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황토갯벌랜드 오토캠핑장

728x170

무안황토갯벌랜드 오토캠핑장


- 홈페이지
https://www.muan.go.kr/getbol/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만송로 36

무안황토갯벌랜드 오토캠핑장은 전남 무안군 해제면에 있다. 무안군청을 기점으로 20Km가량 떨어져 있다. 자동차를 타고 공항로, 송마로, 현해로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캠핑장은 무안의 대표 관광지인 무안항토갯벌랜드 내부에 있다. 이 덕분에 갯벌 체험장, 일출 전망대, 카페, 식당 등 캠핑 외 즐길 거리가 많다. 캠핑장에는 카라반을 비롯해 자동차 야영장을 마련했다. 카라반 내부에는 침대, TV, 에어컨, 취사도구, 식기류, 개수대, 화장실, 샤워장 등이 있다. 외부 전용 데크에는 테이블 일체형 의자가 있어 바비큐가 가능하다. 자동차 야영장은 모두 37면이며, 바닥은 잔디와 데크 두 가지 형태다. 실시간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여름,가을,겨울

- 문의및안내
061-450-5636

- 쉬는날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https://www.muan.go.kr/getbol/camping_ground/online_reservation/live_reservation/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 숙박시설 15:00~익일11:00
- 오토캠핑/카라반 14:00~익일11: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할인정보
연박 시 숙박료가 10% 할인



◎ 체험프로그램
생태갯벌체험



◎ 이용요금
20,000원~25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주요시설
소화기:37, 방화수:3, 방화사:2



◎ 부대시설
전기,온수,물놀이장,놀이터,산책로,운동장,운동시설,마트.편의점





무안황토갯벌랜드오토캠핑장_데크전경무안황토갯벌랜드오토캠핑장_부대시설무안황토갯벌랜드오토캠핑장_사이트무안황토갯벌랜드오토캠핑장_카라반전경



◎ 주위 관광 정보

⊙ 무안황토갯벌랜드(구 무안생태갯벌센터)


- 홈페이지
http://getbol.muan.go.kr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만송로 36

무안갯벌은 자연 생태의 원시성과 청정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같은 장소에서 갯벌의 생성과 소멸 과정이 관찰 가능하여 지질학적 보전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갯벌의 형태 및 생물의 다양성이 인정되어 2001년에는 전국 최초로 습지 보호구역, 2008년에는 람사르 습지(1732호) 및 갯벌도립공원으로 등록·지정되었다. 무안황토는 먹는 산소라 불리고 있으며, 항암과 면역기능 증진, 노화 방지 등에 특효가 있는 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무안생태갯벌 과학관을 중심으로 분재 테마전시관과 분재 전시실 등 볼거리 이외에도 황토 이글루, 황토 움막, 방갈로, 카라반, 오토캠핑장 등 숙박시설이 있으며, 편의 시설로는 식당과 매점, 카페, 바비큐장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갯벌의 중요성과 갯벌 생물의 다양한 특징을 배울 수 있는 전시시설과 갯벌체험학습장 그리고 해양생물 자와 핀 버튼 만들기 등 체험학습장도 있으며, 또한 이색 볼거리로 지역 출신인 故 문형열 옹이 기증한 분재 작품 등 1,000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무안군 해제면은 전국 분재 생산량의 30% 이상을 생산하기도 한다.

⊙ 홀통유원지·홀통해변


- 홈페이지
http://tour.muan.go.kr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오류리

* 천혜의 자연발생적 유원지, 홀통유원지 *

전라남도 영광군·무안군·함평군 3군에 둘러싸인 함평만에 있는 유원지이다. 천혜의 자연발생적 유원지로 울창한 해송과 긴 백사장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해수욕, 야영, 바다낚시, 해수찜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여름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 홀통유원지의 볼거리 및 즐길거리 *

수심이 낮고 파도가 잔잔하여 해양 스포츠의 꽃이라 불리는 윈드서핑의 최적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매년 전국단위 윈드서핑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무안군 남쪽 목포시에 유달산조각공원·난공원·국립해양박물관·영안농업박물관 등 가볼 만한 곳이 많다.


⊙ 무안 발산마을미륵당산


- 홈페이지
http://tour.muan.go.kr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광산리

* 토속신앙을 만날 수 있는 당산제, 무안 발산마을 미륵 당산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발산 마을은 서쪽의 넓은 간척 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생산이 주류를 이루는 마을이다. 무안 지방에서는 대개 당산나무 (노거수), 선돌, 당집 등을 대상으로 마을의 당산제를 지내는데, 발산 마을에서는 장승의 모습을 하고 있는 당산석 2구를 제사의 주체로 삼고 있다. 이 2구의 석인상은 당산 할아버지와 할머니, 미륵, 당산, 당산 미륵 등으로 불리는데, 150m 거리를 두고 서 있다.

* 당산 할아버지와 당산 할머니의 모습 *

당산 할아버지는 턱에서 가슴으로 이어지는 두툼한 긴 수염이 나 있고, 머리에는 벙거지 같은 모자를 쓰고 있다. 풍화 작용이 심하고 거친 입자의 돌 때문에 세부적인 조각 수법은 알아볼 수가 없다. 길쭉한 얼굴은 가는 선만으로 윤곽을 표현해 입체감이 부족하다. 귀는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어 불상과 비슷한 면이 보인다. 신체는 더욱 간결한 선으로만 옷 주름을 표현해 사실성이 떨어진다. 당산 할아버지로부터 150m 거리에 있는 당산 할머니는 별다른 조각이 없는 자연 입석으로 그 형태상 특징을 찾을 수 없다. 당산 할머니가 초기의 입석 형태를 띠고 있는 반면, 당산 할아버지는 조각을 지닌 상징물의 형태를 띠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자연 입석을 형상화시킨 신앙 물에서 차츰 성기 모양의 입석 형태의 상징물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 발산마을 당산석의 특징 *

발산마을의 당산석은 입면을 형상화시킨 신앙 물이란 점과 형태상 성기 바위를 모사하고 있다. 이는 당산석이 선돌에서 상징물로 바뀌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또한 일반적인 당산석의 경우 마을 제사에서 주신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신체는 원래 상태의 암석과 당산나무·당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반면 발산마을 당산제에서는 좀 더 발전된 단계로, 신체 그 자체를 형상화시키고 있다.

[문화재정보]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연도 : 1987년 6월 1일
시대 : 조선
종류 : 석조물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