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중구] 롯데호텔 실내수영장

728x170

롯데호텔 실내수영장


- 홈페이지
http://www.lottehotel.com/seoul/ko

- 롯데호텔 실내수영장
02-317-7305~6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0

롯데호텔 서울의 수영장은 바다와 요트를 모티브로 한 현대적인 감각의 디자인으로 도심 속에서 여유와 활기를 느낄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자동 여과 및 수질관리 시스템으로 최상의 수질을 자랑하며, 사계절 내내 쾌적함과 여유로움을 제공한다. 추가로 자쿠지(Jacuzzi) 버블 매트의 수중 마사지가 긴장과 피로를 완화하여 지친 현대인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선사한다. 이곳은 회원 및 호텔 투숙객에 한 해 이용 가능하다.
(출처: 롯데호텔)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317-7305

- 쉬는날
매월 마지막 주 월요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06:00~22:00





◎ 부대시설
체련장, 골프연습장





서울_중구_롯데호텔 실내수영장01서울_중구_롯데호텔 실내수영장02서울_중구_롯데호텔 실내수영장04



◎ 주위 관광 정보

⊙ 롯데호텔서울 설화수 스파


- 주소
서울시 중구 을지로 30 롯데호텔 3, 4층 (소공동)

설화수 스파는 마음의 안정을 돕고자 조선 시대 왕실에서 행한 전통의식을 스파에 접목했다. 5가지 한방재료로 만든 ‘자음단’으로 지친 피부를 효과적으로 다스린다. 홍삼의 기운이 담긴 미온수가 발의 피로를 풀어주는 ‘홍삼수 족욕’과 인삼 성분으로 발을 문질러 씻어주는 ‘인삼 스크러브’도 함께 진행한다. 프로그램이 끝나면 제공하는 차도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표 스파 프로그램은 ‘설화본생’이다. 따뜻하게 쪄낸 자음단으로 어깨 부위 피부를 관리한 후 ‘자음생 크림’으로 피부에 활력을 되찾아 준다. ‘진설’ 프로그램도 인기다. 몸의 피부를 정성껏 관리하는 트리트먼트로 피부 순환을 돕고 피부 에너지를 활성화한다.

⊙ 호텔롯데 휘트니스클럽


- 홈페이지
http://www.lottehotel.com/seoul/ko/

- 호텔롯데 휘트니스클럽
02-317-7305~6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0 (소공동)

데호텔 서울 메인타워 4층에 위치한 피트니스 센터는 PT Studio, GX Studio 등의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하고 즐거운 삶을 만들어 갈 수 있으며, 최신 3D 기구인 KINESIS Station, 인체 공학적 설계 및 첨단 기능을 갖춘 이태리 테크노 짐(Technogym)을 비롯해 90여 대의 최신 장비가 효과적인 운동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목적에 맞는 Cardio Zone, Weight Zone, Free Weight Zone, Stretch Zone 등의 공간이 최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 환구단


- 홈페이지
http://www.junggu.seoul.kr/tour/
http://www.ch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12 (소공동)

환구단은 천자가 하늘에 제사드리는 제천단을 말하며, 환단이라고도 한다. 환구단은 유교적인 정치 이념을 수용하던 우리나라나 중국 등에서 유교적인 의례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드리던 제천단이었다.고려 성종 2년(983) 정월에 처음 시행되어 설치와 폐지를 계속 되풀이하다가 조선초에 제천의례가 억제되자 폐지되었다. 세조 2년(1456)에는 일시적으로 제도화하여 1457년에 환구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러나 세조 10년(1464)에 실시된 제사를 마지막으로 환구단에서의 제사는 중단되었다. 환구단이 다시 설치된 것은 고종 34년(1897) 조선이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면서부터이다. 현재 환구단 터에는 황궁우 건물과 3개의 석고가 있다. 황궁우는 환구단을 쌓은지 2년 뒤인 1899년에 완공되었다. 황궁우 옆에는 제천을 위한 악기를 상징하는 3개의 석고가 있다. 이 석고단은 돌로 만든 북의단으로 1901년 12월에 민관 유지들이 고종의 성덕을 찬양하는 석기문비를 세우기로 결의하여 이듬해에 준공한 것이다. 현재 환구단 대부분의 터에는 조선호텔이 들어서 있으며 남북변 정원에는 황궁우 건물이 있다.

* 면적 - 8,661.16㎡


⊙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 홈페이지
https://seoulskate.c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2 시청광장지하쇼핑센터

2004년에 조성된 '서울광장'은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타원형의 잔디광장으로 연중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지는 시민들을 위한 공간이다.특히 겨울이면 이곳 서울광장에는 야외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어 겨울철 명소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초급자용 링크와 고급자용 링크 두 개의 링크장의 스케이트장은 친환경 목재데크를 사용하여 링크장을 연결하는 얼음길을 조성하여 편안하고 쾌적한 겨울철 스포츠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다. 이 밖에 스케이트 대여실, 야외휴게소, 야외스탠드, 스케이터 휴게공간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 서울광장


- 홈페이지
http://plaza.seoul.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광장은 3.1운동, 6월 민주화운동 등 한국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2002년 월드컵 기간에는 시민들의 축제의 마당이었다. 시청광장의 역사는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다가 월산대군 개인집(덕수궁)으로 돌아온 1897년부터 시작된다. 황제의 자리에 오른 고종은 나라의 기틀을 새로이 하기 위해 덕수궁 대한문 앞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형 도로를 닦고 앞쪽에는 광장과 원구단을 설치하였다. 이때부터 대한문앞 광장은 고종보호 시위, 3.1운동, 4.19혁명, 한일회담 반대시위, 6월 민주화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주요무대가 되었다.

도심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역사문화자원들이 산재하여 국가적 상징성 및 역사성을 지닌 장소로 서울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으나 사람을 위한 광장이 아니라 자동차를 위한 교통광장으로 상습적인 교통혼잡과 정체로 몸살을 앓아오던 곳이었다. 또한, 지하상가 및 지하보도로만 횡단이 가능하여 보행접근성이 매우 불리했고 장애자, 노약자에 대한 보행권 배려가 전무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보행공간으로 조성해달라는 시민단체들의 끊임없는 요구와 함께 시민여론조사에서도 광장조성에 대한 수요가 파악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서울광장이 붉은 악마의 응원의 메카로 부각되면서 시민결집과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인 광장조성 논의가 진행되었다.

※ 총면적 - 13,207㎡(3,995평) / 잔디면적 6,294㎡ (1,904평)
※ 형태 - 대청마루에 뜬 보름달을 연상하는 타원형의 잔디광장
※ 잔디종류 - 추위에 강한 켄터키 블루그래스(서울월드컵경기장과 같은 품종


⊙ 서울도서관


- 홈페이지
http://lib.seoul.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서울시에 관한 자료를 폭넓게 제공받을 수 있는 서울 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서울에 관련된 자료는 물론 역사, 문화, 도시계획, 교통, 환경, 행정 등 모든 분야에 관한 자료와 해외여행 보고서, 연구논문, 영상자료, 전자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시민청


- 홈페이지
https://www.seoulcitizenshall.kr/index.php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서울특별시청 지하 1, 2층에 있는 시민청은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부담 없이 즐기고 이웃들과 마을 모임을 열 수 있으며, 서울 시정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다양한 시민참여 활동을 유도하는 ‘비움’과 ‘유연성’의 공간을 목적으로 기획, 전시, 공연, 토론, 교육, 휴식, 놀이 등 목적에 맞게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변공간으로 디자인되었다.
서울광장과 지하철 2호선 시청역과 을지로입구역을 통해 바로 접근할 수 있다.

⊙ 명동난타극장


- 홈페이지
난타 http://www.nanta.c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26 (명동2가) 유네스코빌딩 3층

대한민국 대표 문화상품인 넌버벌(Non-Verbal) 퍼포먼스 '난타'가 12주년을 맞아 쇼핑관광의 중심 명동에 난타전용극장을 열었다. 명동 난타전용극장은 강북, 강남, 제주에 이어 4번째 난타 전용극장이다. 기존 유네스코 빌딩 명동아트센터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86석 규모로 난타극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난타는 2000년 강북 첫 전용극장 설립이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빼놓지 않고 찾는 관광코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이 곳 명동전용극장 무대에는 '난타'사상 최초의 외국인 배우가 출연한다. 1년 365일 하루 3회의 공연으로 난타의 매력을 더 가까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명동예술극장


- 홈페이지
명동예술극장 http://www.mdtheater.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35 (명동1가)

명동예술극장은 '옛 명동 국립극장'으로 쓰였던 건물을 복원하여 새롭게 탄생한 연극 전문 공연장이다. '명동 국립극장'이란 이름으로 1934년부터 1973년까지 영화관, 공연장, 예술극장 등 한국문화예술의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비록 1975년에 사라졌지만 3년간의 복원공사를 마치고 '명동예술극장'이라는 이름으로 2009년 6월 5일 새롭게 문을 열었다. 새롭게 문을 연 명동예술극장은 외부 벽면은 옛 모습을 그대로 살려낸 반면, 내부는 전면 리모델링하여 최신 무대시설을 갖춘 588석 규모의 중극장으로 탄생했다. 관객과 무대 위 배우와의 눈높이를 최적화하고 객석과 무대간의 거리가 가까워 배우들과 함께 호흡하는 기분으로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정통연극, 실험극, 논버벌 퍼포먼스, 뮤지컬 등 다양한 뿐만 아니라 연기경연, 연극제, 공연예술제 등 다채로운 행사도 즐길 수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