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상북도 포항시] 백경펜션오토캠핑장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 2025. 9. 12. 12:55
반응형

백경펜션오토캠핑장


- 홈페이지
http://cafe.naver.com/bkcamp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영암길 70

포항 백경 펜션&캠핑장은 경북 포항시 남구에 있다. 포항시청을 기점으로 27㎞ 거리에 있다. 자동차를 이용해 새천년대로, 영일만대로, 학삼길을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40분 안팎이다. 이곳은 포항 앞바다의 환상적인 풍광을 벗 삼아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경치가 좋아 연중 캠퍼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캠핑장에는 자동차 야영장 29면이 있고 바닥은 모두 마사토로 이뤄졌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6m 세로 9m다.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관리소에서는 릴선을 빌려준다. 단, 잊고 온 캠퍼에 한해서다. 캠핑장은 사계절 내내 운영한다.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구룡포항, 호미곶해맞이광장, 양포항 등 포항의 유명 관광지의 접근성이 좋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10-7577-9794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 입실 14:00
- 퇴실 12:00

- 주차시설
가능





◎ 이용요금
- 오토캠핑 40,000원

- 펜션 100,000원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및 전화 문의 요망





백경펜션오토캠핑장 공용시설백경펜션오토캠핑장 입구백경펜션오토캠핑장 전경1백경펜션오토캠핑장 전경2





◎ 주위 관광 정보

⊙ 금산서원


- 홈페이지
https://www.pohang.go.kr/phtou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길191번길 25-12

금산서원은 1707년(숙종 33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허진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허진수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천품이 온화하고 재기가 뛰어난 영재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도산서원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하였다. 1574년(선조 7년) 나라에서 그의 학행을 가상히 여겨 통정대부의 품계를 내렸으며, 만년에는 고향에서 정자를 짓고 후진양성에 진력하니 이때부터 그곳을 금곡이라 불렀다.
금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년)에 훼철되었다가 1909년 유림에 의해 사당을 중건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경모사, 4칸의 수덕헌, 3칸의 동재, 외문, 4칸의 고사 등이 있다. 사당인 경모사에는 허진수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수덕헌은 강당으로서 방과 마루로 되어 있는데, 방은 헌관 및 별유사, 재석실로 사용하며, 마루는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신문은 향사 때 재원의 출입문으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동재는 재원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고사는 서원을 관리하는 고자가 사용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3월 하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은 4변(頭) 4두(豆)이다.

⊙ 카페더헤이븐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3952-44

카페더헤이븐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대진리에 있다. 모던한 분위기의 외관과 내부가 눈에 띈다. 실내는 화이트 톤으로 꾸몄고 야외는 해외 휴양지를 옮겨놓은 듯한 느낌으로 테이블을 배치했다. 해변에도 다양한 포토존과 테이블을 설치해 자연스럽게 바다 뷰를 즐길 수 있게 배려했다. 리조트와 같이 운영하고 있어 카페 위층은 숙소로 이용되고 있다. 대표 메뉴는 헤이븐아인슈페너다. 이 외에 다양한 음료 및 디저트류를 맛볼 수 있다. 남포항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대진간이해변, 장기유배문화체험촌이 있다.

⊙ 신창 간이 해수욕장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리

신창 간이해수욕장은 이름 그대로 여름철에만 일시적으로 개장했다 폐장하는 간이해수욕장이다. 일반 해수욕장에 비해 아담하지만, 해변이 길어 산책만 하기에도 좋다. 백사장의 모래는 곱고 해수욕장의 수심은 얕아 남녀노소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신창 간이해수욕장 주변에는 신창 2리 어촌체험마을을 비롯해 음식점, 숙박업소 등이 자리 잡고 있다. 해수욕장을 기점으로 남쪽으로 내려가면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즐비하고, 북쪽으로 올라가면 포항의 여러 해변이 펼쳐져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 모포항


- 홈페이지
https://www.pohang.go.kr/phtou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모포길 49

모포항은 낚시를 하거나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다. 작고 아담한 항구지만 갑오징어, 광어, 가자미, 고등어, 볼락, 참돔 등 계절 따라 잡히는 어종이 다양하다 보니 낚시객들 사이에 유명해졌다. 또한, 일몰과 일출, 갯골 촬영을 위해 출사를 나오는 사진작가들이 많다. 모포항에서 북쪽 방면으로 이동하면 구룡포항, 구룡포 과메기 물회 거리, 호미곶 해맞이 광장이 있어 낚시뿐 아니라 연계 관광에 나서기도 좋다.

(출처 : 퐝퐝여행)

⊙ 양포항복합공원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양포리 1-1

양포항복합공원은 양포항과 연이어 자리 잡고 있다. 이 덕분에 양포항을 조망하며 휴식을 취하기 제격이고, 양포항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쉬어가기 좋다. 공원에는 여러 가지 조형물을 비롯해 화장실, 주차장 등 편의시설도 구비되어 있다. 과거 공원 내부에서 캠핑하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잔디 등 여러 시설물이 훼손되는 일이 잦았다. 이 때문에 현재 공원 안에 텐트를 설치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 양포방파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양포항길 (장기면)

포항 양포항복합공원 근처에 있는 양포방파제는 동해 남부권의 대형 방조제로 감성돔, 벵에돔 등이 잘 잡히는 바다낚시 명소이다. 다른 방파제에 비해 테트라포드가 급경사를 이루도록 쌓여 있기 때문에 긴 낚싯대가 필수이며, 릴찌낚시를 하기도 좋다. 양포방파제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어종은 벵에돔이다. 장마 전부터 시즌이 시작돼 추석 전후로 피크를 맞는다. 감성돔의 경우 추석 전후로 찬바람이 불면서 시즌이 시작된다. 파도가 일 때를 골라 출조해야 보다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파도가 없는 날은 거의 입질을 받기 힘들다. 그리고 테트라포드가 듬성듬성 놓여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구명조끼와 같은 안전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양포항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양포리 9-32

양포항은 경북 포항시 남구에 자리 잡은 어항이다. 어선이 정박하고 있는 항 주변이나 방파제에는 낚시를 즐기는 사람이 많다. 게다가 양포항은 주기적으로 출조하는 낚시어선이 있어 낚시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기도 하다. 양포항의 주요 어종은 가자미, 방어, 임연수어, 문어 등이다. 양포항 주변에는 낚시용품점을 비롯해 슈퍼, 음식점, 펜션 등이 있다. 양포항에서 북쪽 방면으로 이동하면 구룡포항, 구룡포해수욕장, 호미곶 해맞이광장이 차례로 나온다. 아울러 남쪽으로 움직이면 경주 감포 주변으로 여러 해수욕장이 있어 연계 관광이 수월하다.

⊙ 장기 척화비와 근민당


- 홈페이지
https://www.pohang.go.kr/phtou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길 99

척화비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서양 사람들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더욱 강력히 국민에게 경고하기 위해 서울 및 전국의 중요 도로변에 세우도록 한 비로, 장기척화비도 그중의 하나이다. 비는 반듯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모습이며, 비몸의 네 모서리와 윗변의 양끝을 단정히 다듬어 놓았다. 앞면에는 비문을 새겨 두었는데 내용에는 “서양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해할 수밖에 없고 화해를 주장하면 나라를 파는 것이 된다.”는 강한 어투의 경고를 적고 있다. 1866년 의 병인양요와 1871년의 신미양요를 치른 뒤 흥선대원군이 쇄국의 결의를 굳히고 온 국민에게 외세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해 1871년 4월을 기해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의 요소에 세운 척화비 중 하나이다. 고종 19년(1882)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대원군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납치되면서 대부분의 척화비들은 철거되고, 이처럼 몇 기의 비들만이 곳곳에 남아 옛 역사의 한 부분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원래는 장기읍성 안에 세워져 있었으나 1951년 4월에 장기지서 입구에서 찾아 장기면사무소 정문 왼쪽 도로변에 세워 두었다가 1990년 12월 1일 장기면사무소 정원에 이설 하였다. 사암으로 되었으며 높이 120cm, 너비 45cm, 두께 21cm이다.

근민당은 장기현 관아 동헌 건물로서 현감이 공사를 처리하는 곳이다. 노후되어 장기읍성에서 1922년 이축하여 장기면사무소로 이용하였으며, 그 후 1960년 현 위치로 이축하혔다. 현재는 장기면사무소 별관으로 이용하고 있다.

⊙ 학삼서원


- 홈페이지
https://www.pohang.go.k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학삼길 51-3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학문을 연구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역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이다. 학삼서원은 1592년(선조 25년)에 이대임(1574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이대임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장기전투와 경주전투 등에 참가하였고, 세상을 떠난 후 가선대부 병조참판에 증직 되었다. 1868년(고종 5년)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그 뒤 1907년에 복원하였다. 강당의 후면으로 사당이 배치되어 있는 전학 후묘의 형태이다. 현존하는 건축물로는 사당인 경충묘, 강당인 경의당, 기숙사이자 학습공간인 동재와 서재, 문간채 등 총 5동이다. 경충묘에는 이대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경의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의 강론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