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예천군] 삼강나루캠핑장

반응형

삼강나루캠핑장


- 홈페이지
http://삼강나루캠핑장.k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23

삼강나루캠핑장은 숲이 울창한 산과 넓은 들판, 푸른 강물이 굽이쳐 흐르는 곳이다. 꽃피는 봄날, 폭염 속의 짙푸른 여름, 단풍잎 고운 어느 가을, 눈 내리는 겨울, 사시사철 멋진 풍경을 연출하는 천혜의 자연경관이 상존하는 곳이다. 객실은 야영장 데크, 펜션 일반형과 필로티형이 있다. 펜션 외관은 모두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과 곤충으로 꾸며져 있다. 또한, 놀이터, 트램펄린, 바닥분수 등의 놀거리가 가득하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652-5554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이용시간
14:00~익일 11:00

- 주차시설
가능





◎ 이용요금
[카라반, 캠핑카 데크]

- 평일 40,000원

- 주말 50,000원

[오토캠핑장]

- 평일 30,000원

- 주말 40,000원

[펜션]

- 평일 10,000원~150,000원

- 주말 120,000원~15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 주요시설
야영장 / 펜션 / 놀이터 / 매점 / 샤워장 등





예천_삼강나루캠핑장 (5)예천_삼강나루캠핑장 (1)예천_삼강나루캠핑장 (2)예천_삼강나루캠핑장 (4)





◎ 주위 관광 정보

⊙ 강문화전시관

- 홈페이지
https://www.ycg.k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23

예천의 삼강문화단지 내에 조성된 강문화전시관은 지상3층 연면적 4,874㎡ 규모의 전시관으로 예천의 삼강을 기반으로 강문화의 소개와 생태문화, 민속문화 등 다양한 자원을 소개하고 있는 곳이다. 삼강이 만나 흐르는 낙동강과 세계 강의 역사와 예천의 역사에 대해서도 깊이 알아볼 수 있다. 전시관 내부에는 상설전시실과 영상관, 어린이 실내놀이터,카페 카와티,북카페, 옥상 전망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설전시실의 전시 연출은 크게 낙동강의 자연과 예천의 역사, 문화, 사람의 다큐멘터리 존(z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예천삼강문화단지 생태공원

-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samgang/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109번지 일원

예천삼강문화단지는 정부의 3대 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관광지 조성사업으로 기존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전시, 체험, 교육이 하나의 공간에서 가능하도록 조성된 가족형 문화체험 관광지구이다. 이 단지 내에 조성된 생태공원은 춤추는 음악분수, 벽천분수, 야외 조형물, 파고라, 어린이 식물 놀이터, 어린이 실외 놀이터, 다목적 운동장, 테마숲으로 조성되어 있고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곳이다.

⊙ 삼강강당

-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14

* 청풍자 정윤목이 후진을 양성하던 곳, 삼강강당 *

삼강강당은 조선 선조 때 호종공신 약포 정탁 선생의 셋째 아들 청풍자 정윤목이 벼슬을 사양하고 후진을 양성키 위해 세운 사설 학원이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강당채와 학당채가 있다. 강당의 벽에는 19세의 약관으로 부친을 따라 수양의 백이숙제묘를 참배하고 돌아오면서 모사해온 백세청풍 4자를 강당벽에 편액해 놓았다.

* 성리학에 정통했던 학자, 정윤목 *

청풍자는 류성룡, 정구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와 성리학에 정통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특히 필법이 탁월하여 초서의 대가로 존경받은 학자이다. 광해 8년에 소촌도 찰방 벼슬에 부름을 받았으나 광해군의 난정으로 윤리와 기강이 문란해 짐을 통탄하고 자적하면서 후진양성에 정력을 쏟은 분이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현황 : 경북문화재자료
지정연도 : 1988년 9월 23일
시대 : 조선
종류 : 서원


⊙ 보부상문화체험촌

-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samgang/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33

보부상문화체험촌은 옛 보부상들의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보부상문화체험촌은 미곡전, 대장간, 미간생활관, 물품창고, 보부상숙소, 막걸리홍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부상의 모습과 다양한 상황들이 재현되어 있어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 예천 삼강주막

- 홈페이지
https://www.ycg.k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27

삼강주막은 삼강나루 나들이객의 허기를 달래주며 보부상들의 숙식처로, 때론 시인 묵객들의 유상처로 이용된 건물이다. 1900년 경에 지은 이 주막은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충실한 집약적 평면구성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역사 자료로서 희소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옛 시대상을 읽을 수 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의의를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유구한 역사와 함께한 유옥연 주모 할머니가 지난 2006년 세상을 떠나면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가 2007년도에 1억 5천만 원의 예산으로 옛 모습 그대로 복원되어 새로운 주모와 함께 나들이객들을 맞이하게 되었다.

⊙ 예천 삼강문화단지

-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samgang/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로 1109

예천 삼강문화단지는 정부의 3대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관광지 조성사업으로서, 낙동강 연안의 우수한 강문화와 생태자원을 관광자원으로 특화하고 기존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전시, 체험, 교육이 하나의 공간에서 가능하도록 조성된 새로운 가족형 문화체험 관광지구이다.

⊙ 장안사(예천)


-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tou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예천군 용궁면 비룡산에 있는 장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의상대사의 제자인 운명이 창건하였다고 하고, 예천군지에서는 고려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하며 정확한 역사는 조선 중기 이후의 기록만이 전한다. 1627년(인조 5)부터 1896년까지 범종각, 향로전, 법당 및 요사채, 산령각 등을 수 중수하여 오늘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 응향전, 승방, 마룻집이 있고, 뒤편 언덕에는 산령각이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조선 말기에 지어진 건물이며, 전각 내에는 목조 아미타삼존불과 3점의 탱화가 봉안되어 있으나 모두 최근작이다. 그러나 산령각에 봉안된 산신탱화는 1812년(순조 12)에 조성한 것으로 확실한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룻집에는 1727년에 쓴 중창기를 비롯하여 각종 중수기 현판이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등촉계기, 불량계중설서, 불사기문 등이 있다.

⊙ 회룡포전망대


- 홈페이지
https://tour.gb.go.kr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회룡대길 168 (용궁면)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에 위치한 ‘회룡포전망대‘는 장안사에서 도보로 10분 정도 걸어 올라가면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옛부터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회룡포(예천 용궁면 대은리) 일대의 마을 풍경은 아름답기로 소문이 나 있다.
마을에는 현재 10여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며, 용이 휘감아도는 강물 모양을 따라 ‘회룡포‘라고 부른다. 예천의 자랑인 이 마을은 태백산 능선의 산자락에 둘러싸여 있고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이 휘감아도는 독특한 지형에 위치해 있어 육지 속에 있는 섬마을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비가 많이 내리면 마을은 섬처럼 완전히 고립된다. 마을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공사장에서 쓰는 구멍이 뚫린 철제발판으로 만들어진 다리를 건너야 하는데 이 다리는 밟으면 구멍사이로 물이 뿅뿅 올라온다하여 ‘뿅뿅다리‘라 부른다.
본래는 임시 다리로 설치한 것이었으나 이 마을에 명물이 되어 철거하지 않고 밑에 시멘트를 보강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다. ‘회룡포전망대‘에서 마을을 조망하고 뿅뿅다리를 건너 회룡포 일대를 둘러보기를 권한다.

⊙ 완담서원


-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마산길 313

1568년(선조 1)에 삼수 정귀령과 그의 두 아들 정옹, 정사를 기리기 위하여 풍양면 삼수정 곁에 사당인 삼수사를 건립하여 향사를 올렸다. 그 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사당이 소실되어 버렸다. 임란이 끝난 후 1606년(선조 39)에 삼수의 묘소가 있는 예천군 지보면 마산리 완담에서 유림과 자손들이 완담향사로 재건하고 상덕사 사당을 세워, 정환과 정광필을 추향 하여 오위를 제향 하였다. 그러다가 97년간의 세월이 흐른 1764년(영조 40)에 정영후와 정영방 두 사람을 더 추향 하게 되었다. 1868년(고종 5)에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98년에 유림과 자손들이 힘을 규합하여 완담향사를 다시 복원해 완담서원이 되었다.
현재 삼수정 아래에는 4세 7현 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삼수정은 삼수 정귀령이 1425년(세종 7)에 세운 정자로 낙동강을 바라보는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옆에는 예부터 학자나 벼슬을 상징하는 600년 회화나무가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