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봉화군] 하눌저수지

728x170

하눌저수지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하눌리

1999년도에 준공 되었고, 저수지의 최고 저수량은 364,000㎥이다. 저수지의 옆에 관리사무소가 있고, 주변에 공터가 있어 야영이 가능하며 주차장도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679-5911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경북_봉화_하눌저수지01경북_봉화_하눌저수지02경북_봉화_하눌저수지03경북_봉화_하눌저수지04



◎ 주위 관광 정보

⊙ 구양서원


- 홈페이지
http://www.bonghwa.go.kr/open.content/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산정길 202-17

구양서원은 1914년 처음 백산 변경회와 봉은 변극태 선생을 봉향하는 사당을 건립하고 세덕사라 이름 지었다. 1924년 후손들에 의해 묘우, 강당, 서재 등을 신축하고 사림의 뜻에 따라 구양이사로 승격됐다. 1984년에는 후손 변교우가 자비로 중수할 때 규모를 확장하여 묘우, 전사청, 동재, 서재, 삼문, 문루, 기타 부속건물을 신축했다. 이후 서원으로 승격하여 대은 변안렬 선생을 주벽으로 삼고 변경회, 변극태 선생을 배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로는 사당인 숭절사, 정당인 염수당과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다.
대은 변안렬 선생은 고려 말 홍건적을 평정했고, 1380년 도체찰사로 운봉, 인월 등의 지역에서 왜구를 대파해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고려 말 새 왕조에 항거하다가 1390년 유배지인 한양에서 타계했다.

⊙ 워낭소리촬영지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산정길 84-41

‘워낭’은 말이나 소의 목 밑으로 늘여 단 방울이나 쇠고리로 말이나 소가 한 걸음 걸을 때마다 조용히 딸랑거리는 소리를 말한다. 2008년 개봉한 영화 이충렬 감독의 ‘워낭소리’는 여든이 넘은 최노인과 마흔살 소의 우정과 사랑을 그린 아름다운 이야기로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2008)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수상과 한국 최초 선댄스 영화제(2009) 다큐멘터리 경쟁부문에 초청되었다.
마을 초입 '워낭소리 공원' 에는 워낭 대장군, 워낭 여장군이 마을을 지키고 있으며, 영화의 배경이 되었던 초가집은 몇 년 전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 그 자리에는 할아버지 후손이 거주하는 낮은 기와집이 있으며 영화를 기억하고 방문하는 관광객을 맞이한다.
집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할아버지와 소의 무덤이 있고 영화에서 나레이션으로 나왔던 할아버지와 소의 이야기가 우리를 영화속으로 안내한다. 특별할 것 없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전형적인 농촌마을이고 지금은 소달구지를 탄 최씨 할아버지 동상만 남아있지만 영화를 추억하는 사람에게는 삶과 사람과 동물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장소이다.

⊙ 워낭소리공원


- 홈페이지
https://www.bonghwa.go.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산정길 84-41

워낭소리의 이충렬 감독은 2005년 <워낭소리>의 주인공 최원균 할아버지와 소를 만나 3년여에 걸친 촬영으로 완성한 그의 첫 극장용 장편 다큐멘터리이며, 탄식이 나올 만큼 아름다운 자연의 풍경은 <워낭소리>를 가장 특별하게 하는 힘이다.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2008) 피프메세나상(최우수다큐멘터리상) 수상과 한국최초 선댄스영화제(2009) 다큐멘터리 경쟁부문 초청으로 주목 받으며 영화 관계자는 물론 영화제를 통해 미리 본 관객들의 입소문으로 2009년 다큐멘터리 최고 기대작으로 떠오른 영화다. 이후 서울독립영화제 2008의 수상과 매진사례를 기록하며 그 뜨거운 입소문의 실체를 확인한 작품이다. 이 <워낭소리>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원이다.

⊙ 봉화목재문화체험장


- 홈페이지
https://www.bonghwa.go.kr/open.content/tou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구절로 151

봉화목재문화체험장은 2012년도 목재문화 진흥과 국산 목재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 일원 조성되었다. 목재의 종류와 특성, 생활 속 목재의 쓰임새, 목재의 생산과정과 종류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실과 춘양목의 우수성을 알리는 홍보영상실 및 목재도서관이 있으며, 간벌목과 부산물 등을 활용하여 생활공예품, 놀이기구, 학습기구를 직접 만들어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목공체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야외에는 울창한 창평산림욕장이 있어 춘양목 소나무 숲에서 나오는 피톤치드가 담긴 맑은 공기를 마시며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수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연못정원, 다양한 식물들을 계절별로 관찰할 수 있는 자생식물단지, 관람객 편의를 위하여 탐방로와 휴게시설, 잔디광장, 야외교육장 등이 용도별 시설을 갖추고 있다.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산림교육전문가 양성교육, 유치원, 초, 중, 고의 체험학습 및 자유학기제 활동, 경북유아숲지도사 자격증반 실습 등이 있어 다양한 교육장소 사용된다, 목재를 활용하여 책꽂이, 저금통, 보석 상자 등 목재 곤충 모형 만들기, 목재 오토마틱 민들기, 도마 만들기, 수납장 만들기 등 다양한 일일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 봉화향교


- 홈페이지
http://www.bonghwa.go.kr/open.content/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향교길 11-10

봉화향교는 조선 세종 때에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이다. 정문인 사주문을 들어가면 휴식 공간인 누각이 있고 그 뒤로는 유생들이 공부하는 명륜당이 있으며, 양옆에는 유생들의 거처인 동·서재가 마주 보고 있다. 명륜당 뒤 왼쪽에는 내삼문과 그 안에 사당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공자의 제자와 조선시대 여러 성현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전체적으로 공부하는 곳이 앞쪽에, 제사 지내는 곳이 뒤쪽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건물 배치이다.

⊙ 봉산리사(봉화)


- 홈페이지
봉화군 문화관광 https://www.bonghwa.go.kr
문화재청 https://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예봉로 1840

봉화군 봉화읍에 있는 봉산서원은 1793년(정조 17) 지방 유림의 공의로 조선 시대 문신 김종걸(1628~1708)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봉산리사]라고도 불린다.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25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묘우인 숭덕사와 봉산당, 신문, 진례문, 주소 등이 있으며 제관실이 딸린 문간채와 일자형의 본채가 어우러져 ㅁ자형을 이룬다. 숭덕사에는 김종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강당인 봉산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마루는 원내의 여러 행사나 유림의 회합 등에 사용되며, 동쪽 협실은 재석 및 별유사의 방으로, 서쪽 협실은 헌관실로 사용하고 있다. 신문은 향사 시에만 제관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매년 3월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2km 거리에는 김종걸이 1650년에 세운 정자 [도암정]이 있는데 이는 인공섬을 갖춘 연못이 있는 남향 건물로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김종걸은 이곳에서 유림들과 세상사와 시를 읊었다고 전해진다.

⊙ 봉화문화원


- 홈페이지
http://www.bhcc.or.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내성로4길 6-13

봉화문화원은 1951년부터 봉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전쟁고아구휼사업, 지역 문화사업, 야학, 도서관 등을 자발적으로 운영해 온 대표적인 문화기관이자 봉사기관이다. 1965년 사단법인으로 등록됐다.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로 전시실, 도서실, 강의실, 회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지역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일본어, 중국어 등의 외국어 교육과 한자, 서예, 그림 그리기, 플롯, 하모니카, 요가 등의 강좌가 있으며 매년 2월 공지 및 접수한다.
봉화문화원은 전통문화의 계승과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지역주민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봉화 닭실마을


- 홈페이지
https://www.bonghwa.go.kr/open.content/ko/pinetopia.bonghwa/bonghwa.proud/village/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충재길 44

1963년 국내 최초 마을단위의 국가 지정문화재가 되었다가 2009년에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이라는 이름의 명승으로 변경되어 보존되고 있다. 마을에는 국가 지정문화재 5건 482점과 일반동산문화재 2,979점이 남아 있는데 대부분 마을내의 박물관에 보관중이다. 닭실마을은 ‘한과’로도 상당히 이름난 곳으로 5백년 역사의 전통 한과를 만들어 볼 수 있으며 외국인 대상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을 만큼 전통체험으로 특화된 곳이다.


⊙ 봉화 청암정


- 홈페이지
http://www.bonghwa.go.kr/open.content/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충재길 44

청암정은 1526년(중종 21)에 조선 중기의 문신 권벌이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닭실마을(구 유곡마을)에 지은 정자이다. 청암정은 신탄 상류 약 500m 되는 곳에서 물을 끌어 올려 연못을 파놓았고, 거북 모양의 바위와 조촐한 돌다리가 놓여 있어 옛 풍취를 한층 돋우어 준다.
청암정은 조선 전기의 정원과 함께 연못이 있는 곳이며 따로 별당을 갖추고 네모진 돌담을 둘러쳤다. 초가가 딸려 있는데, 정내에는 청암수석(靑巖水石)이라 새긴 허목이 쓴 편액이 걸려 있어 옛날 시골 연못의 모습을 오늘에까지 전하고 있다.
유곡마을을 대표하는 명승지이며 주변에 소나무가 울창하고 아름다운 돌들과 계곡 등과 함께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1963년 3월 28일 사적 및 명승 [내성유곡 권충재 관계유적]으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12월 9일 지정해제됨과 동시에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유곡마을은 1380년 충재 권벌의 선조가 처음 정착한 곳으로 안동권씨의 집성촌으로 서쪽으로 흐르는 석천계곡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