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의 길] 통일전망대 코스
- 홈페이지
https://www.durunubi.kr/dmz-main.do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고성통일전망대~남방한계선
통일전망대 코스는 총 3.6㎞ 길이의 도보 이동이 진행되는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코스 중 하나이다. 코스는 고성통일전망대 → 해안전망대 → 통전터널 → 남방한계선으로 진행된다.
주요 지점 중 한 곳인 통일전망대는 우리나라 최북단에 자리하여 1983년에 개관해 안보관광지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왔다. 금강산의 마지막 봉우리인 구선봉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다가오고, 맑은 날에는 최고봉인 비로봉과 옥녀봉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또한 DMZ 평화의 길 고성 구간의 첫 발걸음은 해안 쪽으로 나 있는 철책을 통과하면서부터이며, 철책을 들어서면 바로 바다를 향해 가파른 계단이 있고, 계단 아래는 작은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구간 내 설치된 3개의 전망대와 포토존 중 첫 번째로 해안전망대에서는 주로 남쪽 바다가 조망된다. 전망대를 내려서면 A코스 탐방자가 걷게 되는 2.7km 도보구간이 시작되고 걷는 길 오른편으로는 두 겹의 철책 사이로 파란 바다가 보인다. 해안전망대 구간(약 200m) 내에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는 구간이 있으니,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고객센터 (신청접수 관련 문의) 1588-7417
- 수용인원
회차별 20명 정원
- 쉬는날
매주 월요일 / 매주 목요일
※ 기상/안보 등 특이상황 발생 시, 갑자기 투어가 취소 되거나 대체 일정으로 운영될 수 있음
- 이용시간
10:00 / 14:00
※ 최종 방문 확정 인원이 5명 이상인 경우에만 투어 운영 (4명 이하인 경우, 해당 일정 투어 운영 자동 취소)
- 입장료
1인당 10,000원
- 주차시설
가능
- 체험가능연령
만 7세 이상 참가 가능 (신분증 지참 / 미성년자에 한해 가족관계증명서로 대체)
◎ 코스안내
고성통일전망대 → 해안전망대 → 통전터널 → 남방한계선
◎ 주위 관광 정보
⊙ 고성 통일전망타워
- 홈페이지
고성 통일전망타워 http://www.tongiltour.co.kr
고성 문화관광 https://www.gwgs.go.kr/tou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휴전선과 남방한계선이 만나는 해발 70m 고지의 통일전망대에 서면 금강산의 구선봉과 해금강이 지척에 보이고 맑은 날에는 옥녀봉, 채하봉, 일출봉 등을 볼 수 있다. 발 아래의 휴전선철책을 사이에 두고 대치해 있는 최전방 초소는 남북한의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연간 15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고성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이곳엔 북녘에 두고 온 산하와 가족을 그리는 실향민과 통일을 염원하는 이들을 위한 성모상, 미륵불상, 전진철탑 등 종교적인 부대시설과 장갑차, 탱크, 비행기 등 안보 교육용 전시물이 있다. 발 아래에는 2004년 12월 개통된 동해선 남북연결도로로 금강산육로 관광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DMZ 평화의길(고성 A/B코스)
- 홈페이지
https://www.durunubi.kr/dmz-main.do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금강산과 설악산을 연결하는 고성 DMZ는 금강산 육로 관광이 시작된 역사의 현장으로 금강통문을 거쳐 금강산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해금강과 금강산 풍경은 평화의 길 여행에 나선 이들에게 말로 다할 수 없는 감동을 선사한다. 정전 협정 이후 66년만에 최초인 2019년 04월27일 DMZ를 민간인에게 개방한 역사적이고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곳으로 ''고성 DMZ 평화의 길’ 체험은 평화와 안보의 현주소를 생생하게 경험하게 될 것이다.
* 고성지역 코스
[A코스] 통일전망대 → 해안전망대 → 통전터널 → 남방한계선→ 통일전망대 (도보 3.6Km)
[B코스] 통일전망대 → 안호검문소 → 금강산전망대 → 통일전망대 (차량 7.2Km)
[고성 DMZ 평화의 길 출발지 (통일전망대)로의 이동 안내]
통일전망대 8.6Km이전 출입신고소에서 반드시 출입신고를 한 후, 제진검문소에서 신원확인 및 방문증을 교부받아 통일전망대로 이동
⊙ 통일안보공원
- 홈페이지
http://www.tongiltour.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통일전망대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 통일안보공원이다. 통일전망대 입장을 하기 전 안보교육관에서 영상물 관람이 이루어지며, 약 700명 동시 착석이 가능한 강당시설이다. 안보교육관 앞에는 평화 통일의 염원을 담고 있는 평화의 종이 설치되어 있다.
동해대로 방면 주차장 위쪽에 호림 유격전적비가 있다. 한국전쟁 직전 북한 무장 게릴라의 남침을 저지하다가 희생된 호림 유격대를 기리기 위해 조성했다. 전적비 상단에 횃불을 높이 든 유격대원 동상이 불굴의 기상을 보여준다.
※ 민간인 출입이 금지된 ‘민통선’ 안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신고 및 교육 등 소정의 절차를 밟아야 입장 가능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마차진해변
-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현내면)
통일 안보공원의 동쪽에 위치한 총길이 400m의 조용한 해변이다. 희고 고운 백사장과 육지와 연결된 무송대가 있어 천혜의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무송대는 해변에 있는 작은 섬인데 소나무가 울창하다고 해서 이름을 무송대라 한다. 섬을 배경으로 한 일출이 매우 아름답지만 현재는 출입 불가다.
무송대까지 이어지는 해변을 기준으로 두 갈래로 나뉘는 바다에서는 한쪽은 성게, 고동, 소라를 채집할 수 있고 스노클링도 즐길 수 있다.
다른 한쪽은 활처럼 휘어진 해변에서 보트 타기와 수영을 할 수 있다.
해변가에 둥그런 바위가 있는데 영해 기준점이라고 적혀 있다. 이곳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영해가 시작된다.
피서객이 많이 없어 한적한 편이며 버스가 이곳 앞의 차고지를 종점으로 하고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쉽다. 또한, 고성 금강산콘도와 민박이 주변에 있어 숙박이 편리하고 통일전망대에 인접해 있어 금강산을 볼 수 있다.
* 무송대(섬) : 조선시대 무송부원군 윤자원이 이 섬에 머물러 풍류를 즐겼다고 하며 자시에 물이 갈라진다고 한다.
⊙ 대진1리해변
- 홈페이지
http://tour.gwgs.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한나루로4길 1
동해안 최북단 항구인 대진항 포구와 인접해 있어 연안에서 어획되는 싱싱한 활어회를 맛볼 수 있는 북쪽에 위치한 해변이다. 길이 350m, 넓이 10,578m²(3,200여 평)의 백사장에는 희고 고운 모래가 깔려 있으며 물빛이 깨끗하고 수심이 평균 1.3m로 얕은 편이다.
대진항 남쪽의 대진 5리에도 백사장의 길이 150m, 넓이 4,628m²(1,400여 평)의 아담한 간이 해수욕장이 있다. 이 역시 군사시설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관할 군부대와 협의해서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 맞추어 개방된다.
해변 아래쪽 작은 산 위에는 대진등대가 우뚝 서 있어서 오가는 배들의 신호등 역할을 한다. 대진리의 두 해수욕장은 고성 통일전망대를 오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어 관광객의 발길이 제법 잦은 곳이다.
⊙ 대진 등대
-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한나루로4길 16-38
대진등대는 거진항과 마차진 사이의 돌출된 곶에 자리 잡은 곳이다. 등탑이 팔각형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고, 불빛은 12초 간격으로 깜빡이며, 약 37km 떨어진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등탑 위 전망대에 올라서면 동해바다의 아름다운 모습을 조망할 수 있으며 환상적인 일출과 석양을 감상하기에 제격이다.
시야가 좋은 날에는 멀리 해금강은 물론이고 북한지역까지 바라볼 수 있다. 대진등대는 설치 당시 1개의 유인 등대와 또 다른 보조 등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대진등대가 설치된 목적이 어로 한계선을 표시하는 도등(2개의 등대를 연결하는 선이 어로 한계선)의 역할을 하기 위해 1973년 1월 불빛을 밝히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1년 어로한계선을 북쪽으로 5.5㎞로 상향 조정하면서 도등의 역할을 마치고 1993년 4월 1일 일반등대로 전환되었다.
대진등대의 또 하나의 특징은 동해안 최북단의 무인 등대인 저진도등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곳이라는 점이다. 저진도등은 2개의 등대를 연결한 선이 어로 한계선임을 표시하면서 어선들이 월북 조업하지 않도록 안전한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저진도등의 전도등은 35m, 후도등은 20m의 높이로서 홍백 사각의 콘크리트 등대이다. 현재 군사, 안전상의 이유로 전망대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 대진항
- 홈페이지
http://www.gwgs.go.kr/tour
대진항 http://daejin-port.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항길 (대진리)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한 항구이다. 처음엔 대범미진이라 불렀고, 그 후 安씨와 金씨가 개척하였다고 해서 안금리(安金里)라고 칭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여산현(驪山縣), 그 후에는 열산현(烈山縣)에 속해 황금리(皇琴里 황구리)라고 불러왔고,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한나루(大津里)라고 개칭하였다. 그 후 동해안을 따라 확장되는 신작로가 개설되고 1920년에는 고성군 현내면 소재리로 승격하였으며, 한나루(포구)에 축항을 쌓아 명실공히 조그마한 어항으로 축조되었고, 1925년부터 동해 북부선 철도공사가 시작되어 1935년에 개통을 보게 됨으로써 어항을 모체로 풍부한 수산자원 (청어, 정어리)과 농산물을 원산으로 수송케 됨으로써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출처 : 고성군 문화관광)
⊙ 영동횟집
- 영동횟집
033-682-3455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항길 91
대진항에 위치한 영동횟집은 주변으로 통일전망대 및 화진포 해수욕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 어업인들이 잡아올린 싱싱한 자연산 활어회 및 생선 등이 유명한 곳이다. 청정해역이라 불리는 이곳은 물이 깨끗하여 자연산 활어들의 맛과 육질은 싱싱하고 그 맛 또한 좋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양구군] 양구청소년수련관 (7) | 2025.02.12 |
---|---|
[강원도 인제군] 송강카누학교 (0) | 2025.02.12 |
[강원도 화천군] [DMZ 평화의 길] 백암산 비목 코스 (0) | 2025.02.07 |
[강원도 철원군] 한여울 6코스 (0) | 2025.02.06 |
[강원도 고성군] 캠핑느루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