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안성시] 두메낚시터

728x170

두메낚시터


- 홈페이지
http://www.doomeji.co.kr/

- 주소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메호수로 90

경기 안성시 죽산면에 약 250,000㎡라는 넓은 면적의 광혜저수지에서 즐기는 수상 글램핑 형태의 민물 낚시터이다. 저수지 저수율은 평균 70% 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면적이 넓은 만큼 다양한 어종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좌대가 설치된 부근의 수심은 약 2~5m 정도이고, 수상 글램핑 이용은 1박 2일 단위로 홈페이지 또는 모발일에서 예약한다. 가까이에 썬밸리CC와 진양밸리 골프장이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672-7838 (010-5051-3553)

- 쉬는날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홈페이지, 모바일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24시간

- 주차시설
있음 (약 30대)

- 주차요금
없음





◎ 이용요금
40,000원~250,000원



◎ 보유장비
구명부환, 구명동의, 구명줄, 소화기, 구급약품, 관리선, 관리선내 구명조끼, 단독경보형 감지기, 내부피난안내도



◎ 부대시설
관리실, 매점, 식당, 수세식 화장실, 샤워장, 카페, 수상좌대, 잔교좌대





경기도_안성시_두메낚시터_방갈3경기도_안성시_두메낚시터_전경1경기도_안성시_두메낚시터_전경2경기도_안성시_두메낚시터_전경3



◎ 주위 관광 정보

⊙ 안성 구메농사마을


- 주소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임꺽정길 51-7

* 복을 나눠주는 구메농사마을 *

칠현산 칠장사 바로 앞에는 고즈넉한 농촌 마을이 둥지를 틀고 있으니 이곳이 바로 '복조리마을'로 알려진 구메농사마을이다. '구메'란 구멍을 뜻하는 옛말이니 '구메농사'라 하면 작은 지역의 조그마한 농사를 뜻하는 말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부락이름으로는 신대마을로도 통한다. 일곱 명의 도적 이야기가 전해지는 칠현산 자락에 위치한 구메농사마을은 복조리마을로 더 많이 알려진 곳이다. 대부분의 마을 주민들이 복조리를 만들어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고 복조리 만드는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정초에 복조리를 주고받음으로써 복을 기원했던 우리의 미풍양속이 이 마을에선 일상이 되고 있다.

청정마을, 생태마을을 자랑하는 구메농사마을에서는 올해 마을 이미지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도 대거 준비했는데 전통 약차 만들기가 대표적이다. 마을에 조성된 연못에서 나온 백련을 이용해 만드는 연잎차 만들기부터 시작해서 쑥차 만들기, 뽕잎차 만들기, 댓닢차 만들기, 감잎차 만들기 등이 가능하다. 마을 곳곳에는 독립형 숙박시설이 있어서 하루 묵으며 조용히 쉬어가기도 좋다. 구메농사마을은 주체험관 앞에 펼쳐진 생태연못과 수로가 인상적이다. 이곳은 다양한 생태 체험 활동과 물고기 잡기의 주무대이기도 한다. 특히 미꾸라지 잡기는 관광객들, 그 중에서도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농촌체험 프로그램이다. 단체 관광객들의 성향과 취향에 맞추어 미꾸라지 잡기 외에 다른 민물고기 잡기 체험도 가능하다.

구메농사마을이란 이름보다 '복조리마을'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할 정도로 복조리 만들기는 이 마을의 대표적인 체험 프로그램이다. 마을 주민들이 복조리를 만드는 과정은 마을 산에서 신호대를 베어오는 작업부터 시작된다. 10월 무렵부터 4월까지가 대나무를 채취하기 가장 좋은 때인데 베어온 대나무는 4~5일 가량 말려서 3시간 정도 물에 축인다. 그래야 부드러워지고 부러지지 않는다. 관광객들은 그 이후 과정부터 체험 활동으로 참여하게 된다. 관광객들이 만들게 될 복조리는 주로 인기가 높은 미니어처와 주방에서 많이 쓰는 보통형 크기이다. 마을 주민들이 기본 작업을 도와주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복조리를 완성시키는 데에는 1시간이면 될 정도로 그다지 어렵지는 않다. 이렇게 만든 복조리는 복을 불러오고 액을 막아준다는 의미까지 담겨 있어 훌륭한 기념품이 된다. 대나무를 이용한 체험거리로는 복조리 만들기 외에 죽봉 만들기가 있다. 죽봉 만들기는 체험내용이 더 간단한데 가지런히 정돈된 대나무를 튼튼하게 묶기만 하면 완성된다. 혼자서도 등이나 몸의 일부를 두들기며 지압과 안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에이스 침대 음성공장


- 홈페이지
https://www.acebed.com/main/index.do

-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로 55-35

한국사람 인지도 1위의 에이스 침대 공장으로 하루 1,000개의 매트리스를 생산해 내는 첨단 전자동 무인 매트리스 생산라인을 갖추었다. 편리한 생활과 휴식을 재미있게 즐기며 관람할 수 있도록 견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침대는 과학’이라는 광고문구를 증명하듯 에이스 매트리스 우수성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이고 정밀하다.

⊙ 구암저수지


-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죽리 409-2

구암저수지는 충북 진천군 광혜원면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무수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댓골저수지로 불리기도 한다. 주변 풍광이 좋아 드라이브에 나섰다가 차를 잠시 세우고 쉬어가기에도 적합하고 산책로를 따라 걷다가 풍경을 감상하기에도 좋다. 저수지는 대소IC와 북진천IC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다.

⊙ 칠장사(안성)


- 홈페이지
http://www.chiljangsa.org
https://www.anseong.go.kr/tour

- 주소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는 칠현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신라 7세기 중엽에 자장율사에 의하여 개기하였다는 사찰로서, 문헌에 보면 사찰이 번창할 때는 건물이 대웅전을 비롯하여 총 56동 건물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칠장사에는 국보, 보물급 등 다량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로 11세기경 혜소국사가 7악인을 제도한 고사에 따라 산이름을 7 현산(七賢山)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칠현인이 오래 머물다 하여 칠장사로 명하였다. 특히,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 역사 소설의 일곱 도적과 병해스님 얘기의 배경이 된 곳으로 유명하다. 신라 47대 협안왕 서자인 궁예가 13세까지 칠정사에서 유년기를 보내면서 활연습을 한 활터가 남아있고, 고려시대 혜소국사에 의해 칠악인이 칠현인으로 제도된 일곱현인을 화신인 나한전은 어사 박문수가 기도를 드리고 장원급제를 했다고 전해지며, 당시의 과거 시제인 ‘몽중등과시’의 현장이며 옛날에는 과거 시험에 장원을 꿈꾸던 선비들이 많이 찾았고, 현재도 수험생 자녀를 둔 사람들의 공양이 많이 있는 곳이다. 사찰 주위로 숲이 우거져 경관이 화려해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특히 칠장사 주변에 있는 마을에서는 옛날부터 대나무 수공예품 만들어 왔는데 이 공예품들이 좋은 관광상품이 되고 있다. 칠장산은 높이 492m의 낮은 산인데 아담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 기슭에는 칠장사가 있고 절 주변에는 울창한 숲이 둘러싸여 있어 경치를 즐기며 가벼운 등산을 하기에 알맞은 산이며, 특히, 가을단풍이 절경이다.

설화
* 신라 47대손 현안왕의 서자인 궁예가 10세까지 칠장사에서 유년기를 보내면서 활 연습을 한 활터가 남아있다.
* 칠장사에서 열반하신 ‘여인천하’ 드라마의 갓바치스님(병해대사)과 제자인 임꺽정이야기의 발원지이며, 천민으로 등용될수 없는 사회제도를 바꾸려 했던 두 사람의 실화 이야기와 스승에게 조성해 바친 속칭 ‘꺽정불’이 전한다.
* 고려시대 혜소국사에 의해 7악인이 7현인으로 제도된 일곱 현인의 화신인 나한전은 어사 박문수가 기도를 드라고 장원급제를 했다고 전하며 당시의 과거시제인 ‘몽중등과시(夢中登科時)’의 현장이다. 시험 합격을 비는 사람들의 발길이 많은 곳이다.

* 주요문화재 -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문화재 보유하고 있는 사찰
1) 칠장사 혜소국사비 (보물)
승려 혜소국사(慧炤國師, 972~1054)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로서 비문(碑文)은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김현 선생이 짓고, 글씨는 전중승, 민상제 선생이 구양순체(歐陽洵體)로 썼다.

* 규모 - 총 높이 4.96m, 폭1.28m, 탑신높이3.4m
* 재질 - 화강암-검은 대리석 V*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칠장사

2) 칠장사 철당간 (지방 유형문화재)

3) 인목대비친필족자 (지방 유형문화재)
시대 - 조선중기
크기 - 길이 1.1m, 폭 50cm
재료 - 저지(猪指)
인목대비가 아버지 김제남(金悌男)과 영창대군을 위하여 칠장사를 원당으로 삼아 사찰을 중건하여 친히 김광명(金光明)에게 최승경(最勝經) 10권과 친필족자 1령을 하사한 것인데, 현재는 친필 족자 1령만 보존되고 있다.

4) 오불회 괘불 (국보)

5) 안성죽림리삼층석탑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63cm이고, 지대석은 가로 171cm, 세로 140cm이다.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의 석탑으로, 중대석은 각 면을 1식으로 마감하고, 갑석은 1판석에 옥신괴임을 2단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 1층 탑신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면에 둥근 고리(문비)를 탑몸돌[옥신 : 屋身]에는 양쪽에 모서리기둥 [우주 : 隅柱]을 조각하였다. 2층이상의 탑신은 1층에 비해 체감률이 급격히 줄어 심한 체감비례를 보이고 있다. 2층과 3층 탑신석은 1층과 같이 각 면에 모서리기둥을 모각하였다. 옥개석은 모두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옥개석 받침은 각 층 4단을 이룬다. 상륜부는 방형 노반만이 남아 있다. 탑신부의 체감비율이나 옥개받침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고려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죽산면 칠장리 칠장사 대웅전 앞에 이전 설치(2005.11.28.)되어 있다.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칠장사


⊙ 안성컨트리클럽


- 홈페이지
안성컨트리클럽 http://www.ansungcc.co.kr

- 주소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걸미로 487

안성컨트리클럽은 1992년 4월에 개장하여 2010년 6월 세계적인 골프코스 건축가인 더글라스 캐릭이 재설계한 코스를 선보임으로서 명실공히 국제적인 골프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그대로 살리고 아름다운 전경이 한눈에 보이도록 초점을 맞추었으며, 기술력이 뛰어난 골퍼들에게는 멋진 도전과 흥분을 제공함으로써 향상된 경기력과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운곡서원(음성)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로365번길 22

1602년(선조 35)에 정구(鄭逑)가 충주목사로 부임하자 이곳 유림의 건의로 기존의 백운서당을 운곡서원으로 개편하고 주자(朱子)의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61년(현종 2)에 정구를 추가배향하였으며, 1676년(숙종 2)에 ‘운곡(雲谷)’이라 사액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894년에 복원되고 1963년에 중수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신문(神門), 동서 협문(夾門), 재실(齋室), 고직사(庫直舍), 정문(旌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주자와 정구의 위패가 배향되어 있고, 재실은 향사 때 제관의 숙소 및 학문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2월 중정(中丁 : 두번째 丁日)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은 8변(籩) 8두(豆)이다. 소장전적으로는 ≪주자대전≫ 10권, ≪한강연보 寒岡年譜≫ 1권, ≪유첩 儒牒≫ 2권, ≪강당절목≫ 1권, ≪원지 院誌≫ 2권, ≪운곡서원모속안 雲谷書院募屬案≫ 1권 등이 있다. 재산으로는 서원 대지 500평, 전답 9,000평, 임야 48정보가 있다.


⊙ 진양밸리 골프클럽


- 홈페이지
http://www.chinyangvalley.co.kr

- 진양밸리
043-880-8000

-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금일로 1195 (삼성면)

국내·외 명품 골프코스를 설계한 ‘송호 골프 디자인 그룹’이 설계함으로써, 기존의 자연림을 최대한 보존하여 각 홀마다 창조적이고 역동적으로 골퍼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초록의 필드와 어우러진 새하얀 벙커와 수직 절벽을 따라 흐르는 폭포, 마운드의 흐름을 따라 늘어선 자연림은 진양밸리만의 자랑이다. 진양밸리 골프클럽은 415,179평의 대규모 코스를 갖추고 있다.

⊙ 썬밸리컨트리클럽


- 홈페이지
https://www.sunvalley.co.kr/iljuk/golf/intro

- 썬밸리컨트리클럽
043-881-5307

-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범말길 49

썬밸리컨트리클럽은 오직 300명의 회원만을 위한 회원 제일주의로 운영중이며 신흥 명문클럽으로써 위상을 한층 높여가고 남다른 품격과 격조 높은 클럽임을 자부하며 자연의 따뜻함과 사랑을 만끽할 수 있는 명문코스로 발돋움 하고 있다. 팀별 간격은 8분으로 Tee-off하여 회원에게 여유롭고 쾌적한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하였다.

⊙ 안성베네스트 골프클럽


- 홈페이지
http://www.golfsamsung.com/

- 주소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삼흥로 660

안성베네스트 골프클럽은 아름다운 칠현산 자락에 펼쳐진 코스로 1999년 6월 정식 Open 이후 현재까지 골퍼들의 아낌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경관의 수려함과 아름다운 계곡의 능선을 코스에 담고 있으며 다이내믹하고 도전적인 코스를 자랑한다. 또한 새로운 차원의 9홀 퍼블릭 코스를 2000년 9월 정식 개장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규홀의 명성을 퍼블릭 코스로 이어가고 있다. 하늘과 산이 만난듯한 퍼블릭 9홀 코스의 라운딩은 정규홀에 비해 전혀 손색없는 감동을 선사한다. 서울 도심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는 가까운 거리에 최상의 그린과 수준 높은 서비스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