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

[강원도 평창군] 동강레포츠

728x170

동강레포츠


- 홈페이지
http://www.raft.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길 41-5

동강레포츠는 "늘 푸른 자연속에서 신레져문화 창조"라는 이념 아래 창립되었으며, 1994년 동강 최초로 래프팅 코스를 개발하여 당시 영월댐 건설계획으로 수몰 위기에 처했던 동강을 세상에 알림으로써 천혜의 비경 동강을 지켜내는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3-333-6600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예약안내
전화 문의 033-333-6600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동강 래프팅]
 - 절매코스 : 어름치마을 절매나루 ~ 어름치마을 진탄나루 (5km / 2시간)
 - 어라연코스 : 어름치마을 진탄나루 ~ 영월 섭세강변 (13km / 3시간)



◎ 체험프로그램
래프팅, 카약, 스카이라인, 스카이점프, 백룡동굴 탐사 등



◎ 이용요금
절매래프팅 : 대인 25,000원 / 소인 20,000원
어라연래프팅 : 대인 40,000원 / 소인 35,000원
황새여울래프팅 : 대인 40,000원 / 소인 35,000원
백룡동굴+래프팅 : 대인 41,000원 / 소인 32,000원
급류카약 : 대인 45,000원 / 소인 40,000원
동강대탐사래프팅 : 대인 80,000원 / 소인 70,000원





동강레포츠_(2)동강레포츠_(6)동강레포츠_(4)동강레포츠_(5)동강레포츠_(3)



◎ 주위 관광 정보

⊙ 와우미탄(WOW:미탄)


-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wowmitan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마하길 41-5

와우미탄은 평창군 미탄면에 거주하고 있는 5명의 청년이 구성한 협동조합이다. 산너미목장, 어름치마을, 옐로우트리 카페, 평창연화농원을 운영하고 있는 청년들은 미탄면의 잘 보존된 자연과 건강한 농특산물을 기반으로 주민여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 어름치마을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mahari.kr/?c=19/52&uid=152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마하길 41-5

어름치마을에서 직영하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어름치마을캠핑장은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일부 데크에 몽골텐트가 설치되어 있다. 바비큐 그릴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캠핑 트레일러 진입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최고의 청정 수계지역인 동강에서 래프팅, 카약을 즐길 수 있으며, 백운산, 마두미길, 칠족령에서 트래킹을, 백룡동굴 탐사를 즐길 수 있다.

⊙ 평창 어름치마을


- 홈페이지
어름치마을 http://www.mahari.kr/
와우미탄 https://wowmitan.modoo.at/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길 42-5

천연기념물 어름치가 서식하고 있는 청정자연 속의 어름치 마을은 굽이쳐 흐르는 동강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계곡과 산의 경치가 수려한 곳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래프팅, 카약, 스카이라인 등 다양한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석회동굴인 천연기념물 백룡동굴에서 기이한 형태의 종유석, 석순, 석주를 감상할 수도 있다. 칠족령 트래킹 코스는 굽이치는 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들여 꼭 가 볼 만하다. 어름치마을의 다양한 체험거리는 전화(033-332-1260) 또는 홈페이지(https://wowmitan.modoo.at/?link=6cafoz3e)에서 예약 가능하다.


⊙ 동강 래프팅(평창)


- 홈페이지
http://tour.pc.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래프팅은 고무보트를 탄 6~8명이 호흡을 맞추어 계곡의 급류를 헤쳐나가는 레포츠이다. 1990년대 들어서 국내에 보급된 래프팅은 이제는 기업체 연수나 학교, 단체의 야외훈련 프로그램으로 인기가 상당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3대 래프팅지로 꼽히는 동강(평창, 영월, 정선지역), 한탄강(철원, 연천), 내린천(인제)에서 래프팅을 계획한다면 강의 특징과 주변 정보를 미리 수집해야 효율적이다. 동강래프팅의 대표지점인 강원도 평창 진탄나루는 수하계곡을 지나 마하리에 이른 계곡 물이 동강과 합류되는 곳이다. 대부분의 동강 래프팅은 이곳에서 출발해서 황새여울, 암반여울, 문희마을, 백령 동굴 경유, 칠목령을 거쳐 다시 진탄나루 돌아오기까지 4시간이 소요되는 긴 여정을 가진다. 진탄나루에서 비포장도로로 약 5km를 올라가면 만나는 문희마을은 트래킹 장소로 유명하다.


⊙ 기화리 코끼리바위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기화리 225

최근 국가지질공원으로 선정된 강원 고생대지질공원 기화리 코끼리바위는 정선 방면으로 3km 이동한 후 백운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평창동 강로 마하생태관광지 방면으로 약 4km 진입하면 도로변 우측의 창리천에서 솟아오르는 용출수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 100m 더 이동하면 창리천 건너편의 코끼리바위를 확인할 수 있다.
기화리 지역은 암회색 내지 담회색의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바위는 생긴 형상이 마치 코끼리를 닮았다하여 주민들이 코끼리바위라 부른 것이 오늘에 이른다.
기화리 코끼리바위는 지금으로부터 약 4억 5천만 년 전(하부고생대의 오르도비스기에 쌓인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회암은 따뜻한 열대, 아열대 기후의 지역에서 얕은 바다에서 석회성분(CaCO3)을 만드는 생물의 껍데기가 쌓여서 형성된 암석으로, 암석 분류 중에서는 퇴적함에 해당한다.
이 지점의 상부에는 고마루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해 있는데,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상부 카르스트 지표에 스며든 물이 이곳을 통해 유출되어 폭포를 이룬다.

⊙ 성동힐링센터 휴영월캠프


- 홈페이지
https://www.sd.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로 1488-23

성동힐링센터 휴영월캠프는 복잡한 도시에서 벗어나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동강에서 래프팅도하고 힐링센터에서 캠핑을 하며 자연에서 여가를 즐긴다.

⊙ 고마루 카르스트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고마루길 2 (한탄리)

미탄면에서 42번 국도를 타고 정선방면으로 2.8㎞ 이동한 후 백운삼거리에서 우회전, 기화리 방면으로 1.4㎞ 직진하면 한탄3교가 보이는데 여기서 우회전하여 2.8㎞ 더 간 후, 작은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임도로 2.3㎞ 이동하면 고마루 카르스트 지대가 나온다. 고마루카르스트는 고마루길의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고마루 지역은 영월형 조선누층군 영흥층의 암회색 괴상 석회암층 위에 수십 기의 돌리네와 우발라, 대형의 싱크홀이 분포하며, 주변에는 천연동굴이 있는 등 약 2㎢ 규모의 국내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대이다.
카르스트란 석회암 지역에 발달하는 용식 지형, 즉 빗물이나 지하수 따위에 의하여 암석, 광물, 토양 등이 용해되고 침식되어 이루어진 특수한 지형을 말한다.
이곳은 석회암(하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영흥층)이 분포하고 재치산(750.9m) 남쪽의 산꼭대기에 있는 편평한 지대에 발달한다.

재치산 남사면 고마루 일대는 해발고도 530~750m의 산간지대로, 빗물이나 지하수에 석회암이 녹으면서 만들어지는 아주 독특한 지형이다.
석회암이 녹아 웅덩이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돌리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돌리네가 합쳐져서 형성된 우발라, 지하에 만들어지는 석회동굴 등이 나타난다.

⊙ 백룡동굴 생태체험학습장


- 홈페이지
백룡동굴 생태체험학습장 http://cave.maha.or.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문희길 63

1979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그동안 미개방되어 자연그대로의 모습을 보존한 "백룡동굴"(천연기념물)을 일반인에게 국내 최초의 생태학습형 체험동굴로 개방하였다. 지하에 형성된 천연동굴의 우수한 경관을 직접 탐험하고, 교육적인 내용을 들으면서 관람할 수 있는 선진국형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국내 동굴 관광의 모범사례를 제시하고, 동시에 동강유역의 풍부한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을 지닌 미탄 마하지구를 레포츠 및 가족단위의 체험학습형 생태관광의 거점지역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평창남부의 낙후된 관광산업을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