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나비마을 서울시캠핑장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 2025. 2. 6. 14:15
반응형

함평나비마을 서울시캠핑장


- 홈페이지
https://www.seoul.go.kr/storyw/campingjang/hampyeong.do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장로 730

함평 나비마을 서울캠핑장은 서울시에서 (구) 성남초교인 지방 폐교를 새롭게 활성화한 곳으로, 함평군 함평읍 함장로에 있다. 2017년 3월 개장했으며, 19100 ㎡(5,800평)이다. 야영장은 야영텐트 20면, 개인 카라반 21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용인원은 연 10,000명(1일 80명)이다. 야영장은 모두 데크 사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텐트(4~5인용), 매트리스, 피크닉 테이블, 화덕, 전기시설의 기본 도구들이 무료로 제공된다. 편의시설은 샤워장, 화장실, 취사장, 부설 주차장 등이 있다. 이곳은 작지만 알찬 캠핑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폐교를 활용한 교실 내 바둑실, 북카페, 탁구 교실 등 편의시설은 물론 사슴 우리, 트램펄린, 모래놀이장 등의 놀이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여름에는 간이수영장을 개장해 더위를 달랠 수 있어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여름,가을

- 문의및안내
061-324-6251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예약안내
서울시청 홈페이지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3:00~익일 11: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25,3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부대시설
매점 / 화장실 / 샤워실 / 놀이방



◎ 주요시설
데크





함평나비마을 서울캠핑장 공용화장실함평나비마을 서울캠핑장 매점함평나비마을 서울캠핑장 실내놀이시설함평나비마을 서울캠핑장 전경





◎ 주위 관광 정보

⊙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 홈페이지
https://tour.muan.go.kr/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백로로 266-1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백로와 왜가리가 번식하는 장소 중의 하나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및 보호하고 있다.
백로는 주로 열대에서 온대에 이르는 전 세계에 널리 번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번식한다.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하천, 호수, 간석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주로 소나무, 은행나무 등에 둥지를 만들어 번식한다.
왜가리는 우리나라의 백로과 조류 중에서 제일 큰 새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번식하는 여름새이다. 일부 적은 무리는 남쪽지방과 섬지방에서 겨울을 나는 텃새이다. 논, 하천, 해안, 간석지에서 살며 개구리, 물고기, 뱀 등을 잡아먹는다.
무안 용월리의 마을 앞 저수지에 있는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에는 약 500마리의 왜가리가 4그루의 팽나무에 둥지를 틀어 번식하고 있다. 또한 마을 앞 청룡산 번식지에는 약 600마리 정도의 백로와 왜가리가 집단 번식하고 있다. 이곳에는 매년 3~4월경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월동한 백로와 왜가리가 이곳을 찾아와 가족을 이루어 번식하고 10월이면 동남아시아의 월동지로 다시 남하하여 이동하곤 한다. 마을에서는 백로와 왜가리가 서식하면서부터 마을에 액운이 없고 행운을 안겨준다고 여기며 번식지 보호에 힘쓰고 있다.

⊙ 황금박쥐 생태전시관


- 홈페이지
https://www.hampyeong.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곤재로 36-13

황금박쥐 생태전시관은 함평 화양 근린공원 안, 함평 열매공원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축제 행사장에서 거리가 좀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은 평상시에는 관람할 수 없고 함평 나비 대축제, 대한민국 국향대전 축제 기간 중에만 관람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관으로 이곳 축제 현장을 방문한 여행객들을 위해 무료로 운영되는 곳이다. 이곳은 멸종 위기 희귀동물인 황금박쥐가 함평에서 서식하고 있는 점을 활용하여 박쥐의 생태체험 및 자연 생태 보존과 야생 희귀동물 보존 등을 알리기 위해 조성된 공간이다. 전시관 입구는 박쥐들이 좋아할 만한 동굴처럼 꾸며져 있고 박쥐에 관한 다양한 전시물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박쥐의 분류와 생태, 박쥐의 응용 분야 및 전통 속의 박쥐 등 박쥐에 대한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는 학습공간이다.
이곳의 대표적인 전시물인 황금박쥐는 순금 162kg, 은 281kg로 만들어졌는데 함평 야산 동굴에서 162마리의 황금박쥐 발견을 계기로 제작됐으며 당시 28억을 들여 제작했으나 이후 금값이 상승하며 현재 추정가격 140억 원에 달하고 있다. 황금박쥐상은 함평 축제 기간 많은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으며 여러 매체에서 대서특필되는 등 함평 홍보 마스코트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함평의 축제 기간에 이곳을 찾는다면 둘러볼 만한 곳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화양근린공원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내교리

⊙ 함평엑스포공원 물놀이장


- 홈페이지
https://www.hampyeong.go.kr/expopark/#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곤재로 27

광주와 근접하여 접근성이 뛰어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설로 여름시즌 약 한 달여간 운영하며 함평엑스포공원 입구에 위치해 있다.
수영장 특유의 락스냄새가 나지 않는 100% 수돗물을 사용하여 피부가 예민한 사람들이나 아이들이 마음 편하게 즐길 수 있다. 파도가 치는 파도풀에서 짜릿하고 신나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워터슬라이드 풀장은 인기있는 시설로 키 130cm 이상부터 탈 수 있다. 또한, 전용 어린이풀과 어른 무릎높이 깊이의 유아풀이 있어 아이들이 안전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구명조끼를 착용하여야만 입수가 가능하고 안전요원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안전하게 물놀이가 가능하다. 물놀이장내로 배달음식을 전달받을 수 있어 방문객들로 하여금 매우 높은 호응을 바고 있다.
물놀이장 인근에는 휴식과 힐링의 도보길인 함평천지길이 조성되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보광사(함평)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한재골길 26-32 (함평읍)

보광사는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289번지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백양사의 말사이다. 절의 창건은 1924년 모진택이 처음 집을짓고 별당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1938년 무렵 용천사(龍泉寺)의 신도에 의해 포교당으로 설립되었다가,1942년에 모성월(毛性月, 1886~1979) 스님이 원명(圓明) 스님과 김남하(金南夏) 포교사 등과 함께 인수, 지금의 보광사로 만들면서 본격적 사찰로 경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명(英明) 스님을 거쳐 현재 법홍(法弘) 스님이 주석하고 있다. 현재 절에는 극락보전과 요사 및 종각 등의 건물이 있고, 종각에 있는 범종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되어 있다.

범종은 법당 왼쪽의 범종각에 보관되어 있는 종이다. 원래는 무안 원갑사의 종이었으나 폐사되자, 함평의 용천사를 거쳐 한국 전쟁의 혼란을 피해 1967년 현 위치에 옮겨진 것이라 한다. 형태를 보면,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는 2마리의 용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고, 용의 다리와 종을 연결하여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 몸통 윗부분은 2줄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8자의 범자를 새겼다. 그 아래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있고, 안에 돌출된 9개의 유두가 배치되어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보살입상을 양각하였다. 몸통 아래쪽에는 넓은 두 줄의 도드라진 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글이 있어, 이 종이 영조 43년(1767)에 만든 것임을 말해준다.

범종의 크기는 높이 2.1m, 윗둘레 2m, 밑둘레 2.65m, 직경 0.83m이다. 종의 형태는 정상부에 용뉴와 상대, 종신(鐘身), 유곽(乳廓), 보살상 등을 갖추었으나 당좌(撞座)와 하대를 생략하였다. 정상부의 용뉴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용의 다리를 종신과 접착시켜 그 무게를 지탱하게 하고 있다.상대에는 두 줄의 돌출대를 두르고 그 안에 8자의 범자(梵字)를 새겼다. 종신 상단에는 전후좌우면에 두광(頭光)을 갖춘 보살입상을 양각하였으며 그 사이의 4면에는 사각형의 유곽을 획정하고 그 안에 9개의 유두를 돌출시켰다.

몸체 하단에는 넓은 두 줄의 돌출대를 두르고 그 사이에 ‘정해삼월’이라는 명문을 새겨 놓았다. 이 명문에 따르면 범종의 조성연대는 18세기 후반인 1767년(영조 43)으로 추정된다. 이 범종은 정상부에서 음통은 물론 당좌와 하대 등을 생략하는 간략화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18세기에 조성되는 범종의 높이가 1m를 넘지 못하는 경향에 비추어 보면 그 규모가 큰 편에 속하며 소리가 해맑아 우수한 범종으로 평가된다.


⊙ 인루트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영산로 3280

무안 IC에서 3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브런치 카페로 자연과 어우러진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곳이다. 넓은 주차장과 테라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양한 브런치 메뉴와 수제 디저트가 있어 가족 단위 손님들이 즐겨 찾는다. 인루트는 환경 보호를 위해 모든 음료를 다회용 컵에 제공하고 있다. 하얀색 벽돌의 건물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사진 명소로도 유명하여,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에스프레소 바나나, 자몽에이드를 비롯한 각종 커피, 음료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자산서원, 봉산대첩화승비 등의 유적지가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착용, 배변봉투 지참)

⊙ 함평엑스포공원나비곤충생태관

- 홈페이지
https://www.hampyeong.go.kr/expopark/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장로 1160

함평엑스포공원 나비곤충생태관은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한 교육 및 체험 공간으로, 다양한 나비와 곤충들을 관찰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국내의 다양한 나비와 곤충들을 전시하며, 생태계와 자연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인 장소이다.

⊙ 함평자동차극장


- 홈페이지
https://hpcc.moonhwain.net:451/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장로 1160

함평 자동차 극장은 함평 엑스포공원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차장에서 차에 앉아 영화를 볼 수 있는 야외극장이다. 주로 밤에 영화 상영이 시작되기 때문에 일찍 이곳을 찾는다면 근처의 공원을 구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앞의 영화가 끝나기 전에는 공원 주차장에서 기다렸다가 입장할 수 있다. 입장 시간이 되면 매표소에 불이 켜지며 차례대로 차들이 입장하는데 이곳에서 현장 발권도 가능하지만, 인터넷으로 미리 예매하면 편하다.
관람료는 1대당 2만 원이며 승용차가 앞쪽, SUV 차량은 뒤쪽에 자리를 배정받는 게 보통이다. 배정받은 자리에 주차하면 시동을 끄지 말고 라디오 주파수를 맞추어야 하는데, 시동을 끌 경우 방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주파수를 몇 번으로 해야 하는지는 직원이 친절히 설명해 준다. 간식을 챙기고 편안히 영화를 즐기면 된다. 독립된 공간에서 영화를 보기 때문에 주변에 신경 쓰지 않고 편히 얘기를 나누며 영화 관람하기에도 좋다. 색다른 데이트를 원한다면 이곳으로 가보는 것도 좋다.

⊙ 함평천수변공원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수호리

함평천 수변공원은 함평읍에 자리하고 있으며 바로 옆의 엑스포 공원과 연결되어 있어 엑스포 공원에 주차하고 주차장을 지나면 수변공원과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은 물가에 조성된 공원으로 다른 곳보다 수양버들이 많이 있는 곳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수목들이 있어 사계절 다른 모습으로 여행객들을 부르는 곳이다.
봄에는 파릇한 새싹들과 함께 노란 유채꽃이 가득한 들녘을 바라볼 수 있다. 근처 산책길에는 매화도 꽃을 피워서 함께 어울린 모습이 장관이다. 여름엔 파란 하늘과 함께 수많은 목수국이 자태를 뽐내고 있어 그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조차 없다. 하늘, 구름, 나무들이 목수국과 어울려 환상적으로 장면을 연출하고 있어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는 멋진 장소이다. 수변공원은 걷기 좋게 산책길이 잘 조성되어 있어 수국뿐 아니라 다양한 야생화들도 만나볼 수 있다.
가을엔 주변이 핑크로 물들며 핑크 뮬리와 팜파스가 멋지게 어울려 지나치는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아 열심히 셔터를 누르는 많은 사람을 보게 된다. 또한 수변공원 댑싸리도 가득 피어올라 또 다른 가을을 느끼게 해주는 곳이다. 겨울에는 비어있는 공간들을 철새들이 날아와 채워주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새삼 느끼게 해주는 곳이다. 사계절 아름다운 자연을 보고 싶다면 이곳 수변공원을 찾아 행복한 여행을 해보면 좋을 것이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