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시 청소년수련관

728x170

의정부시 청소년수련관


- 홈페이지
http://www.uiyouth.or.kr/

- 의정부시 청소년수련관
031-828-9501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27

의정부시청소년수련관은 1994년 1월 1일 설립되어 청소년들의 문화와 여가 활동을 지원하며,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환경과 기반 시설이 활성화된 체험 문화 공간이다. 서울과 동두천, 연천, 포천 등 수도권 북부 지역의 주요 시군들과의 교통이 편리하고,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닌 북한산과 도봉산, 수락산 등과 인접하고 있어 다양한 수련활동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07-1374-9501

- 쉬는날
수영장, 헬스장 일요일 휴관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전화 문의 031-828-9501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월요일~토요일 09:00~21:00
일요일 09:00~18:00
※ 자세한 이용시간은 홈페이지 참조

- 주차시설
주차 가능





◎ 주요시설
실내수영장, 탁구장, 헬스장, 다목적실, 강당,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경기_의정부_의정부시청소년회관01경기_의정부_의정부시청소년회관03경기_의정부_의정부시청소년회관04경기_의정부_의정부시청소년회관05



◎ 주위 관광 정보

⊙ 의정부예술의전당


- 홈페이지
의정부예술의전당 http://www.uac.or.kr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1

의정부예술의전당은 1999년 개관 이후, 우수한 공연과 전시를 통해 의정부 지역 뿐 아니라 경기 북부와 서울 동북부 지역의 문화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특히 수준 높은 공연유치와 중저가의 관람료 책정으로 서울 관객이 지방공연장을 찾는 ‘역관람’ 행렬의 물꼬를 트기도 했다. 또한 ‘국제음악극축제’와 문학축제인 ‘천상병 예술제’ 등 의정부예술의전당만의 브랜드 축제를 지속적으로 유치함으로서 시민들에게 다양한 장르와 국내외 우수 공연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개관일 : 2001년 4월 6일


⊙ 직동 근린공원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1162번길 73 (의정부동)

직동 근린공원은 의정부시가 42만 7천㎡의 부지에 총 6천억 원을 들여 조성한 공원이다
공원은 칸타 빌라 정원, 청파원, 힐빙 정원, 피크닉 정원 등 모두 4개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안골 계곡까지 산책로로 이어져 있다. 축구장과 같은 다목적 체육 시설이 있고 주민 커뮤니티 공간, 야외공연장, 광장, 숲 속 쉼터, 어린이 야외 체험장 등을 잘 갖춰 인근 주민들의 사계절 휴식처로 인기가 많다. 봄이면 벚꽃과 함께 수많은 꽃구경이 가능하고 가족단위 피크닉을 위한 정자와 쉼터, 의자들이 곳곳에 있다

⊙ 의정부 부대찌개거리


- 홈페이지
https://www.ui4u.go.kr/tour/main.do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1309번길 7 (의정부동) 일대

1998년도부터 음식점들이 하나 둘 생겨난 의정부의 대표적 부대찌개거리는 햄, 소시지, 다진쇠고기와 김치, 고추장, 야채 등 양념을 혼합한 것이 특징이다.


⊙ 회룡사(경기)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전좌로155번길 262 (호원동)

서울에서 의정부로 가는 전철 1호선에는 망월사역과 회룡역이 있다. 바로 사찰명을 그대로 역사의 이름으로 쓰고 있는 것인데, 그만큼 이 두 사찰은 이 지역에서는 의미 있고, 유서 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데 왜 절 이름을 ‘회룡(回龍)’이라 했을까? 여기에는 조선의 개국(開國)과 초기 격동의 역사와 깊은 인연이 있다. 한자를 그대로 풀어 본다면 용이 돌아온다는 뜻으로 ‘용’은 바로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를 말함이다. 1881년(고종 18)에 우송(友松) 스님이 쓴 「회룡사 중창기(回龍寺重倉記)」에는 1398년(태조 7) 태조가 함흥에서 한양의 궁성으로 돌아오는 길에 왕사인 무학을 방문했는데, 무학은 1394년에 정도전(鄭道傳)의 미움과 시기를 받아 이곳 토굴에서 몸을 숨기고 있던 중 태조의 방문을 받았던 것이다. 태조는 여기서 며칠을 머물렀고, 이에 절을 짓고는 임금이 환궁한다는 뜻으로 그 이름을 회룡(回龍)이라 했다고 적고 있다.

현재 회룡사(回龍寺)는 북한산의 대표적인 비구니 사찰로 여러모로 관음도량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때문인지 경내에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역시 석조 관음보살상이다. 1987년 조성하였다는 이 관음보살상은 북한산을 오르는 등산객들을 위해 봉안했다고 한다. 등산객들이 등산화를 벗고, 법당에 들어가 삼배를 올리는 수고로움을 덜기 위해 이 보살상을 세워 지나는 도중에도 가벼이 예를 올릴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한편 회룡사는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 위해 백일기도를 하던 중 관세음보살을 친견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하고 있다. 일체중생의 어떠한 어려움도 구제해 준다는 관세음보살. 바로 회룡사의 비구니 스님들에게서 이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지는 않을까?

* 창건 배경 및 역사

회룡사의 창건에 관해서는 신라 때 초창 되었다는 설과 조선 초에 창건되었다는 두 가지의 견해가 있다. 우선 1977년 봉선사에서 발행한 『봉선사본말사약지(奉先寺本末寺誌)』에 의하면 절은 681년(신문왕 1) 의상 스님이 창건하여 법성사(法性寺)라 불렀다고 한다. 창건 이후에는 930년(경순왕 3) 동진 국사(洞眞國師)가 재창하고, 1070년(문종 24) 혜거 국사(慧炬國師)가 3 창하였으며, 다시 1384년(우왕 10) 무학대사(無學大師)가 4 창하고, 1403년(태종 3)에 회룡사로 고쳐 불렀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무학대사 이전의 사실은 전하는 자료가 없어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권상로가 편찬한 『한국 사찰 전서(韓國寺刹全書)』하권의 회룡사항에는 한결같이 무학대사에 의하여 1384년(우왕 10) 또는 1395년(태조 4)에 처음 창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상반됨을 볼 수 있다. 또 조선 초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양주목 불우조에도 망월사·영국사 등과 함께 도봉산에 있는 절로 나와 있어 무학대사의 창건설이 더 신빙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 조선 초기의 무학대사에 의한 창건 이후 절이 어떤 변천을 거듭하였는지는 전하는 기록이 없어 잘 알 수는 없으나 1630년(인조 8)에 예순(禮順) 비구니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해지며, 조선 후기까지 폐사되지 않고 법등을 이어 왔음은 정조 때 편찬된 『범우고(梵宇攷)』를 통해 알 수 있다. 이후 조선 후기의 연혁은 1881년(고종 18)에 우송(友松)이 쓴 「회룡사중창기」와 사성(師誠, 1836~1910)의 문집인 『극암집(克庵集)』에 나오는 「양주도봉산회룡사중수기」를 통해 비교적 상세히 알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세월이 지나면서 절이 퇴락하자 1878년(고종 15)에 혜봉 최성(慧峯 最性)이 상궁 박씨의 도움으로 절을 크게 중수하였고, 1881년에는 경해당 원삼(慶海堂 圓三)과 함께 유명한 장인들을 모아 당우와 요사를 새로 지었다. 또 이때 채사(彩師)들을 초빙하여 지장탱, 신중탱, 현왕탱과 무학대사의 진영을 조성했는데, 시주자는 상궁 하씨와 조씨 등이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1938년 비구니 순악(順岳)스님에 의하여 요사 건립 불사 등이 이루어졌으나, 1950년 한국전쟁으로 절은 폐허가 된다. 이후 도준(道準) 스님이 1954년부터 복구에 착수하여 연차적으로 승당과 대웅전, 약사전, 선실, 요사 등을 복원하였다. 1971년에 대웅전을 새로 짓고, 1987년에 석조관음보살상을 봉안하였으며, 그 이듬해에는 범종각을 지어 사물(四物)을 조성 봉안하였다. 또 1996년에는 혜주(慧珠) 스님이 극락보전과 삼성각, 노전채를 새로 지었으며, 2000년에는 선원인 취선당(聚禪堂)을 개축하였고, 2001년에는 성견 (性見)스님이 삼성각을 증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 의정부음악도서관


- 홈페이지
https://www.uilib.go.kr/music/index.do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장곡로 280

의정부음악도서관은 책과 음악을 융합해서 음악을 청각적인 영역을 넘어 공감각적 공간으로 전달하는 음악 전문 공공도서관이다.
의정부시의 지역 특색을 반영한 블랙뮤직(재즈·블루스·힙합·R&B등)을 테마로 공간을 디자인했고, 도서 및 CD·LP·악보·DVD 등의 비도서 자료로 장서 구성을 했다.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 음악 플랫폼의 역할을 구현하고자 한다.

⊙ 의정부실내빙상장


- 홈페이지
http://www.siseol.or.kr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체육로 136 (녹양동)

사계절 스포츠의 대표인 빙상장은 시민들의 건강증진과 가족 레저를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여가선용 장소로서 시민들의 체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운영되고 있다.

⊙ 원효사(경기)


- 홈페이지
문화관광 http://www.ui4u.go.kr/tour/main.do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356 (호원동)

원효사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 기슭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뛰어난 자연환경으로 말미암아 도봉산 기슭에는 무수히 많은 사찰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중에서 망월사(望月寺), 회룡사(回龍寺) 등과 함께 원효사는 도봉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손꼽히고 있다. 원효사가 위치한 곳은 맑은 계곡과 함께 도봉산의 여러 암봉들이 마치 병풍처럼 감싸 안고 있는 그야말로 명당 중의 명당이다.
구전에 의하면 이곳은 신라 선덕여왕 때 원효스님이 수도한 곳으로, 지금의 나한전이 바로 스님이 기도했던 토굴이라 전한다. 또한 이곳은 원효스님 이후에도 많은 선승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이를 증명하듯 불기(佛器)를 비롯해 깨진 그릇, 수저, 기왓장 등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물들이 다수 출토된 바 있다. 이중 주목되는 유물은 ‘숭령보중(崇寧寶重)’이라 새겨진 동전으로 ‘숭령’이라는 연호는 송나라 휘종(徽宗) 때인 1102년에서 1106년 사이의 5년간 사용된 것으로 이때 만들어진 화폐이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현재 남아 있는 문헌자료에서는 이곳에 절이 있었다는 기록은 찾아지지 않는다. 현재의 원효사가 재창된 것은 1954년의 일이다. 비구니 우일스님이 이곳의 석굴을 발견하고 수도하면서 절을 세우게 되는데, 원효스님이 안거하며 기도하던 곳이라 하여 절 이름을 원효사라 하고, 이를 기리기 위해 경내에는 원효스님의 동상을 세웠다.

⊙ 망월사(경기)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211-500 (호원동)

망월사는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이 수려하고 빼어난 도봉산에 자리 잡고 있다. 망월사로 오르는 길은 매표소에서 대원사, 원효사, 광법사를 차례로 돌아서 가는 코스가 있고 원도봉계곡을 따라가는 코스가 있는데 망월사에서는 두 갈래 등산로 중 어느 쪽으로 오르든 포대능선에 이르게 된다. 망월사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8년(639년)에 해호스님이 여왕의 명에 의해 왕실의 융성을 기리고자 창건하였다. 당시 서라벌 월성(月城)을 향해 기원하는 뜻에서 망월사라 이름하였다. 이곳에는 예로부터 운수 납자의 대선사들이 많이 거쳐갔는데 고려시대의 혜거, 영소대사와 조선시대의 천봉, 영월, 도암 등 많은 명승들이 지냈고 근대의 도인이라 불리우는 만공, 한암, 성월 등 선지식들이 지내던 곳이다.

망월사 큰 법당에서 남서쪽으로 언덕을 들어가면 혜거국사부도(경기도 유형문화재)가 있다. 지금도 많은 수도승들이 참선하고 있다. 망월사 큰 법당에서 남서쪽으로 언덕을 넘어가면 혜거국사 부도가 있다. 부도란 이름난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해 두는 돌탑을 말하는데, 대개 절 근처에 세운다. 혜거국사의 사리를 봉안한 이 부도는 팔각원당형이다. 전체의 높이는 3.4m이고 탑의 몸통 둘레는 3.1m이다. 탑모양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단 부위에 구형 탑신을 안치하고 옥개석과 상륜부로 구성돼 있다. 기단부는 지대석과 대석으로 구성돼 있는데 지대석은 팔각형 삼단의 일석으로 조성되고 높이가 80cm이다. 그리고 그 위에 괴임대를 놓았다. 탑 몸통은 공 모양으로 조성되고, 괴임대 윗쪽과 옥개석 아래쪽에 홈을 파서 탑 전체의 안정감을 꾀했다. 옥개석은 복발과 보주까지 한 개의 돌로 만들었는데, 낙수면은 목조건물의 지붕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귀꽃은 모두 8개이다. 상륜부는 옥개석과 일석이며 복발면에 연꽃무늬를 새긴 것이 특징이다. 부도의 주인공인 혜거국사는 속성이 노씨이며, 자가 홍소로서 고려시대 국사를 지냈다. 그러나 행장은 세상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송산배수지체육시설


- 홈페이지
https://www.siseol.or.kr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부용로214번길 51 (신곡동)

송산배수지를 확장하고 배수지 상부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이용가능한 체육시설을 만들었다. 체육시설은 실내테니스장 4면, 실외테니스장 2면, 풋살장 1면이 조성되어 있다. 이곳은 마을과 인접한 산책로로 이어져있고 송풍길과도 연결이 되어 일반 주민들이 방문하여 주변경치를 즐기며 쉴수 있는 정자와 생활운동시설도 마련되어 산책하기에 좋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