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

[대구 군위군] 위천수변 테마파크

728x170

위천수변 테마파크


- 홈페이지
http://wcpark.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간동유원지길 8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위천 수변 테마파크는 캠핑장과 테마공원, 잔디광장, 생태연못, 야외 공연장, 분수대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캠핑장은 일반 야영장 38면으로 이뤄져 있는데 바닥 형태는 잔디이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세로 모두 8m이다. 사이트 옆에 주차를 하면 옆 텐트와 완벽하게 단절돼 프라이빗 한 캠핑이 가능하다. 남녀를 구분한 화장실이 6곳, 샤워실이 2곳, 개수대는 3곳이다. 개인 카라반과 트레일러도 동반 입장이 가능하며, 반려동물의 경우 크기와 상관없이 목줄과 입마개를 준비하면 대형견도 출입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 여름, 가을, 겨울

- 문의및안내
054-383-7778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가능

- 예약안내
http://wcpark.gunwi.go.kr/page/reservation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 ~ 익일 12: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25,000원 ~ 3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체험프로그램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 할인정보
시설사용료 전액감면 안내



◎ 주요시설
안전시설 설비사항 소화기:38



◎ 부대시설
전기, 무선인터넷, 장작판매, 온수, 트렘폴린, 물놀이장, 놀이터, 운동시설, 마트.편의점





위천수변 테마파크_카페위천수변 테마파크_주변풍경위천수변 테마파크_사이트위천수변 테마파크_공용시설



◎ 주위 관광 정보

⊙ 위천수변테마공원


- 홈페이지
http://wcpark.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간동유원지길 8

위천수변테마공원은 삼국유사의 고장, 살기 좋은 고장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시원한 위천이 흐르고 뒤로는 숲길탐방로가 조성되어 있어 최상의 트레킹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자연 친화적이고 편리성을 갖춘 테마가 있는 공원을 조성하여 점점 확산되고 있는 웰빙열풍과 여러분의 다양한 여가활동에 부응하고자 캠핑장을 갖춘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자연과 함께 이색적인 풍경의 사랑다리와 잔디광장, 물놀이장, 생태연못, 야외공연장, 숲길탐방로가 조화를 이룬 테마공원은 38구역을 수용할 수 있는 캠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군위 불로리 마애보살입상


- 홈페이지
http://www.gunwi.go.kr/tour
http://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이 마애보살상은 지면에서 약 7km높이의 암벽에 조각된 높이 2.4km의 입상으로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상의 형식은 머리에는 나발을 쓰고 형상은 턱을 넓게한 방형이고 보주를 박기 위한 운공을 뚫었고 목에는 삼도를 새겼다. 법의는 통견으로 하였고 발끝은 팔자 모양으로 좌우로 향하도록 하였다. 조각양식은 정면관으로 위아래의 조각기법이 같지 않으며 흉부 위쪽은 반입체적으로 반원각하고, 아래쪽은 얕게 부각하거나 선각함으로 회화적 표현을 가미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큰 편이다.

이것은 전설에 얽힌 것으로 조선 선조때 홍판교의 손자 장사람 응경은 대대로 큰 부자라 하루 위천을 건너온 손님이 백명이 넘어 손님접대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안여자는 너무 많은 손님 접대가 귀찮아 인각사의 시주하러 온 도승에게 시주는 원하는데로 줄테니 손님을 줄이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했다. 그리하여 스님의 말대로 박타산 지류 절벽암반에 미륵불상을 조각했더니 그때부터 차차 가산이 기울더니 망했다고 한다. 이곳에 살던 남양홍씨는 한사람씩 이곳을 떠나 불상반대방향인 영천, 의성 등지로 이사했다고 한다. 현재도 이곳에 치성을 다하여 기도하면 영험이 있다하여 많은 사람이 이 불암을 보호하고 있다.


⊙ 신흥사(군위)


- 홈페이지
http://www.gunwi.go.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고산길 262 신흥사

신흥사은 경북 군위군 우보면 도봉산 중턱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이다. 오른쪽 달산마을 방면으로 접어들어 산길로 약 3km 정도 오르면 과수원을 지나 신흥사가 나온다.지금은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 수많은 사찰이 역사의 뒤안길로 명멸해 갔고 일부만이 법등을 이어오면서 현존해 오고 있다. 차마 부처님의 오묘한 진리와 중생구제의 큰 뜻을 저버리지 못해 사바세계에 법신이 나투기를 소원하며 화려했던 영화를 뒤로 하고 그렇게 이어내려 오고 있는 것이다. 군위 신흥사는 어떻게 태어났고 어떻게 사라졌는지도 모를 만큼 산 속 깊은 곳에 퇴락한 채 은거하고 있는 작은 사찰이다. 이제는 그저 사하촌 촌부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뒷산 절간에 대한 옛날이야기로 치부되는 절집일 수도 있겠지만, 신흥사는 여느 사찰이 그랬던 것처럼 영화로운 시절과 중창의 시기, 퇴락의 시기를 겪고 지금은 고요함 속에 선정에 들어 있다.

자장율사가 창건한 신흥사느 매우 후미진 곳에 자리해 있다. 찾아가기도 용이롭지 못할 뿐더러 사세가 매우 기울어진 듯 보여 안타까운 마음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찾는 이의 시각일 뿐, 여기서 사는 이는 또다른 생각을 가질 수도 있는 양면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자장율사 여기를 택한 것도 분명 길지(吉地)였을 테고 앞뒤로 막힌 산이 수행도량으로 매우 적합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군위에서도 오지에 속하는 도봉산(道峰山) 자락에 있는 신흥암은 스러져가는 수백년 된 향나무 한 그루와 협소한 전각 2채, 요사 1동이 전부이지만 속세를 떠난 공부인의 막힘없는 수행도량으로 제격이다. 사실 신흥암은 골짜기 깊숙이 들어가게 되어야 이르는 곳이지만 정말로 사방이 뻥 뚫린 시원함을 자랑하는 묘한 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더욱, 신흥사는 고즈넉한 산사의 솔바람을 만끽하기에 충분한, 막힌 듯 막히지 않은 고요함을 자랑한다.


⊙ 봉강서원


- 홈페이지
http://www.gunwi.go.kr/tour
http://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화계봉산길 795

문익점(文益漸)과 문래(文萊), 문영(文英)을 기리기 위하여 1609년(광해군 1) 건립된 뒤에 두 차례나 소실되었던 것을 1861년(철종 12) 현재 위치로 이건하여 사액까지 받았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것을 1958년 현재의 서원 터에 문중의 후손들이 신실인 경현사, 삼문, 강당, 외삼문인 상의문, 충선공 유허비각 등을 복원하였다. 남평문씨(南平文氏) 종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으며, 해마다 3월 중정(中丁) 에 제사를 지낸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