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북도

[전라북도 정읍시] 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

728x170

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


-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bulhanzng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덕신강길 148-4

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는 동학 농민 혁명으로 유서 깊은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 위치한 조용하고 아담한 캠핑장이다. 캠핑을 즐기실 수 있는 기본 장비가 모두 준비돼 있으며 바비큐 테이블과 화로대, 의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전통 소나무를 사용하는 불한증막과 물놀이장, 노천 족욕탕도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 여름, 가을

- 문의및안내
063-535-2552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https://booking.naver.com/booking/3/bizes/243179/search?area=ple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익일12:00

- 주차시설
가능

- 주차요금
무료





◎ 이용요금
50,000원~14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주요시설
안전시설 설비사항 소화기:3, 화재감지기:3



◎ 부대시설
전기, 장작판매, 온수, 물놀이장





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_한증막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_캠핑내부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_족욕정화네 불한증막 힐링캠프_전경



◎ 주위 관광 정보

⊙ 남복리오층석탑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culture/index.jeongeup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영원로 596-31

남복리오층석탑은 비교적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온 고려시대 석탑이다.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린 높이 5.4m의 석탑으로 미륵암 앞에 있다. 하층 기단과 상층 기단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면석에 우주(모서리 기둥)를 새겼을 뿐 장식적인 요소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기단부의 하층과 상층 갑석 위에는 탑신부 괴임대를 두었는데, 상층 갑석에는 4면에 안상 2구씩을 조각하여 초층 탑신의 난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초층 탑신은 폭 80㎝, 높이 73㎝의 방형 1석인데, 네 면을 폭 14㎝의 둘레를 두고 방형으로 파내어 문비(문짝)의 형식을 갖추었으나 인왕상, 사천왕상 등의 장식적인 면은 없다. 2층 탑신석 역시 장식적인 요소는 없으며 1층 탑신에 비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옥개석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옥개받침은 각 층이 5단이며 초층옥개석만이 옥개석 윗면에 1단의 괴임대를 갖추었다. 초층옥개석의 윗면에 괴임대를 표현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2층에서 5층까지는 옥개석의 구성 기법이 동일하다.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이 올려져 있다.
주변의 관광지로 고부향교, 장문리 오층석탑, 군자정, 남복리미륵암석불, 용흥리 석불입상, 용흥리해정사지석탑, 고부관아지 등이 있다.

⊙ 고부향교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culture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교동4길 18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고부향교는 임진왜란 때 불탔는데, 선조 30년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대성전에는 공자의 위패를 가운데 모시고, 동·서쪽으로 맹자 등 네 성인, 안현 등 공자 제자 열 사람, 주자 등 중국 송나라 때 유학자 여섯 사람을 함께 모셨다. 신라시대 설총을 비롯한 우리나라 유학자 열여덟 분의 위패도 모시고 있다. 향교에서는 매달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서당에 향불을 피워 올리고, 매년 봄·가을에는 제사를 지냈다. 고부향교에는 1997년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400년된 은행나무가 있다. 나무의 높이는 18m 둘레는4.1m이다.
현재는 고부향교에서 선비걸음 체험, 동학길 걷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 고사부리성, 용흥리 해정사지 석탑, 남복리 오층석탑, 후지리 탑동 석불 등이 있다.

⊙ 용흥리 해정사지 석탑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해정길 56-48 (고부면)

고부읍성이 있는 성황산 북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주변에서 해정사라고 새긴 기왓조각이 발견되어 이 절의 옛터로 전하고 있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을 2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모습으로, 꼭대기의 머리 장식은 뒤에 따로 만들어 얹은 것이다. 각 기단의 4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뜬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두터운 편은 아니지만 경쾌한 느낌은 떨어진다.
간략하게 흐르고 있는 각 부분의 솜씨들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탑신부의 1층 몸돌이 지나치게 커 보여 균형이 맞지 않는다. 고부읍성 주변의 석탑들이 모두 2층 기단에 5층 이상의 높이를 지니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이 탑 역시 5층 정도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 고사부리성(고부구읍성)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정읍 고사부리성은 해발 132m의 성황산 정상부 두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성으로 백제시대 처음 쌓고 통일신라 때 고쳐 쌓았으며, 조선시대 영조 41년에 관아가 현재 고부초등학교 자리로 옮겨질 때까지 활용하였다.
조선시대 전기까지는 돌로 쌓은 성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흙으로 다시 쌓았다. 둘레는 1,050m이다. 백제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여러 가지 유물과 건물터, 우물터, 물 저장소 등이 확인되었다. 상부상항이라 새겨진 백제시대 기와와 말을 탄 병사의 모습이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이곳이 백제시대 5 방성 가운데 중방성의 터였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정읍 고사부리성은 잔존상태가 양호한 다양한 유구와 유물로 인해 우리나라의 고대 산성 연구에 중요하고 획기적인 자료가 되는 중요 문화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주변 관광지로 고부향교, 장문리오층석탑, 군자장, 남복리 미륵암석불, 용흥리 석불입상이 있다.

⊙ (유)금강 두승산 글램핑


- 홈페이지
http://www.금강두승산글램핑.com/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영원로 222-15

금강 두승산 글램핑은 정읍 시내에서 가깝다. 정읍역이나 시외버스터미널, 고속도로 정읍 나들목에서 머지않은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하다. 정읍천 옆에 있는 정읍아산병원에서 고부와 부안 방향으로 가다 보면 바로 오른 편에 나타난다. 정읍 시내를 지키듯 우뚝 솟아있는 두승산 자락에 자리 잡은 글램핑장에는 여름철의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릴 수 있는 대형 수영장과 어린이 풀장이 완비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영장 내에 위치한 카페에서는 전문적인 바리스타가 직접 내린 원두커피를 제공하는데 100% 국내산을 사용한다. 또 직접 재배한 꾸지뽕으로 백숙을 만들어 파는 식당도 있다.

⊙ 후지리탑동석불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후지리탑동석불은 전라북도 정읍의 해정사 절터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불상 높이 96㎝의 좌상이다. 석불은 불법의 진리를 상징하는 부처인 비로자나불이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풍화가 심해 세부 표현이 잘 보이지 않는다. 머리 부분은 떨어져 나가 형태를 알 수 없으며 두 손은 가슴에 모으고 있다. 빈약한 손과 좁은 무릎이 특징이며, 두 어깨를 모두 가린 승복은 부채꼴 옷 주름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다. 불상 받침대에는 꽃잎이 길쭉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불상은 조각 양식과 기법으로 볼 때 고려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변 관광지로 은선리 삼층석탑, 은선리토성, 운학리고분군, 은선리고분군,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이 있다.

⊙ 황윤석 생가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조동길 33

조선 후기 실학파 언어학자였던 이재 황윤석(1729~1791)의 생가이다. 그의 선친인 황전이 건립하였다. 이재 황윤석은 당시 학자가 탐구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걸쳐 연구한 학자였고 유학자이기도 했다.
높이 80cm의 잡석기단 위에 세워진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초가집으로서 그 규모가 매우 큰 건물로 전형적인 남부 지방의 가옥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동쪽 맨 끝 칸은 마루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방 한 칸, 대청 두 칸, 부엌 한 칸의 순서로 지어졌는데 대청 북쪽 벽 위에 평해황씨 선조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원래 안채 뒤편에 사당이 있었으나 터만 남아 있고 사랑채, 문간채는 소실되었던 것을 1909년에 다시 지었다고 한다.
고택의 지붕은 초가지붕인데 중산층 가옥이라 충분히 기와를 얹을 수 있었는데 기와를 덮으면 혈이 눌려서 집안이 좋지 않다는 풍문 때문에 초가를 얹었다고 한다.

⊙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 116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의 부처댕이라는 언덕 비탈에 위치한 2기의 백제 석불입상이다. 이 불상의 특징은 오른쪽 어깨에 법의를 걸치지 않고 맨살을 내놓은 모습을 우견편단이라고 하는데 신라통일 이전에는 금동불이나 마애불에 이같은 수법이 사용되었으나, 화강암의 완전한 입상 석불에 사용된 것이 발견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두 불상은 서로 비슷해 보이지만 크기나 특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큰 불상은 길고 부드러운 얼굴,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옷차림, 부드러우면서도 소박한 옷 주름이 특징이다. 얼굴 형태가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지만 두 눈은 움푹 들어가 있다. 작은 불상은 오른팔이 없으며, 큰 불상과 특징이 비슷하지만, 입가에 미소를 띤 모습이 앳된 느낌을 준다. 이 불상들은 정읍 지역의 유일한 백제 시대 불상이다. 2기의 불상 가운데 하나는 원래 따로 떨어져 있었는데 주민들이 하나를 옮겨 세운것이라 한다.
인근에 황윤석 생가, 고암서원, 옥산서원이 자리 잡고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