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대구 수성구] [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 2025. 2. 13. 13:38
반응형

[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


- 홈페이지
https://jeju.grandculture.net/

- 대구녹색소비자연대
053-985-8030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86안길 14-6

대구올레 팔공산 코스는 팔공산의 둘레를 따라 시점과 종점이 연결되도록 조성한 숲길이며 팔공산권의 역사와 문화 체험과 자연경관을 즐기며, 건강증진 활동을 할 수 있는 용도로 만든 길이다. 아울러, 팔공산 권역 자연공원의 생태적·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들었다. 팔공산 올레길은 총 8개 코스로 개발이 되어 있고 그 중 5코스는 [내동버스정류장-굴다리통과-내동 보호수-추원재-성재성당-미대동 들녘-구암마을]까지 6.2km의 2시간 내외의 코스이다.
약450여년전 순흥안씨 일족이 터 잡은 내동 마을에서 출발한다. 북쪽 뒷산에 올라가보니 마을의 형세가 좌우는 산으로 가로막혀 있고 안에 있는 자리가 너무나 아늑하고 따뜻하게 보여 내동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좁은 길을 따라 올라가면 성인 여덟은 있어야 다 끌어안을 수 있을 것 같은 그 둘레가 어마어마한 나무가 나타난다. 고려조 안유 선생의 후손인 안향이 아끼고 사랑한 정자목이라 하여 속칭 안정자라고 불린다. 500년 된 노목이지만 아직 정정한 모습이고 큰 그늘 아래 쉬어가기 좋다. 이어 농로를 걷다보면 추원재에 도착한다. 이 건물은 인천사람인 채선용의 후손들이 그의 선조를 기리기 위해 1820년(순조 20년)에 지은 재사이다.
조선 인조 때 선비인 채명보 선생이 학문을 강론하던 성재서당은 쉬어가기 좋다. 세월이 흘러 정자가 퇴락하자 후손들이 중수하여 성재정에서 성재서당으로 개칭하였다. 도로를 지나 좁은 농로로 접어들면 길 양옆으로 논이 훤하게 펼쳐진다.
가을철에는 미대동의 황금들녘을 만끽할 수 있다. 미대동 주민들의 정성이 일구어 놓은 장관이다. 도로 건너편은 약 200년 전 현동수라는 사람이 개척한 구암마을이 있다. 마을 옆에 거북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 귀암(龜岩)이라 불리다가 세월이 흘러 지금은 구암으로 불리고 있다.
그늘이 적은 코스라 선선한 가을날 걸어보길 권하며 이곳에서는 농촌의 일과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구암마을 농장에서 수확물도 구매 가능하니 올레길의 또 다른 경험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709-8111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
* 구암마을 입구 - 구암마을 동화천변 - 미타사 - 내동 굴다리 - 내동 보호수 - 추원재 - 성재서당 - 미대동버스정류장
* 소요시간 : 6.7km, 2시간 30분 내외(편도코스)
* 비교적 완만한 코스이며, 눈길 닿는 곳곳 팔공산에 기대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2)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3)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4)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6)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9)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10)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11)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12)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13)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5)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7)대구올레 팔공산 5코스 구암마을 가는 길_e (8)





◎ 주위 관광 정보

⊙ 김광석 길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홈페이지
대구 관광https://tour.daegu.go.kr
중구 문화관광https://www.jung.daegu.kr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238

김광석 길은 故 김광석이 살았던 대봉동 방천시장 인근 골목에 김광석의 삶과 음악을 테마로 조성한 벽화거리이다. 2010년 ‘방천시장 문전성시 사업’의 하나로 방천시장 골목길에 11월부터 조성하기 시작한 김광석 길은 중구청과 11팀의 작가들이 참여하였다. 350m 길이의 벽면을 따라 김광석 조형물과 포장마차에서 국수 말아주는 김광석,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김광석 등 골목의 벽마다 김광석의 모습과 그의 노래 가사들이 다양한 모습의 벽화로 그려졌다. 매년 가을에는 방천시장과 동성로 일대에서 '김광석 노래 부르기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故 김광석을 추억하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드라마 <하이드 지킬, 나>
이별을 앞둔 로빈과 하나의 데이트 장소였던 김광석길은 방천시장 옆 골목을 따라 거닐며 김광석의 삶과 노래를 테마로 한 다양한 벽화를 구경할 수 있는 거리이다. 골목 구석구석 SNS에서 유명한 카페와 식당이 많아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다.

⊙ 한영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s://www.hyartcenter.co.k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4가

한영아트센터는 합리적인 인프라 전문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내실 있는 공연, 다채로운 전시,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대구를 대표하는 아트센터이며, 풍성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문화 예술로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대구의 대동맥인 달구벌대로 수성네거리에 위치해 외곽에 위치한 다른 문화 공간과는 다르게 시내 중심에 있어 편리한 교통과 뛰어난 접근성이 장점이다.
고품격 복합문화 예술공간을 지향하며 연주자의 섬세함까지 객석에 전달되는 200석 규모의 콘서트홀부터 연회장, 갤러리, 축음기박물관, 종박물관 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감상하며 커피 한 잔을 즐길 수 있는 카페도 있어 도심 속에서 문화를 보다 편리하고 편안하게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또 연회장인 화영홀은 리셉션 홀로 각종행사나 모임장소로도 대관이 가능하다.

⊙ 윤옥연할매떡볶이 (구 신천마약할매떡볶이)


- 홈페이지
http://www.윤옥연할매떡볶이.com

- 윤옥연할매떡볶이
053-756-7597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77길 11

윤옥연 할매 떡볶이는 1974년 신천시장에서 개업하여 중독성 강한 매운맛으로 한번 먹고 나면 3일 뒤에 또 생각난다는 일명 ‘마약 떡볶이’로 사랑을 받기 시작했다. 후추 향이 강하고 단 맛이 없는 매운 맛으로 매니아층을 확보하고 ‘신천할매’ 팬클럽이 생길 정도로 인기를 끌며 대구 신천시장의 대구 할매 떡볶이로 자리매김했다. 맛과 인기는 날로 퍼져 여러 방송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고 엄청난 인기에 너도 나도 떡볶이 양념을 따라 만들어 유사 브랜드들이 생겨나 ‘윤옥연 할매 떡볶이’ 로 이름을 바꾸면서 새롭게 시작하게 되었다.
(출처: 윤옥연할매떡볶이)

⊙ 방천가족족발&보쌈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46길 11

방천 가족 족발&보쌈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경대병원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족발과 보쌈 전문점으로, 족발을 만들 때 캐러멜 대신 100% 한약재만 사용한다. 대표 메뉴는 반반 족발 세트다. 이 밖에 가족족발 쟁반세트, 가족 족발, 쟁반국수 등을 맛볼 수 있으며, 포장과 배달 모두 가능하다.

⊙ 정호승 문학관


- 홈페이지
https://www.sscf.or.k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403-1 (범어동)

정호승 시인은 "범어천은 나의 시적 사유의 근원이 되는 모태와 같다"고 얘기한다. 이에 걸맞게 범어천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정호승문학관이 들어섰다. 정호승 시인이 유년기를 보낸 옛 범어3동 행정복지센터가 이전하면서 공실이 된 건물이 정호승 시인의 문학 세계를 품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454.76㎡(약 136평) 규모다.
문학관의 외관은 정 시인의 어린 시절 여름철마다 범어천 둑 위로 흘러넘쳤던 황톳물 색깔인 진한 붉은색으로 칠했다. 문학관 2층에는 시인 정호승이 수성구에 기증한 육필원고와 시집, 사진, 소장품 등 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고, 문학관 한쪽에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는데 그의 시 약 80편이 노래로 작곡되었기 때문이다.
가수 김광석은 정호승 시인의 시 「부치지 않은 편지」를 노래했고, 안치환은「우리가 어느 별에서」, 「풍경」등을 불렀다. 정호승 시인은 1999년부터 20여 년간 시노래 모임 나팔꽃 동인 활동을 하며 안치환과 140여 차례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북카페인 1층에는 국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시인들의 시집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학관 지하는 강연이나 콘서트를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된다.
인근 범어천생태하천에는 「수선화에게」를 새긴 정호승 시인의 시비도 자리하고 있으며 시비와 인접한 김광석다시그리기길까지 대구의 대표 문화 관광지로 소개되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울진참가자미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297

울진참가자미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시장역 4번 출구 인근에 위치해 있는 횟집이다. 이곳은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에 출연한 바 있다. 대표메뉴는 고추장 비빔물회와 참가자미회이다. 이외에도 참도다리회와 자연산 광어회, 소라회, 회덮밥 등 다양한 해산물을 즐길 수 있는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 더커먼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common4green
https://www.instagram.com/common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741

대구에 위치한 제로웨이스트샵이다. 이곳은 비건 푸드를 판매하고 있는 밀카페가 있다. 선물용으로 좋은 제로웨이스트 제품이 즐비해있어 구경하기 좋다. 메뉴판과 계산서 조차도 이면지를 활용해 색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메뉴판은 귀여운 그림체로 설명도 잘 되어 있어 처음 비건 음식을 접하는 사람들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메뉴는 팔라펠 샐러드, 커먼 커리, 비건 올리브·후추 스콘 등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