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서울청소년수련관
서울청소년수련관
- 홈페이지
- 서울청소년수련관
02-2267-2914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11길 23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의 인격 형성과 균형 있는 성장을 돕기 위한 문화, 예술, 체육 등의 수련활동을 실시하여 청소년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국가관을 확립하게 하여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훌륭한 일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이다. 1970년에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사단법인 한국청소년육성회 전신)에서 건립하여 서울특별시에 기부 체납하였으며 사단법인 한국청소년육성회가 운영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2267-2914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월요일~금요일 06:00~22:00
토요일 09:00~22:00
일요일 09:00~18:00
- 주차시설
불가능
◎ 체험프로그램
청소년 동아리활동, 장애청소년 프로그램, 청소년 봉사활동, 청소년 수련활동 등
◎ 주요시설
휴게실, 카페테리아, 체력실, 세미나실, 상담실 외
◎ 주위 관광 정보
⊙ 오구반점
- 오구반점
02-2267-0516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수표로 60
1953년부터 운영해온 매장이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군만두다.
⊙ [백년가게]명동칼국수
- 명동칼국수
02-777-0075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1가 50-1
서울시 중구 시청역 인근에 위치한 ‘명동칼국수’는 칼국수 전문점으로 중소벤처기업부 백년가게로 선정된 바 있다. 이곳은 자가 제면한 쫄깃한 생면에 푹 고아 낸 한우 사골육수를 곁들인 칼국수를 맛볼 수 있고 얇은 피에 푸짐한 속 재료를 가득한 왕만두도 인기다. 겉절이 김치는 신선한 재료로 매일 아침 담가 제공하며, 대표자가 보약이라고 칭하는 진한 사골국물은 그 정성만큼 마음까지 든든하게 채워준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안동장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24
안동장은 을지로 3가 역 10번 출구에서 걸어서 1분 거리에 위치한 오랜 역사를 가진 중식당이다. 3대째 이어오는 중국요리 전문점으로 굴짬뽕이 유명하다. 기호에 따라 시원한 맛과 매운맛을 골라 먹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송이짬뽕, 삼선짬뽕, 삼선 울면, 삼선 우동, 쟁반짜장, 계란탕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좌석 사이 간격이 넓어 편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식사할 수 있다. 주차장이 따로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길 권한다.
⊙ 을지다방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24-1 (을지로3가) 2층
1985년 개업한 을지다방은 을지로3가역 10번 출구 근처에 위치해 있는 뉴트로 감성 물씬 풍기는 매력적인 카페다. 달걀노른자가 보름달처럼 담긴 쌍화차를 처음 접해보는 사람도 사장님의 친절한 설명에 금방 매니아가 되어버린다. 재개발로 인하여 지금의 장소에서 장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1 BTS 시즌그리팅 촬영 장소 중 하나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BTS 성지순례 코스가 되었다. 뉴트로 감성 물씬 풍기며 일찍이 핫플레이스였던 을지다방은 BTS로 인해 젊은 고객층으로 더욱 붐비고 있다.
⊙ 커피한약방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coffee_hanyakbang/
- 커피한약방 대표
070-4148-4242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12길 16-6 (을지로2가)
커피한약방은 옛 허준이 병자를 치료하던 혜민서 터를 개조한 카페로 이색적인 인테리어와 감성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을지로의 좁은 골목 안에 위치해 가게를 찾기에 조금 헤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커피한약방 내부에는 그 시절에 쓰이던 소품들과 골동품 등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다양한 포토존이 있다. 매장 안에서는 가정에서는 즐길 수 있는 드립 커피를 판매하고 있으며 금액 추가 시 한약처럼 보자기 선물포장이 가능하다. 대표메뉴는 수동으로 볶아 만든 커피메뉴들로 다양한 커피콩 종류가 구비되어 있어 취향에 맞게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 고당기념관
- 홈페이지
http://godang.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수표로 48-2 (저동2가)
‘조선의 간디’라 불리는 비폭력 무저항주의를 실천한 사상가이자 독립운동가인 고당(古堂) 조남식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이다. 1919년 3.1운동을 주도하고 1920년 물산장려운동회를 조직하여 사회운동을 전개, 해방 후에는 반탁운동을 주도했던 고당 선생은 1970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됐다. 기념관에는 고당 조만식 선생의 연보와 친필 휘호(1932년), 조선물산장려운동 포스터, 고당선생 동상건립 제막식 사진 등 벽면에 사진 기록물 위주로 전시되어 있다.
선생을 기리기 위해 1976년에 건립된 동상은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 내(동문과 후문 사이 위치)에 있다.
⊙ 가야성
- 가야성
02-2267-3939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9길 6
을지로 직장인들에게 인기있는 매장이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짜장면이다.
⊙ 전태일기념관
- 홈페이지
http://www.taeil.org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05 (관수동)
전태일기념관은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에 위치한 곳으로 노동운동가 청년 전태일의 일대기를 담아 그를 기념하기 위해 설립한 기념 공간이다. 청년 전태일이 활동했고 분신 항거로 했던 장소가 청계천이다. 기념관의 내부는 3충에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이 있고, 2층은 공연장과 휴게 공간, 1층에는 시민전시장이 있다. 관람은 3층부터 차례대로 하면 된다. 전시를 통해 전태일의 삻을 살펴볼 수 있는데 당시 시대상이 느껴진다. 또한 이곳은 전시와 함께 노동 운동과 관련된 공연, 교육프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 신석구 사택 터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수표동) 부근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인 신석구가 1919년 3·1운동 당시 살던 곳이다. 신석구(1875~1950)는 1907년 기독교에 입교하여 이듬해 세례를 받고 협성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했다. 경기도와 강원도 등지에서 전도사로 일하다가 1917년 9월 남감리교연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18년 11월부터 서울 수표교교회 담임 목사로 재임하던 중 오화영의 권유를 받고 3·1운동 민족대표로 참여했다. 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일경에 붙잡혀 2년 8개월 간 옥고를 치렀다. 1938년 7월 신사참배 반대투쟁을 일으켜 옥고를 치렀으며, 1945년 5월 일제가 강요한 전승기원 예배와 일장기 계양 등을 거부하는 활동을 펼치다 연행되어 감옥에서 해방을 맞았다. 1949년 4월 19일 진남포 반공비밀결사 사건의 주모자로 체포되어 평양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6·25전쟁 때 희생되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