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경주시] 서라벌대학교 승마장

728x170

서라벌대학교 승마장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알마을길 28-15 (충효동)

말산업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마사과가 있는 서라벌대학교는에서 운영하는 승마장이다. 넓고 쾌적한 승마장과 말 컨디션도 최상으로 유지하고 무엇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승마 강습을 받기 좋은 곳이다. 또한 말관련 실기특강과 이론, 기승능력인증제 등 말 관련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강의도 진행하고 있다. 승마문화 활성화와 승마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승마체험]과 지역의 장애인 재활을 돕기 위한 무료 [재활승마교육]을 진행한다. 승마는 말과 사람이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고, 신체의 평형성과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으로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자세교정과 신체건강은 물론 정신력 강화에도 도움이 되는 스포츠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770-3613 / 054-770-3675

- 수용인원
30명

- 쉬는날
설날, 추석 연휴 / 승마경기일 / 기타 사전공지일

- 예약안내
예약필수

- 이용시간
09:00~12:00 / 13:00~18:00

- 체험가능연령
48개월 이상 / 신장 90cm 이상





◎ 할인정보
경주시민 10% 할인



◎ 이용요금
8회 300.000원



◎ 대여안내
보유장비 대여



◎ 주요시설
원형실내승마장 / 실외승마장 / 강의실



◎ 부대시설
벤치



◎ 보유장비
승마조끼 / 안전모





서라벌대학교 승마장 (2)서라벌대학교 승마장 (3)서라벌대학교 승마장 (4)서라벌대학교 승마장 (5)서라벌대학교 승마장 (6)서라벌대학교 승마장 (7)서라벌대학교 승마장 (8)서라벌대학교 승마장 (10)서라벌대학교 승마장 (11)서라벌대학교 승마장 (9)서라벌대학교 승마장 (12)



◎ 주위 관광 정보

⊙ 경주 법흥왕릉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선도산(仙桃山) 서쪽 기슭을 이용하였으며, 규모는 크지 않고 표식의물(表飾儀物)도 없다. 다만 봉토(封土) 밑 주위에 드문드문 자연석의 일각이 노출되어 있어, 무열왕릉의 경우와 같이 여기에도 봉토 밑에 어떠한 호석(護石)시설이 있지 않았나 추측된다. 주변에는 소나무숲이 울창하나,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의 능묘로서는 매우 빈약하다. 기록에 애공사(哀公寺) 북쪽 봉우리에 법흥왕을 장사지냈다 하였는데, 지금의 효현동에는 애공사터라고 전하는 3층석탑이 1기 있고, 법흥왕릉은 이 탑의 북서쪽에 있으므로 신빙성이 있다고 하겠다.


⊙ 흥무로 벚꽃길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299-2

흥무로 벚꽃길은 경주터미널에서 형산강을 건너는 서천교를 지나 첫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면 만날 수 있다.이곳은 2007년 건설교통부에서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가운데 하나로 선정했다. 아름다운 길로 선정된 이유는 봄날에 흥무로를 찾는다면 자연스레 알게 될 것이다. 도로 양쪽에 선 아름드리 벚나무가 가지끼리 맞닿아 하늘을 가려 아름다운 벚꽃터널이 완성된다. 벚꽃 만발하는 봄이면 수많은 상춘객으로 도로가 주차장이 되니 자전거나 도보여행이 자동차 여행보다 도리어 빠를 수 있다. 여름은 초록대로, 가을은 단풍대로 아름답다.
*사진 출처: 경주문화관광 홈페이지, 경주시 공식 블로그

⊙ 경주 서악동 고분군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능남길 28 (서악동) 부근

경주 서악동 고분군은 경주시 서악동 무열왕릉 바로 뒷편의 구릉에 분포하는 4개의 대형 무덤을 가리킨다. 1964년 8월 29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고분들은 경주분지의 대형 고분과 비슷한 형태로 둥글게 흙을 쌓아 올린 원형봉토 고분이다. 아직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구조를 알 수는 없으나, 봉분이 거대한 점, 자연돌을 이용해 둘레돌을 두른 점 및 무열왕릉보다 높은 곳에 있는 점으로 보아 왕릉으로 추측하여, 안에는 나무로 된 네모난 방을 만들고 그 위와 주변에 돌무더기를 쌓은 돌무지덧널무덤 형식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들 고분이 분포한 지형은 선도산에서 서남으로 뻗은 능선 위에 있고 뒷산과 동서의 계곡 건너에 있는 능선 등을 종합해 볼 때, 풍수지리 사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무덤의 주인에 대해 첫 번째 무덤은 경주 법흥왕릉, 두 번째 무덤은 경주 진흥왕릉, 세 번째 무덤은 경주 진지왕릉, 네 번째 무덤은 문흥대왕릉 등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 서악서원


- 홈페이지
http://tour.gb.go.kr/
https://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2길 23

1651년(효종 2) 이정(李楨)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설총(薛聰)·김유신(金庾信)·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처음은 선도산(仙桃山) 아래 서악정사(西岳精舍)로 창건하여 향사를 지내오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0년(선조 33) 서원터의 초사(草舍)에 위패를 봉안하였다. 1602년 묘우(廟宇)를 신축하고 1610년 강당과 재사(齋舍)를 중건하였다. 1623년(인조 1) ‘西岳(서악)’이라고 사액되었다. 대원군의 서원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1873년에 중수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묘우, 5칸의 시습당(時習堂), 5칸의 절차헌(切嗟軒), 5칸의 조설헌(譟雪軒), 영귀루(詠歸樓), 3칸의 전사청(奠祀廳), 4칸의 고자실(庫子室), 도동문(道東門)·외문(外門)·내문(內門) 등이 있다. 묘우에는 설총·김유신·최치원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강당인 조설헌은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의 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시습당과 절차헌은 유생들이 공부하며 거처하는 곳이고, 영귀루는 누각이며, 전사청은 향례 때 제수(祭需)를 마련하여 두는 곳이고, 고자실은 고자들이 거처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2월 중정(中丁 : 두 번째 丁日)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7변(籩) 7두(豆)이다.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물로는 문집 몇 권이 있다. 재산으로는 대지 1,100여 평, 답 3,600여 평, 임야 3,400평 등이 있다.


⊙ 야호(夜好) 경주! 신라달빛기행(경주일원)


- 홈페이지
http://silla.or.k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2길 23 (서악동)

[야호(夜好) 경주! 신라달빛기행]은 신라문화원에서 주관하는 문화 행사이다. 신라문화원은 불교문화 대중화와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위해 1993년 설립되었으며 경주지역의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2004년 문화재청으로부터 사단법인 신라문화원으로 설립허가를 받았다. 2005년에는 제2회 대한민국 문화유산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경주를 방문하는 국내, 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주간에는 문화재 스토리텔링 투어를, 야간에는 신라 달밤 아래서 고택음악회와 소원을 담은 백등을 들고 첨성대, 계림, 월정교 등을 거니는 신라달빛기행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는 관광이 아닌 이해와 체험이 곁들인 맞춤형 패키지 관광프로그램이다.

⊙ 경주 김유신묘


- 홈페이지
https://gjfmc.or.kr/gjsiseol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2길 44-7

경주시 충효동 옥녀봉 능선에 위치한 김유신 장군의 묘로 674년(문무왕 14) 축조되었다. 김유신은 신라의 장군이자 재상으로 삼국을 통일한 공로가 컸으므로 문무왕은 비단 1,000필, 벼 2,000석을 내리고 군악고취 100명을 보내어 장사를 지내게 하며 비를 세워 공적을 새겨두고 수묘하는 백성을 배정해 주는 등 최고의 예를 베풀었다. 후에 흥덕왕대에 그를 흥무대왕으로 추봉하였다.
봉분은 30m에 달하는 큰 원형분으로 둘레에는 24장의 호석과 돌난간을 둘렀고 호석과 돌난간 사이의 바닥에는 돌을 깔았다. 그 무덤의 양식 또한 왕릉이나 다름없는 규모와 형태이다. 호석에는 12지신상이 새겨져 있는데, 대개의 경우 능을 지키는 수호신으로는 갑옷을 입은 조각들이 새겨져 있으나, 김유신 묘의 12지신상은 평복을 입고 무기를 들었다. 몸체는 정면을 보고 서 있으나,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주시하는 모습이 이색적이며 무장을 하지 않아 매우 온화해 보인다. 경주왕릉에는 몇 군데 지신상조각이 있으나 조각의 우수함이나 상의 거대함으로는 김유신묘를 따를 수 없다.
면적 1만 4143㎡로 경주시에서 관리하며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묘역에는 김유신장군의 위패를 모신 금산재의 비각이 있다.

⊙ 화랑마을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hwarang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석현로 123

화랑마을은 경주시에서 직영 중인 청소년 수련시설로 조경이 잘 되어있고,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힐링을 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다. 화랑의 정신과 문화를 재조명하여, 청소년 수련활동과 글로벌 체험관광 휴양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는 종합 힐링 체험 마을인 화랑마을은 도심과 멀지 않으면서도 국립공원 화랑지구에 자리하고 있으며, 가족단위 관광객들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전시관과 함께 뛰어놀 수 있는 어울마당, 아이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어린이 놀이터, 산책하기 좋은 코스 등 조경과 야경이 아름다운 경주시의 새로운 랜드마크이다.

⊙ 경주 무열왕릉, 태종무열왕릉비


- 홈페이지
경주문화관광 http://www.gyeongju.go.kr/tour
경주시설관리공단 https://gjfmc.or.kr/gjsiseol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능남길 10-4

경주 무열왕릉은 신라 제29대 태종(太宗) 무열왕(재위 654∼661, 김춘추)의 능이다. 경주 북서쪽에 있는 선도산(仙桃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해 있다. 김춘추는 신라 중대(中代)의 첫 진골(眞骨)출신 왕으로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병합하고 통일 대업의 기반을 닦았으나 통일을 완수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능은 밑둘레 114m, 높이 8.7m로 비교적 큰 편이며 능 아래쪽은 자연석을 쌓고 드문드문 큰 돌로 받쳤으나 지금은 흙 속에 묻혀 있다. 동쪽에 비석을 세웠던 돌거북 받침돌과 머릿돌이 남아있는데, 무열왕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金仁問)이 쓴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는 글씨가 돋을새김되어 있어 이 곳이 무열왕의 능임을 알 수 있다.

⊙ 흥무공원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9-2

흥무공원은 경북 경주시 충효동에 자리 잡고 있다. 김유신 장군묘 향하는 길에 흥무로가 있고, 흥무대왕으로 추존되었던 김유신 장군의 묘 인근에 있어 명칭이 흥무공원이다. 공원은 크지 않지만 넓은 잔디밭과 곳곳에 나무가 만들어주는 그늘이 있어 소풍을 즐기기 좋다.
*사진 출처: 경주시 공식 블로그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