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종로구]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728x170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portal/dulegil/bukhansan/index.do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평창동)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평창동길 구간은 평창동마을과 사자능선이 어우러진 길로, 형제봉 입구에서 탕춘대성암문 입구까지 5km에 이른다. 평창마을은 광해군 때 시행하던 대동법에 의해 조세를 관리하던 선해청 중에서 가장 큰 창고인 평창이 있던 곳이다. 선혜청이 있던 자리로서 재물이 모이는 땅이라는 이곳의 형세를 생각할 때 걷는 걸음마다도 신묘한 기운이 서린 듯 하다. 사자능선을 따라 상쾌한 산내음을 맡으며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서울을 대표로 하는 내사산인 북악산과 인왕산, 외사산인 북한산과 관악산을 두루 볼 수 있어 북한산의 조망과 더불어 주변 산의 멋진 경관까지 두 눈에 한 가득 담아 갈 수 있다.

*사자능선
두 마리의 사자가 하늘을 우러른 모습을 한 쌍사자봉은 보현봉을 지키는 듯한 수문장의 역할을 한다. 사자능선은 그 쌍사자봉과 연결된 능선으로 보현봉에서 구기동 삼거리 방향으로 떨어지는 능선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북한산 둘레길 탐방안내센터 02-900-8085~6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거리 : 5km
*소요시간 : 약 2시간 30분
*난이도 : 중
*구간 : 형제봉 입구~탕춘대성 암문입구



◎ 참고사항
※ 북한산 둘레길 스탬프 투어
각 구간별 포토포인트에서 인증사진 촬영 후 북한산국립공원내 운영장소에 제시
문의) 02-900-8087





서울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01서울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03서울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05서울 [북한산 둘레길] 6 평창마을길 04



◎ 주위 관광 정보

⊙ 수애뇨339


- 홈페이지
http://sueno339.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길 339 (평창동)

예술공간 수애뇨339는 예술 작품 전시, 음악 공연, 카페, 프라이빗 모임 등을 제공하는 복합 예술 공간이다. 건물 디자인은 ‘타워팰리스’, 전경련 회관 ‘세상의 모든 아침’을 디자인한 최시영(리빙엑시스 대표)씨의 첫 예술 문화 공간이다.

⊙ 김종영미술관


- 홈페이지
김종영미술관 http://www.kimchongyung.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30

김종영미술관은 한국 조각 예술사의 1세대 조각가이자 근대 추상 미술의 선구자라 불리우는 '우성(又誠) 김종영' (1915-1982)의 타계 20주기를 기념하여 건립되었다. 그의 삶과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 후진 양성에 매진하며 초창기 조각계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한 그 뜻을 기리며 조각 예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미술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종영미술관은 김종영의 작품들을 다각도로 보여주는 상설 전시를 기본으로 기획 전시와 우성 김종영 조각상 수상자전 등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개최하고 있다. 또한, 작가 정신이 있는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여 우성 김종영 조각상을 수상하고 작가들을 지원하여 한국 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며 다양한 예술에 관한 전시로 거듭나 현 미술계에 성장하는 미술관이 되고자 한다.

⊙ 상원미술관


- 홈페이지
상원미술관 http://www.imageroot.co.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1길 27 (평창동)

상원미술관은 공예/사진/디자인 전문 미술관으로 디자이너와 공예작가들의 내실있는 전시와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2003년 9월 23일, 2년간의 준비기간과 IT 기반하에 신축되는 다기능 미술관으로서 개관되었다. 또한, 시대의 문화와 사회를 반영하는 공예 작품과 디자인 작품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 수집, 보존하는 수장고, 자료실 등이 있으며, 연구기관인 민속공예 연구소, 공예디자인 연구소, 디지털디자인 연구소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한 상원미술관은 개관 이래 공예 디자인 전문 미술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꾸준하게 견지해왔으며, 앞으로도 공예와 디자인 분야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모색하고 전개해 나갈 것이다. 특히, 상원미술관은 부설 민속공예 연구소를 통해 사라져가는 민속공예의 발전적 계승, 모델의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개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상설전시관을 포함한 3개의 전시실에서 그 결과를 반영하는 완초공예, 박공예 등의 전시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 토탈미술관


- 홈페이지
토탈미술관 http://www.totalmuseum.org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8 (평창동)

미술관 기능의 확대와 함께 1992년 4월 북한산 자락에 개관한 토탈미술관은 서울 근교인 장흥에 있는 토탈 야외미술관의 서울 분관으로 설립 되었으며, 미술관 아카데미, 자료실, 아트숍, 야외 공연장 등이 있다.
전시회 이외에도 음악회, 이벤트, 강연, 세미나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 문화를 수용하는 종합문화공간으로 지역의 문화적 소양을 높이고자 설립되었다. 특히 회원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 프로그램과 미술관 음악회는 수준높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가나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www.ganaart.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28 (평창동)

1983년에 개관한 가나아트갤러리는 국내외 3백여 회의 기획전시 및 대규모 국제미술전 참가를 비롯한 미술문화의 발전과 미술 국제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가나아트갤러리는 미국 및 유럽 등 전 세계 미술 시장에서 세계 최고의 화랑들과 어깨를 나란히 견주어 당당히 인정받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수 십 여 차례의 국제아트페어/FIAC 참가(1985), 가나판화공방 개소(1987), 도서출판 가나아트 출범(1988), 파리 가나-보브르/Gana-Beaubourg개관(1995), 가나미술연구소(1996), 아트샵 개관(1997), 파리 국제공동체/cite des arts 참여(1996), 도예공방/양평 개소(1997), 작가 작업장/안성 설치(1997), 가나아트센터 개관(1998), (주)서울경매 출범(1999),(주)가나아트닷컴 출범(1999), 인사아트센터 개관(2000), 가나아뜰리에 개관(2001), 가나아카데미/인사동 설립(2002), 에꼴 드 가나/평창동 개원(2002) 등을 실현함으로써 미술선진화를 선도하고 있다.

가나아트갤러리의 전시는 개인초대전에서 작고거장의 유작전, 주제기획전 등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아우르며, 동서를 가로지르고 고금을 꿰뚫는 폭넓은 시야로 고미술과 현대미술 전시 등 통일성과 다양성을 구현해오고 있다. 한편, 가나아트갤러리는 전시기획 및 아카데미강좌 개설 등과 더불어 전시와 연계한 음악, 무용, 연극, 마임 등 타 장르와의 연계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보다 다양해진 관람객의 문화향수욕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 상명대학교 박물관


- 홈페이지
상명대학교 박물관 http://museum.smu.ac.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151

상명대학교 박물관은 설립자 계당 배상명 박사가 수집했던 유물들과 뜻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기증, 발굴, 유적 조사 및 수집을 통해 역사, 고고, 민속, 미술에 이르는 다양한 소장품 약 6,200점을 소장하고 있다. 그동안 상명대학교 박물관은 ‘김대환 기증 유물 특별전’, ‘미술 작품 기증전’, ‘소장 유물 특별전’ 등 특색 있는 기획전을 개최하였고 발굴 지표 조사 활동을 통하여 연구 조사 및 교육 활동에도 노력을 기울여왔다. '문화 유산의 정보화, 국제화, 대중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소중한 문화 유산을 보존, 전시하며 교육하는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 역시 수행하고 있다. 박물관에서는 앞으로 수준 높은 각종 기획전 외에도 교양 강좌와 문화 행사를 열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 평창동 갤러리 거리


-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tourMain.do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서울에서 갤러리가 많이 모여있는 지역으로 인사동, 사간동, 평창동 등을 꼽는다. 평창동은 북한산이 보이는 조용한 동네 일대에 갤러리와 음식점, 카페 등이 모여 있어 미술을 즐기는 사람뿐 아니라 이곳의 편한 분위기를 즐기며 산책하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 동네다. 1983년 개관한 가나아트센터는 이곳의 대표적 갤러리로 전시관, 야외 공연장, 아트숍이 모여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한국현대조각의 선구자인 우성 김종영 선생을 기념하는 김종영미술관, 갤러리와 카페가 함께 있는 키미(KIMI)아트 외에도 갤러리세줄, 디방, 토탈미술관, 아트 스페이스풀, 자하미술관 등 독특하고 다양한 콘셉트의 갤러리가 많다.


⊙ [북악하늘길 2산책로] 하늘교~성북천발원지


- 홈페이지
https://www.sb.go.kr/tour/mainPage.do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1968년 ‘1.21 사태(북한의 청와대 습격 시도사건)’ 때 김신조 등 북한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할 때 이용한 뒤 폐쇄된 길로 일명 북악산 "김신조 루트"로 불리며 41년간 군사통제구역이었다. 그동안 "걸을 수 없는 길"로 봉인됐던 이 길에 걷기 편한 산책로가 만들어지고 북악산 일대가 2010년 2월 27일, 41년 만에 개방되었다. 이곳은 40여 년간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아 생태적 가치가 높고 자연경관이 우수해 일명 ‘서울 속의 비무장지 (DMZ)’라고 불릴 정도로 천혜의 자연이 그대로 살아 숨 쉬고 있다. 북악스카이웨이 산책로는 "하늘길(Sky way)"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산 허리를 시원하게 감고 돌고 있어 서울 시내와 북한산, 북악산, 인왕산을 바라보며 걸을 수 있다.

⊙ [북악하늘길 3산책로] 북카페~숲속다리


- 홈페이지
https://www.sb.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41년 만에 개방된 산책로, 북악하늘길
1968년 ‘1.21사태(북한의 청와대 습격 시도사건)’ 때 김신조 등 북한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할 때 이용한 뒤 폐쇄된 길로 일명 북악산 `김신조 루트'로 불리며 41년간 군사통제구역이었다. 그동안 '걸을 수 없는 길'로 봉인됐던 이 길에 걷기 편한 산책로가 만들어지고 북악산 일대가 2010년 2월 27일, 41년 만에 개방되었다. 이곳은 40여 년간 사람들의 발길이 닫지 않아 생태적 가치가 높고 자연경관이 우수해 일명 ‘서울 속의 비무장지대(DMZ)’라고 불릴 정도로 천혜의 자연이 그대로 살아 숨쉬고 있다. 북악스카이웨이 산책로는 '하늘길(Sky way)'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산 허리를 시원하게 감고 돌고 있어 서울 시내와 북한산, 북악산, 인왕산을 바라보며 걸을 수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