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도봉구] 창동문화체육센터

728x170

창동문화체육센터


- 홈페이지
www.dobongsiseol.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69길 132 (창동)

창동문화체육센터는 2005년 개장했으며 수영장과 헬스장을 비롯해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이다. 공연장, 체육관, 풋살구장, GX 스튜디오 등 여러 가지 대관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탈의실, 샤워장 등의 부대 시설을 갖췄으며 수영장에는 체온 유지를 위한 체온 회복실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엄선된 지도강사진을 선별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강습 프로그램 접수는 선착순으로 이루어진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901-5000

- 쉬는날
1, 3, 5주 일요일 / 법정 공휴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예약안내
02-901-5000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평일 06:00~22:00 / 토요일 06:00~18:00 / 일요일 09:00~18:00

- 주차시설
있음

- 주차요금
일반차량 - 10분당 500원
정기주차 - 월 30,000원
회원차량 - 3시간무료(이후 10분당 500원, 프로그램 이용일만 가능)





◎ 체험프로그램
수영 / 헬스 / 에어로빅 / 기구 필라테스 / 풋살



◎ 이용요금
프로그램별 상이



◎ 주요시설
[수영장]
* 시설규모 - 지하 2층 1,383 (412평), 6레인 및 유아풀
* 이용시간 - 06:00 ~ 22:00 (토요일 06:00 ~ 18:00, 일요일 09:00 ~ 18:00)
* 동시정원 - 105명 (1레인 17명)
* 프로그램 - 수영, 아쿠아로빅, 자유수영
[헬스장]
* 시설규모 - 지상 1층 313㎡ (77평)
* 이용시간 - 06:00 ~ 22:00 (토 06:00 ~ 18:00, 일 10:00 ~ 18:00)
* 동시정원 - 61명 (3.3㎡당 1명 기준)
* 프로그램 - 헬스, 스트레칭
[에어로빅실]
* 시설규모 - 지상 1층 167㎡ (51평)
* 이용시간 - 06:00 ~ 22:00
* 주요사업 : 강습프로그램
* 동시정원 - 30명
* 프로그램 - 에어로빅, 밸리댄스, 재즈댄스, 힙합댄스, 유아/어린이 발레, 어린이 힙합방송댄스
[실내체육관]
* 시설규모 - 지상 2층 944㎡ (286평)
* 이용시간 - 06:00 ~ 22:00 (토요일, 일요일 09:00 ~ 18:00)
* 주요사업 : 강습프로그램, 대관, 자유이용
* 동시정원 - 40명 (23.1㎡당 1명 기준)
* 프로그램 - 탁구, 농구
[다목적실I]
* 시설규모 - 지상 1층 124㎡ (41평)
* 이용시간 - 06:00 ~ 22:00
* 주요사업 : 강습프로그램
* 동시정원 - 25명 (3.3㎡당 1명 기준)
* 프로그램 - 필라테스, 국선도, 댄스스포츠, 댄스로빅,어린이밸리댄스, 노리아
[다목적실II]
* 시설규모 - 지상 1층 139㎡ (66평)
* 이용시간 - 06:00 ~ 22:00
* 주요사업 - 강습프로그램
* 동시정원 - 40명 (3.3㎡당 1명 기준)
* 프로그램 - 요가, 태보, 리권, 국선도, 밸리댄스, 댄스스포츠, 어린이재즈




◎ 부대시설
공연장, 식당, 매점 등





서울_도봉_창동문화체육센터02서울_도봉_창동문화체육센터03서울_도봉_창동문화체육센터04서울_도봉_창동문화체육센터05



◎ 주위 관광 정보

⊙ 금호스포츠센터


- 홈페이지
http://kumhosports.co.kr

- 금호스포츠센터
02-933-1805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5길 32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금호스포츠센터는 수영, 헬스, 에어로빅, 요가, 스피닝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 헬로애니멀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650 (방학동)

서울 도봉구 1호선 방학역 중랑천변에 위치한 실내 동물원이다. 작고 귀여운 파충류, 조류 등 50여 종의 작은 동물들이 있으며, 전문 사육사와 함께 동물들에 관해 설명을 들을 수 있고, 가까이에서 보고 만지면서 교감하고, 직접 먹이를 주며 관찰할 수 있다. 빌딩 지하에 주차공간이 있고 주말에는 도봉구청 주차장도 이용할 수 있다. 어린이와 함께 오는 이용객이 많지만, 이색 데이트로 오는 젊은 층도 늘고 있다.
인근에 중랑천 산책로가 있어 함께 나들이하기에 좋다.

⊙ 도봉문화원


- 홈페이지
도봉문화원 http://www.dobong.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552

도봉문화원은 1994년에 설립되어 도봉 지역의 역사와 다양한 문화 정보를 지역주민들에게 제공한다. 매달 온라인 문화학교와 문화원 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영화를 상영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고, 문화가 있는 날 공연과 전시를 열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 도봉구 문화자원봉사지원센터로서 봉사시간 인증과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매년 청명절에는 방학동 연산군 묘역서 조선 10대 임금 연산군에게 올리는 전통 제향인 연산군 청명제향을 올린다.

⊙ 초안산캠핑장


- 홈페이지
https://reservation.nowonsc.kr/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로5가길 66-107 (월계동)

서울 노원구에서 관리하는 초안산캠핑장. 사이트간 간격이 여유 있고,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 잔디밭 사이트, 유아 숲체험장 등 가족이 함께 즐길거리가 많은 곳이다. 서울 도심에 있는 캠핑장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둘리뮤지엄


- 홈페이지
http://www.doolymuseum.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1길 6 (쌍문동)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에 위치한 둘리 뮤지엄은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이뤄진 뮤지엄으로 각 공간마다 만화 속 에피소드를 테마로 꾸며져 있다. 아이들 눈높이에서 설명해 주는 도슨트 해설을 통해 둘리 세상을 여행할 수 있다. 1층 매직 어드벤처는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2층엔 코믹 테마타운이 있고, 3층은 드림 스테이지가 있다.

⊙ 초안산


- 홈페이지
노원구청 http://www.nowon.kr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 도봉구 창동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걸쳐 자리한 초안산은 겉으로 보기에는 집 근처 동산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들어서면 제법 우거진 수풀 사이로 여러 갈래의 길이 이어진다. 초안산 곳곳에 산재해 있는 조선시대 사대부ㆍ내시들의 묘를 살펴보며 '역사 공부'까지 더할 수 있다.

⊙ 삿갓봉근린공원


- 홈페이지
https://www.nowon.kr/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46 노원구어린이도서관

삿갓봉근린공원은 산책하기 좋은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아담한 공원이다.
산책길과 함께 곳곳에 운동기구들이 놓여 있고 나무그늘 의자가 많아서 산책과 운동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는 우레탄 바닥으로 되어있어서 안전하게 놀이를 할 수 있다.
바닥분수가 있으며 여름에는 한시적으로 에어바운스 물놀이장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하루에 총 6회 50분 운영 (10분 휴식) 운영한다.
주변에 주차공간이 없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노원우주학교


- 홈페이지
https://www.nowoncosmos.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05길 13 (중계동)

우주와 과학에 특화된 과학관이다. 미래를 향한 꿈과 희망을 담았으며, 우주의 역사, 공간에 대한 체험 중심 전시물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빅히스토리관과 코스모스관, 천체투영실 등으로 나뉜다.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체험 공간이다.

⊙ 김수영문학관


- 홈페이지
http://kimsuyoung.dobong.go.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32길 80 (방학동)

김수영문학관은 한국 문학의 대표적 자유시인 김수영을 기리고 자연과 문학이 어우러지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봉구에서 건립한 기념관이다. 도봉구는 김수영 시인이 생전에 시작(詩作) 생활했던 곳이고 그의 본가와 묘, 시비가 있다. 2013년 11월 27일 개관하여 시인의 작품과 일상 유물을 전시하고 명사 초청 강연, 인문학 강연, 시 낭독 행사 등을 꾸준히 열고 있다.
김수영 시인은 자유와 사랑을 노래한 우리나라의 시인이다. 1921년 11월 27일 서울 종로에서 8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암울한 현실 속에서 예술을 향한 열정을 가진 청년으로 성장했다. 1945년 광복 이후 가족과 함께 만주에서 서울로 돌아와 시 [묘정의 노래]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6.25전쟁과 3.15부정선거, 4.19혁명을 겪으며 통제와 억압의 시대에서 자유의 이상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그의 유명한 온몸의 시학을 탄생시켰다. 현대 문명과 현실을 비판하던 서정적 모더니스트에서 자유와 사랑, 저항을 부르짖는 참여시 작가로 변모하여 자조적인 성향과 특유의 강렬한 시적 표현이 특징인 독특한 시 세계를 형성했다.
왕성한 활동을 벌이던 중 1968년 6월 15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48세에 짧은 생을 마감했다. 김수영 사후, 김동리와 박목월을 비롯한 한국의 대표적 문인들이 주축이 되어 먼저 간 시인을 추모하고 그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사망 1주기를 맞아 서울 도봉산 기슭에 시비를 세웠다. 문인들과 독자들이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건립된 김수영의 시비에는 그의 대표작이자 마지막 작품인 시 [풀]이 새겨져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