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양천구] 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728x170

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남부순환로64길 26 (신월동) 신월야구장

서서울호수공원 물놀이장은 서서울호수공원에서 물놀이형 수경시설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설이다. 매년 7월 1일 개장하고 8월 말 까지 운영한다. 매 정각에 30분 가동하고 그 후 30분 휴식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수질관리를 위해 월요일은 휴장한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물을 받아놓는 형태가 아닌 물 분수 형태의 물놀이장이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매년 7.1~8.31(총 2개월)

- 문의및안내
02-2604-3004

- 쉬는날
월요일

- 이용시간
12:00~16:30
※매 정각 30분 가동 후 30분 휴식

- 주차시설
있음





◎ 이용요금
무료





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5)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6)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7)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9)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0)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2)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3)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4)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5)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2)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3)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4)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8)서서울호수공원물놀이장 (11)



◎ 주위 관광 정보

⊙ 서서울호수공원


- 홈페이지
서서울호수공원 http://parks.seoul.go.kr/lakepark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남부순환로64길 20

2009년에 개장한 서서울호수공원은 옛 신월정수장을 공원조성사업을 통해 '물'과'재생'을 테마로 문을 연 친환경 공원이다. 1959년 처음 문을 연 김포정수장은 1979년 서울시에서 인수하여 하루에 평균12만t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2003년 '서울시 정수장 정비 계획'에 의거 가동이 중단되었다. 2006년경 서울의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및 서남권의 대표 테마공원 조성을 통해 지역활성화의 발판을 삼고자 최종적으로 공원을 조성하기로 결정되었다. 부천시와 경계를 이루는 능골산을 건강한 숲으로 복원하고 등산로를 정비하여 여의도공원, 양재 시민의 숲에 버금가는 총 225,368㎡ 의 면적을 가진 서남권 최대 규모의 테마공원으로 몬드리안 정원, 어린이놀이터, 물놀이장, 서서울예술교육센터 등 다양한 볼거리와 휴식공간들이 많다.


⊙ 곰달래꿈마을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곰달래로 36

곰달래꿈마을은 2014년 주거환경관리사업 대상지로 결정되어 마을 기반시설 정비 및 공동이용시설 설치, 공동체 활성화 재생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공동이용시설에는 까페, 동아리발전소,다목적실이 있다. 주요활동으로는 골목길 축제(매년 10월), 밥상나누기(매주 목요일), 챔버오케스트라, 골목길 경관 조성사업이 있으며 서울시 마을상수상(2017년), 현대자동차기프트카공모전 수상(2017년) 공동체우수사례 발표한마당 최우수상(2018년) 한겨레-SH공사 행복둥지 공모전 최우수상(2018년)을 수상하였다.


⊙ 지양산(무장애숲길,유아숲체험원)


- 홈페이지
https://gil.seoul.go.kr/walk/main.jsp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지양산은 모든 주민들이 편리하게 산을 산책하며 숲을 이용할 수 있다. 무장애숲길과 등산로를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하였다. (휠체어 순환 구간 570m, 휠체어 회차 구간 210m) 또한 신정산, 용왕산과 같이 도심 속 아이들이 숲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유아숲체험원이 있다. 인디언 집, 낙엽 풀장, 하늘 보기 해먹 등 유아숲체험원에서 감수성, 상상력을 키울수 있다.

⊙ 신월음악도서관


- 홈페이지
양천구 http://www.yangcheon.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5길 34

책으로 하나 되는 양천구, 그 길을 신월디지털정보도서관이 함께 걸어가겠습니다.신월디지털정보도서관은 2006년 2월 지역 주민들에게 독서문화 및 지식정보제공을 위해 신월4동 복합청사에 설립된 양천구 구립도서관입나다.신월디지털정보도서관은 양천구 지역 주민들을 위한 독서 및 문화 나눔터를 지향합니다. 앞으로도 주민들의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한 장서와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올바른 도서관 문화 형성에 기여하겠습니다.


⊙ 푸드뱅크마켓 신월점


- 홈페이지
https://eloveyc.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곰달래로13길 73 (신월동)

푸드뱅크마켓센터는 매 끼니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가정에 후원받은 식품을 무상 제공하며 식생활 개선과 함께 다양한 생활용품도 전달하며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양천구에는 2곳의 푸드마켓센터가 있는데 신정동과 신월동에 있고 그 중 2호점인 신월점이다.
이곳은 대상자가 직접 푸드마켓을 방문하여 원하는 식품을 선택하는 이용자 중심의 전달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기부식품 모집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이용자의 편익을 고려한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특화사업인 김구이 봉사단과 가족택배봉사단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지하철 5호선 화곡역 5번 출구에서 버스를 타고 가로공원 공영주차장 정류장에 하차하여 270m에 위치하고 있다.

⊙ 재활용창작품상설전시관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화곡로4길 26 (신월동)

재활용창작품상설전시관은 자원절약과 올바른 재활용 분리를 배우고 버려지는 자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작품을 구경하고 직접 체험하는 곳이다. 재활용창작품상설전시관에서는 재활용창작품 150점 이상이 전시되어 있으며, 재활용품을 이용한 만들기 교실을 체험할 수 있다. 버려지는 자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작품을 개발함으로써 눈을 즐겁게 하고 건전한 소비 문화와 취미활동에 도움이 되어 재활용의 이용 가치를 높이고 있다. 전시관은 수도권 지하철 5호선 발산역 7번 출구에서 버스를 타고 대원시장에 하차하여 도보 25분 거리에 있다.

⊙ 고강선사유적공원


- 홈페이지
http://www.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148006001003002

- 주소
경기도 부천시 고리울로8번길 92 (고강동,경동빌라)

청동기에서 초기 철기시대(기원전 6세기~3세기)에 걸치는 마을 유적이다. 부천시 고강동에서 발굴된 기원전 1,300여 년 전(3,300 년 전)의 유적으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발견된 청동기시대의 집단취락지로, 한강유역 초기국가단계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적지다. 희귀한 제사 유적으로 보이는 적석환구가 작동 쪽 산꼭대기에서 발굴되었고, 청동기시대의 유물로는 갈아서 만든 반달돌칼, 돌칼, 돌도끼, 돌화살촉, 구멍 뚫린 토기, 점토띠토기, 제기형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공원 내 재현 모형과 체험시설이 많다. 부천문화둘레길 내 코스라 가볍게 가족과 함께 둘러 볼만한 관광지이다.

⊙ 부천문화둘레길-마을이음길


- 주소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 90

청동기 시대 집터와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유적지, 500년 전 고강동 지역에 정착하여 삶을 일궈온 밀양 변 씨 후손들이 살던 마을을 둘러볼 수 있는 역사 탐방길이다. 산과 들판, 오래된 동네의 골목과 시장 등이 골고루 어우러져 있는 동네 산책길로 동네 골목 사이의 작은 정원,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들판에서 풀과 나무를 관찰할 수 있는 생태 탐방길이다.

⊙ 장수공원(열녀문)


- 홈페이지
http://www.yangcheon.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신월동 지역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장수공원은 신정 네거리 ‘물이 흐르는 거리’를 기점으로 신월동 복개도로까지 조성되어 있으며 곳곳에 건강지압로, 배드민턴장 등이 있어 산책과 운동을 겸할 수 있는 공원이다. 물이 흐르는 거리의 해누리 분수광장은 도심 속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어주는 친수공원으로 시원함을 선물한다. 장수공원 중앙광장에는 6.25전쟁 및 월남전에 참전한 국가유공자를 위한 참전유공자명비도 건립되어 있다. 장수공원의 걷고 싶은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열녀문이 나온다. 이 열녀문의 주인공인 부인 이 씨는 전의 이 씨 명문의 귀한 딸로 태어났으나 일찍 남편과 사별하였는데 사별한 남편에 대한 애통함 때문에 밥을 먹지 않고 단식하여 이십 대 후반에 사망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보고받은 조정에서는 1729년(영조 5년)에 전의 이 씨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하여 ‘열녀 학생 원정익 처 전의 이 씨의 문’이라 기록된 현판의 열녀문을 하사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