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포항시] 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

728x170

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pensioncamp.com/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땅끝마을길 72

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은 경북 포항시 남구에 있다. 포항시청을 기점으로 28㎞ 거리로, 새천년대로, 영일만대로, 동해안로를 번갈아 달리면 도착한다. 소요시간은 50분 안팎이다. 이곳은 호미곶해맞이광장과 구룡포항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덕택에 캠핑장에서 동해안의 수려한 풍경을 조망하며 캠핑을 만끽할 수 있다. 캠핑장에는 일반 야영장 33면이 있는데, 파쇄석 바닥 13면, 데크바닥 20면이다. 사이트 크기는 파쇄석 가로 7m 세로 7m, 데크 가로 4m 세로 6m이다. 개인 트레일러와 개인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단, 카라반의 경우 성수기에는 출입할 수 없다. 캠핑장 인근에 구룡포항, 호미곶해맞이광장, 삼정해변 등이 있어 연계관광이 용이하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 여름, 가을, 겨울

- 문의및안내
054-284-5530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http://pensioncamp.com/Yeyak/IlcYeyak.php/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5:00~익일11: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이용시설·기간에 따라 이용요금 상이하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주요시설
소화기: 20



◎ 부대시설
전기, 무선인터넷, 장작판매, 온수, 물놀이장, 놀이터, 운동시설, 마트.편의점





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_전경2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_일반사이트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_공용샤워실땅끝황토펜션오토캠핑장_데크



◎ 주위 관광 정보

⊙ 석병1리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석병리 881-2 석병1리마을회관

공진마을 주민들의 생활 터전
공진마을 주민들이 사는 곳으로 바다 쪽으로는 홍반장의 집이, 언덕 위로는 혜진의 집이 있다. 단, 이 집들은 실제 주민이 거주 중이므로 외부에서 조용히 둘러보아야 한다. 주민들이 잔치를 하던 마을회관을 지나 방파제의 끝에 다다르면 홍반장과 혜진이 결혼식을 올렸던 빨간 등대가 서 있다. 뚜렷한 색상 덕에 사진으로 한층 더 예쁘게 담기므로 인증샷을 꼭 남겨보자.

⊙ 유니의바다카라반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유니의바다.com/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일출로332번길 95-10

해가 가장 빨리 뜨는 곳 포항 구룡포에 위치한 유니의 바다 캠핑장은 캠핑장 전체가 바다 전망으로 어디서나 아름다운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코 앞에서 푸른 파도가 부서지는 포항의 바다를 즐길 수 있다.

⊙ 포항시청소년수련원(구룡포청소년수련원)


- 홈페이지
https://www.phyf.or.kr/

- 포항시청소년수련원
054-240-9100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명월길 51 (구룡포읍)

한반도의 아침을 가장 먼저 여는 해맞이의 성지 호미곶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체험활동 프로그램으로 청소년의 역량 강화와 특성화된 수련 거리를 마련하여 청소년들이 體·德·知를 갖춘 창의적인 인격체로의 푸른 성장과 자아실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크게 국가 인증 청소년활동 프로그램과 가족 참여 프로그램으로 나뉘는데, 참여 인원과 일정에 따라 세부적으로 선택 가능하다.

⊙ 웨이브글램핑


- 홈페이지
http://웨이브글램핑.com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일출로 465

웨이브글램핑은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석병리에 자리 잡고 있다. 포항시청을 기점으로 3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동해안로와 호미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글램핑 5개 동이 마련돼 있다. 내부에는 침대, TV, 테이블, 개수대, 취사도구, 조리도구, 화장실, 샤워실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이 완비돼 있다. 특히 개별 수영장이 갖춰져 있어 프라이빗한 시간을 만끽할 수 있다. 주변에 구룡포해수욕장,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 호미곶 고래마을 카라반펜션


- 홈페이지
http://xn--299aqbx32c99b5zd5uzpvy.com/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고래마을길 8

호미곶 고래마을 캠핑장은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강사리에 자리 잡았다. 포항시청을 기점으로 3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동해안로와 호미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캠핑장은 포항 앞바다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곳에 위치했다. 이 덕분에 풍경 감상은 물론 여름철 해수욕을 즐기기도 좋다. 캠핑장에는 카라반 6대가 마련돼 있다. 내부에는 침대, TV, 테이블, 개수대, 취사도구, 조리도구, 화장실, 샤워실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이 완비돼 있다. 주변에는 호미곶해맞이광장, 구룡포해수욕장이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 삼정해수욕장


- 홈페이지
http://www.pohang.go.k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일출로62번길

삼정1리해수욕장은 구룡포해수욕장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깨끗한 바닷물과 완만한 경사가 조화를 이룬 해수욕장으로 마을의 고깃배들이 잡아오는 싱싱한 수산물의 맛이 일품이다. 이런 좋은 여건때문에 조용한 해수욕장으로 인근에 이름 나 있다.


⊙ 그곳에가면


- 홈페이지
http://skin-skin1.gothere.cafe24.com/index.html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일출로 571

‘그곳에가면’은 ‘다무포 하얀마을만들기’ 추진 위원으로 활동하던 회원들이 모여 체험 관광마을을 만들기 위해 힘을 모은 업체이다. 다무포 하얀마을은 호미곶면 강사1리의 별칭이다. 이곳은 인구의 80% 이상이 바다와 관련된 일을 하는 전형적인 어촌 마을이었으나 바다 관련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관광 마을로 탈바꿈하고 있다. 대표적인 체험은 육지에서 해녀체험을 할 수 있는 해녀 체험, 도자기, 목공, 한지 등 해녀 체험과 함께할 수 있는 토털공예체험 등이 있다. 질 높은 체험을 위해 체험은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 구룡포주상절리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일출로62번길 65

구룡포주상절리는 구룡포해수욕장에 연이어 위치하고 있다. 화산 폭발로 용암이 분출되다가 갑자기 멈춘 듯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는 타 지역의 주상절리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 같은 구룡포 주상절리는 제1전망대와 제2전망대에서 감상할 수 있다. 두 전망대 간 거리는 30m 안팎으로 가깝다. 모든 전망대에서 주상절리뿐만 아니라 포항 앞바다의 풍경도 함께 조망할 수 있다. 특히 제1전망대에서는 구룡포해수욕장의 전체 풍경이 내려다보인다. 전망대 주변에는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다.
구룡포주상절리 주차장은 5면으로 협소한 편이다. 하지만 100m가량 떨어진 곳에 80면으로 이뤄진 구룡포해수욕장 주차장이 있어 주차에 어려움이 없다. 구룡포주상절리 주변에는 구룡포과메기물회거리,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 호미곶해맞이광장 등 유명 관광지가 많아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 해봉사(포항)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명월길 304-16

시원한 동해 바다를 바라보며, 31번 국도를 따라 호미곶에서 구룡포 방향 굽어진 도로를 가다 보면, 동해의 거친 바닷바람을 그대로 맞고 서 있는 등대와 가파른 산비탈을 개간해 일구어 놓은 논과 밭, 널어놓은 어망들, 그리고 그곳을 생활의 터전 삼아 살고 있는 조금은 거칠어 보이는 사람들의 또다른 삶의 모습들이 펼쳐진다. 푸른 바다와 그 바다에 맞닿아있는 파란 하늘이 싫증날 때쯤 해봉사의 초입인 청소년 수련원이 보인다. 그 앞으로 난 길을 이번엔 저수지를 따라 굽이굽이 돌다보면 인적이 끊어진 듯하다. 마을의 좁은 길을 지나면 좀 너른 계곡 평평한 곳에 절집이 자리하고 있다. 명월산 자락에 자리잡은 해봉사는 대한불교 법화종의 전통 사찰이다.

법화종은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로, ‘묘법연화경’의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 중생의 바탕과 능력에 따라 나누어진 불교의 여러 교법은 오직 성불을 지향하는 일불승의 길로 가야한다 는 것.)을 본체로 하여 일심삼관(一心三觀)과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익혀 중생을 교화하고 널리 불법을 펴서 호국함을 종지로 삼고 있으며 신라의 원효, 고려의 제관 스님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근본 경전은 『법화경』이며 본존은 석가모니불과 십계만다라이다.해봉사는 신라시대 636년(선덕왕 5)에 왕명으로 창건되었고, 당시는 군마를 기르는 곳으로 명월암으로 부르다 퇴락되었다. 그 후 조선시대 명종대에 상선대사가 중창하였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암자 형태로 사세를 이어오다 1973년 화재로 소실되고 최근 1985년부터 지금의 법은 주지스님이 주석하시면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른다. 대웅전과 산신각, 바닷가 마을이라 그런지 용왕각도 있고 작년에 완공한 범종각과 다보탑 모양의 탑이 바닷가 옆의 산속 조금은 너른 계곡을 차지하고 자리 잡고 있다. 절집 앞으로 너른 콩밭과 흙담집, 시내가 어우러진 작은 마을이 있다.

* 창건배경 및 역사
해봉사는 신라시대인 636년(선덕왕 5)에 왕명으로 창건되었는데, 당시는 군마(軍馬)를 기르는 곳으로서 명월암(明月庵)으로 불렀다고 한다.그러나 고려시대에 이르러 퇴락되었다가, 조선시대 명종(明宗, 재위 1546~1567)대에 상선 대사가 중창하였다. 당시 가람의 규모가 당우 13동에 40여 명의 승려가 거주할 만큼 큰 사찰이었다. 그러나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전 당우가 소실되었고, 그 뒤 근대에 이르기까지 암자 형태로 겨우 법등을 이어나갈 정도였는데 그나마 1973년 화재로 소실되었다. 최근에는 1985년부터 지금의 법은(法恩) 주지가 주석하였는데, 1987년에 중창 불사가 시작되었다. 1987년 용왕각, 1992년 대웅전, 1994년 요사를 지었으며, 2001년에는 대웅전 앞에 다보탑을 세워 오늘에 이른다.

(출처 : 전통사찰총서 16)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