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

[인천 강화군] [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개길

728x170

[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개길


- 홈페이지
강화나들길 http://www.nadeulgil.org
강화나들길 카페 http://cafe.daum.net/vita-walk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청하동길 24

강화나들길은 해안을 따라 1.3km마다 자리한 돈대와 강화산성, 고려왕릉을 돌며 강화도를 찬찬히 들여다보는 도보 여행길이다. 탐방로를 천천히 걸으며 강화도의 역사, 생태, 생활, 문화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길로 구성되며 총 20개 코스가 있다. 강화는 섬 전체가 박물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유적지가 많은 곳이다.
[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개길은 강화버스터미널에서 외포여객터미널까지 20.2㎞를 잇는 구간으로 6시간 40분 정도 소요된다. 옛사람들이 강화장터를 가기 위해 이용했던 길을 복원한 제5코스는 높지 않은 산길을 수 시간 동안 거닐며 삼림욕을 즐길 수 있다. 강화를 동서로 연결하던 옛길로 고천리에서 나무꾼과 장사꾼들이 등짐을 지고 고비고개를 넘어 강화장터로 가던 길과 2개의 저수지를 도는 풍경, 내가시장에서 만나는 소박한 시골장 풍경 등을 볼 수 있으며 덕산산림욕장의 상쾌한 숲길과 외포어시장의 볼거리는 도보여행의 진수를 느끼게 해준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2-930-3529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개길
* 강화버스터미널-외포여객터미널
* 거리 : 20.2km
* 소요시간 : 6시간 40분
* 구간 : 강화버스터미널 - 남문 - 서문 - 국화저수지 - 홍릉 - 오상리고인돌군 - 내가시장 - 덕산산림욕장 - 곶창굿당 - 망양돈대 - 외포여객터미널
* 완주도장 받는 곳
* 출발지 : 강화버스터미널 관광안내소, 준석상회
* 도착지 : 외포리 관광안내소, 성안정식당





인천_[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갯길01인천_[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갯길02인천_[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갯길03인천_[강화 나들길 제5코스] 고비고갯길04



◎ 주위 관광 정보

⊙ 소창체험관


- 홈페이지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rip/experience.jsp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20번길 8

소창 체험관은 1938년에 건축된 한옥과 염색공장이었던 옛 평화 직물 터를 2016년에 리모델링하며 꾸며졌다. 강화군 전통산업인 소창에 대한 전통문화유산 보존과 가치를 재조명하는 공간으로, 화문석에서 시작되는 강화의 직물산업 역사와 마지막 종착지인 소창 이야기에 대한 이해는 물론 소창 손수건 스탬프 체험, 다도 체험, 소창 직조 시연 체험이 상시로 운영되어 소창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다.

⊙ 김상용순절비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16

조선 인조 때 문신인 김상용 선생의 충절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명종 16년에 출생한 김상용 선생은 장렬 김번의 증손이며 척화파 김상헌의 형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우의정을 거쳐 인조 15년에 순국하였다. 김상용 선생의 증손들에 의해 세워진 비석의 내용은 병자호란 때 김상용 선생이 왕실의 종묘와 빈궁·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로 피난 온 이후 본 강화수비대의 안일한 전투 대응에 대한 지적과 강화성이 청에 의해 함락되고 김상용 선생이 손자와 함께 남문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순절하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선생의 위패는 선원면에 위치한 충렬사에 봉안하였다. 순절비는 1976년 강화군 사업의 일환으로 현 위치로 옮겨 세우던 중 숙종 때 세웠던 구비가 발견되어 현재 신·구비를 나란히 세웠다.

⊙ 용흥궁


- 홈페이지
강화군 문화관광 http://www.ganghwa.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6-1

조선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유수 정기세가 건물을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을 붙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용흥궁은 창덕궁의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