를 둘러보거나 소나무 숲길을 산책하며 잠시 쉬었다가 갈 수 있는 고요하고 평온한 마을이다.
마을의 소나무 숲은 청도군에서 소나무가 가장 많이 밀식된 지역이고 지하수도 미네랄이 풍부한 곳으로 심신의 안정과 건강을 회복하기에 천혜의 휴양지이다. 장기간 휴양이 필요한 사람이나 한달살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없이 휼륭한 공간이다.
개인이나 단체 피정도 가능하고 단식, 치유 피정, 장단기 피정 등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홈페이지를 살펴보고 개인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 비슬도예원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헐티로 787

경상북도 청도의 폐교를 활용한 비슬 도예원(도예가 김병열 운영)은 넓고 쾌적한 공간으로 도자기를 직접 만들고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학습장이다. 이 곳에서는 흙으로 컵, 그릇, 장식물 등 나만의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도예체험 뿐만 아니라 천연 염색체험과 감자, 고구마, 감, 딸기 등 계절별 농작물 수확체험 등의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약에 금가루를 섞어 빚은 신비스런 문양이 매력적인 '결정유자기'와 감물 도자기 등의 기능성 자기 작품 감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비슬도예원에는 가족 펜션이 마련되어 있어 여름방학과 휴가철에는 가족단위의 체험객들에게 인기이다. 사계절 언제든지 뛰어놀 수 있는 넓은 운동장에서 단체운동회와 캠프파이어를 즐길 수 있으며, 여름에는 시원하게 보낼 수 있는 야외 미니수영장이 개설되어 물놀이가 가능하다.

⊙ 비슬리조트관광농원 군불로


- 홈페이지
http://www.gunbulo.com/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낙산1길 51 (각북면)

비슬자연농원은 비슬산 자락에 자리 잡은 대구, 경북 최대의 자연농원으로 30,000여 평의 규모를 자랑한다. “초현대식 시설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동시에 향유할 수 있는 자연의 품으로 귀하를 모십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을 만큼 자연과 시설 규모가 뛰어나다. 따라서 기업체의 사원연수, 수련회 또는 대학과 종교단체, 사회단체 수련회,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자연학습체험장인 청소년 캠프장으로 인기가 높다. 대자연과 함께 숨 쉬는 깨끗한 자연 속에 인간의 심성이 함께 어우러지는 곳으로 자랑하는 만큼 인기가 높아 미리 예약을 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 용천사(청도)


- 홈페이지
청도군 문화관광 http://www.cheongdo.go.kr/open.content/tour/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헐티로 1375-9

용천사(湧泉寺)는 청도군 각북면 비슬산(琵瑟山)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청도 각북 용천사 가는 길, 산 능선을 타고 건장한 송전탑들 이어지고 비탈을 타고 내려오는 진달래 꽃불, 저를 한 마리 꽃소로 만드는 것도 산은 알지 못한다...” (이성복, 「호랑가시나무의 기억」중에서 )

맑고 깨끗한 계곡을 따라 비슬산 헐티재를 넘어 용천사 가는 길은 시인의 눈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답다. 산 능선을 타고 굽이굽이 산길을 넘어가면 길가에 천년 고찰 용천사가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다. 비슬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은 용천사(湧泉寺)는 신라 문무왕 10년(670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해동화엄전교(海東華嚴傳敎)의 10대 사찰 중 한 곳이다. 화엄 십찰은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세운 사찰인데 최치원(崔治遠)이 쓴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과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史)』에 절 이름이 나온다.『법장화상전』에 의하면 태백산 부석사(浮石寺), 원주 비마라사(毘摩羅寺),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지리산 화엄사(華嚴寺), 팔공산 미리사(美理寺), 계룡산 갑사(甲寺), 웅주 가야협 보원사(普願寺), 삼각산 청담사(靑潭寺) 10개 사찰을 말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이중 부석사와 비마라사·해인사·옥천사·범어사·화엄사 6개 사찰만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의상대사가 전파한 화엄사상을 널리 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불교 전성기에는 승려가 천여 명이나 되었고 주변에 자리 잡고 있던 암자들은 백련암, 청련암, 일련암, 남암, 서암, 내원암, 부도암 외 47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오랜 세월 속에 모두 없어져버렸다. 이미 24명의 도인이 나왔고 앞으로 104명의 도인이 나올 것이라는 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 중 3중창(1631년) 때의 것은 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만 남아 있고 다른 건물은 근대에 세워진 것이다.

고려 원종 8년(1267년) 일연 선사가 중창하여 불일사(佛日寺)라 칭하였다가 다시 용천사로 고치고, 임진왜란 후 인조 9년(1631년) 조영대사(租英大師)가 3중창하였으며 순조 5년(1805년) 의열 화주가 크게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물로서는 법당의 삼존불, 후불탱화, 나한십육존불, 영탱, 석조물 등이 있으며 불을 밝히는 데 사용하였던 정료대가 남아있고 절 오른쪽 골짜기에 고승들의 부도(浮屠) 6기가 이 절의 역사를 대변해주고 있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맑고 풍부한 석간수가 끊임없이 용솟음쳐 흘러내리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부쳐진 것이라고 전한다.이 용천의 샘물은 가물 때나 장마가 질 때도 늘 일정한 양의 맑은 물이 흐르고 사철 마르지 않으며 한겨울에도 어는 법이 없다고 한다. 1300년 전에도 흐르던 이 샘물은 지금도 여전히 중생들의 감로수가 되어 우리의 마른 목을 축여주고 있다.

⊙ 남지장사(대구)


- 홈페이지
http://namgijangsa.or.kr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길 127 (가창면)

남지장사는 최정산 남쪽 산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684년(신라 신문왕 4)에 양개 조사(陽价祖師)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현재까지 1300년 이상 지장보살님을 모시고 있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남지장사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명대사유정이 왜군에 맞서기 위해 승병 훈련장으로 이용하였다. 당시 사명대사가 이끄는 승병과 의병장 우배순이 거느린 의병의 수가 3천 명에 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왜군에게 점령되고 화재로 소실된 후 1653(효종3)년에 인혜에 의해 중건되었다. 1767년(영조43)년 모계와 풍흡이 중창하여 팔공산 동화사 부근 북지장사와 대칭되는 곳에 있는 절이라하여 절 이름을 남지장사로 변경된 것으로 전해지며 이전 절 이름은 전하지 않고 있다. 남지장사 대웅전 앞에 모계, 운계, 경운의 송덕비가 있으며, 부속암자로는 청련암과 백련암이 있다.

⊙ 청련암(대구)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길 127

남지장사에 속한 암자로 남지장사와 함께 신라 신문왕 4년(684) 쾅개 대사가 창건한 암자인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남지장사와 함께 효종 4년(1653)부터 영조 45년(1769)에 이르기까지 중건 보수되었다. 순조 6년(1806) 정월 초 17일에 다시 불이나 타 버렸는데, 2년 뒤 재건하였다. 이 때 영상 16위를 가설하였다.


⊙ 달성 조길방가옥


- 홈페이지
https://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조길방길 92-1

이 건물은 조선 숙종 34년(1708) 427평 대지 위에 건물 3동이 세워 진 집으로 싸리기둥에 칠기붓장(칠기나무로 된 보) 집으로 초가로는 드물게 보는 오래된 건물로 옛 모습이 잘 보존된 건물이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