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종로구]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728x170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 홈페이지
http://www.ijongno.co.kr/

-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02-745-6701~4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91 (혜화동)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은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문화체육시설이다. 수영, 헬스, 탁구, 에어로빅 등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들이 진행되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방학프로그램과 문화강좌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745-6701

- 쉬는날
공휴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홈페이지 : http://www.ijongno.co.kr/
전화 문의 : 02-745-6701~4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주차시설
가능

- 주차요금
기본 30분 1,000원, 초과 10분당 500원
※ 회원요금 - 3시간 무료(프로그램 이용요일만 가능)





◎ 강습안내
[수영교실] - 월,화,수,목,금 06:00~06:50 (성인남녀,청소년)



◎ 체험프로그램
수영, 헬스, 검도, 유도, 배드민턴, 탁구, 에어로빅, 인라인스케이트, 음악줄넘기, 특공무술, FC(축구) 등



◎ 주요시설
수영장, 헬스장, 체육관, 탁구장, 문화교실 등





서울_종로_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04서울_종로_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05



◎ 주위 관광 정보

⊙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 홈페이지
http://www.hlsi.co.kr/main/main.php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15길 32 (명륜1가)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은 아동과 청소년의 과학교육연구와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전문과학교육기관이다.
1993년 10월 18일 창립하여 전문 워크샵을 시작으로 청소년 전문과학교육을 시작했다. 종로에서 시작하여 목동, 반포, 강남, 잠실, 분당, 홍천에 7개의 과학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주제의 과학관이다.
유아, 초저, 초고 프로그램과 방학 프로그램 등 연령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 테마과학관
종로센터 : 한생연 융합교육과학관
반포센터 : 한생연 휴먼탐구과학관
강남센터 : 한생연 실험누리과학관
잠실센터 : 한생연 인간과로봇과학관
목동센터 : 한생연 생명과학박물관
분당센터 : 한생연 마이크로과학관
홍천센터 : 한생연 자연속과학체험관

⊙ 최순우 옛집


- 홈페이지
http://www.choisunu.com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5길 9 (성북동)

최순우 옛집은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을 찾고 알린 혜곡 최순우(미술사학자, 前 국립중앙박물관장, 1916~1984) 선생이 1976년부터 1984년 작고하실 때까지 사시던 집이다. 1930년대 근대 한옥인 기념관은 시민들의 성금으로 매입하여 보전된 내셔널트러스트 시민문화유산 제1호(등록문화재)로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기념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 한상수자수박물관


- 홈페이지
https://thssem.modoo.at/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6길 4-10 (성북동)

한상수자수박물관은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자수장 기능보유자 한상수 선생이 창설한 자수연구기관이다.
한국자수를 널리 알리고자 2005년 종로구 가회동 북촌한옥마을에 서울시 제20호 사립박물관으로 등록하고 학예 인력과 봉사자의 교육을 담당했다. 2016년 한상수 초대관장이 영면하신 후 한국자수의 보존과 발전에 온 생애를 헌신하고 한국자수계를 선도한 그의 작품과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선잠단 유적이 있는 서울시 성북동으로 이전하였다.
본관에서는 상설전시 예약관람, 체험 및 교육, 교류전시, 복원수주, 학술연구 등을 위해 [한상수자수문화유산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무료관람으로 해설도 들을 수 있고 아카데미 수업 외에 자수 일일체험도 있어서 전통자수를 경험해 볼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7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근처 성북동은 구 도심으로 볼거리가 가득하다.

⊙ JCC재능문화센터


- 홈페이지
http://www.jeijcc.org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길 29 (혜화동)

교육기업인 재능교육이 2015년 개관한 재능문화센터는 교육과 문화의 소통 공간이다. 음악 공연과 전시를 경험할 수 있는 아트센터와 강연, 토론, 퍼포먼스, 연구 등의 창의적 활동 공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은 세계적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꿈과 개성, 철학이 담긴 100년 건물’을 만들어 보자는 뜻으로 건립하였다고 한다.

⊙ 연우소극장


- 홈페이지
http://www.iyeonwoo.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길 21

창작극 불모 시대에 창작극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시작한 "연우무대" 는 한국 연극의 독자적인 공연 양식을 창출하기 위한 창작극 개발과 이에 따를 실험 작업으로 일관해왔으며, 이것이 오늘의 한국 연극에서 보여지는 창작극 활성화를 앞당겼음을 자부하고 있다. 연극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연극성을 개발해 온 "연우무대" 는 이제 한국 연극계에서 새로운 연극적 방식의 산실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성북동성당


- 홈페이지
http://www.sbsd.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 28 (성북동)

성북동 산책로 중심에 자리 잡은 성당으로 길상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마당 한가운데 서있는 성모상은 일반적인 성모상과 달리, 아기 예수 대신 성경책을 끌어안고 있으며 가르마를 탄 쪽진 머리도 인상적이다. 성북동을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볼 수 있는 장소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름다운 건축물을 배경 삼아 사진 찍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사랑받는 곳이다.

⊙ 서울 문묘와 성균관


- 홈페이지
http://www.skk.or.kr
http://www.cha.go.kr

- 주소
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31

유교를 집대성한 성인 공자를 비롯하여 옛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는 사당이자 국립 최고 교육기관이다. 중국 당(唐)나라 때 공자가 문선왕(文宣王)으로 추봉(追封)됨에 따라 문선왕묘라고 부르다가 원대(元代) 이후로 문묘라고 하였다. 유교 건축인 대성전과 학교 건축인 명륜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숙사였던 동, 서재 그리고 존경각, 향관청이 있다. 명륜당 앞쪽에는 천연기념물 제 59호인 은행나무가 있고, 봄.가을에는 공자를 위시한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석전을 올리고 있다. 문묘의 동·서 양재를 일명 성균관이라고 한다.


⊙ 상허이태준가옥(수연산방)


- 홈페이지
https://www.sb.go.kr/tour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6길 8 (성북동)

이 집은 상허 이태준이 1933년부터 1946년까지 살면서 많은 문학작품을 집필한 곳이다. 이태준은 이곳의 당호를 ''수연산방''이라 하고, 달밤, 돌다리, 코스모스피는 정원, 황진이, 왕자 호동 등 문학작품 집필에 전념하였다. 그의 수필 무서록에는 이 집을 지은 과정과 집터의 내력 등이 쓰여 있다.
이 집은 건물 중앙의 대청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에 건넌방, 오른쪽에 안방을 두어 T자형을 이루고 아담하면서도 화려하게 지어졌다. 이 건물의 안방 앞에는 누마루를 두고 그 뒤편에는 부엌과 화장실을 두어서, 공간의 기능을 집약시킨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누마루는 작은 규모의 집에서는 보기 드물게 섬세하고 화려하며 사랑방의 기능을 안채에 집약시켰다. 건넌방 앞에 놓인 툇마루는 건넌방보다 바닥을 약간 높이고 ''아(亞)''자 난간을 둘러서 세심하게 고려한 공간임을 느끼게 한다.

⊙ 성북문화원


- 홈페이지
성북문화원 http://www.isbcc.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4길 13-8 (동소문동1가)

성북문화원은 지역문화에 관한 사회교육 활동, 지역 환경보존 등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문화활동 및 기타 장학사업 등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토사의 조사, 연구 및 사료의 수집, 보존과 지역 고유문화의 계발하고 보존하며 지역 전통문화의 국내외 교류에 힘쓰고 있다. 또한, 지역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