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경상북도 경산시] 칸승마아카데미

728x170

칸승마아카데미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leejunsoo05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섬마을길21길 206 KR

칸승마아카데미는 말과의 교감을 통해 신체를 단련을 통해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운동인 승마를 자연친화적 환경에서 체험, 강습할 수 있는 곳이다. 실내 및 실외마장과 대마장, 원형마장, 마사, 클럽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최고의 강사진이 체계화된 교육시스템으로 초보자는 물론 전문 승마인까지 개개인의 능력에 맞춰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승마 입문자들을 위해 말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기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5명 이내의 소규모로 운영되는 초급 프로그램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마장마술과 장애물 넘기를 배울 수 있는 고급 프로그램까지 구성되어 있다. 날씨와 상관없이 배울 수 있는 실내마장과 야외마장 그리고 강둑과 숲길로 이루어진 외승길 코스가 준비되어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10-6862-2767

- 쉬는날
월요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예약안내
사전예약 필수

- 이용시간
09:00~18:00

- 주차시설
있음

- 주차요금
무료





◎ 체험프로그램
승마체험 / 승마강습



◎ 이용요금
[승마체험] 성인 10,000원 / 청소년 8,000원 / 어린이 5,000원
[승마강습] 성인 30,000원 / 청소년 20,000원 / 어린이 15,000원



◎ 부대시설
마사 / 클럽 하우스



◎ 주요시설
실내외승마장. 원형 승마장



◎ 보유장비
말 / 조끼 / 안전모





칸승마아카데미 (2)칸승마아카데미 (4)칸승마아카데미 (5)칸승마아카데미 (6)칸승마아카데미 (11)칸승마아카데미 (12)칸승마아카데미 (13)칸승마아카데미 (15)칸승마아카데미 (16)칸승마아카데미 (1)칸승마아카데미 (3)칸승마아카데미 (7)칸승마아카데미 (8)칸승마아카데미 (9)칸승마아카데미 (14)



◎ 주위 관광 정보

⊙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 홈페이지
https://museum.daegu.ac.kr/ https://www.instagram.com/daegu_univ_museum/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성산홀

대구대학교 부속 박물관인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은 1980년 5월 1일 개관한 후, 고고학, 역사학, 민속학, 인류학에 관한 문화유산을 수집, 보관,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각종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등 학술조사를 시행하고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교육,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문화유적답사회, 탁본전시회, 특별기획전을 통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접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까지 고고 역사 유물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역사전시관] [현대목칠공예전시관]과 대구대학교의 지난 반 백 년의 발자취 및 국제교류 현황을 통해 세계를 향해 뻗어가는 대구대학교의 과거와 미래를 보여주는 [대학역사전시관]과 다양한 기획 전시가 마련되는 [기획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역사, 문화, 예술 분야의 전시, 교육, 문화행사를 통해 대학구성원을 넘어 지역민의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 장애인 등 눈높이에 맞춘 대상별 창의 문화체험 교육을 통해 모두를 위한 박물관을 지향하며, 문화로 공헌하는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박물관, 열린 문화공간이다.

⊙ 하양생활체육공원


- 홈페이지
http://gyeongsan.grandculture.net/gyeongsan/toc/GC08100346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용천제방길 33

경산시는 지역의 부족한 체육시설 확충으로 지역민의 건강증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체육시설의 저변확대 및 주민의 체육, 휴식, 화합의 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산의 생활 체육시설인 하양생활체육공원을 부지면적 35,571㎡로 조성하였다.
주요 시설은 축구장 1면, 족구장 2면, 풋살장 1면, 정구장 3면, 게이트볼장 2면, 잔디마당·다목적마당 등의 휴식공간, 180석 규모의 관람석, 관리사무소(지상 1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분수대와 다양한 조경시설, 정자 및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고 사진촬영을 위해 설치된 각양각색의 포토존이 겸비되어 있다.

⊙ 하양포교당(경산)


-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jeonggak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도리3길 12

경북 경산의 아미타도량 하양포교당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말사이다. 창건시기나 창건자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어디에도 없다. 다만 조선 초기에 창건된 사찰로서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사찰로서의 본연의 임무를 상실한 채 유생들의 객사로 함께 쓰여져 오다가 1927년 지석담 스님이 사찰의 재건을 위해 중수했다는 사실만 전해져 온다. 지석담 스님은 사찰의 중수와 아울러 은해사에서 부처님을 모셔와 봉안한 것이 지금까지 극락전 본존불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따라서 예전의 기록이 전무한 관계로 하양포교당의 창건주라고 하면 중창주인 지석담 스님이 보통 일컬어지고 있다.
지난 2001년 주지로 부임한 성본스님이 쇠락한 사역을 정비하고자 5평 남짓한 극락전을 34평으로 신축하고, 칠성각 중.보수, 설법전 부처님 봉안, 공양간 건립 등 사격을 일신하여 지금은 그 터가 전국에서 다섯손가락에 들 만큼 1천여평의 드넓은 도심분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부처님의 자비와 가르침을 알리며 이 포교활동에에 매진하고 있다. 하양포교당은 매일 새벽 5시 새벽예불, 오전10시 사시불공, 오후 6시 30분(하절기, 동절기 : 6시) 저녁예불을 진행하며, 매월 초하루기도(음력 1일). 지장재일(음력 18일). 관음재일(음력 24일) 기도를 봉행하고 있다.

⊙ 최무선과학관


- 홈페이지
https://www.yc.go.kr/toursub/cms/contents.do?mId=0200000000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창산길 100-29

2012년에 개관한 최무선 과학관은 후대의 화약 발전에 크게 기여한 최무선 장군을 기념하고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에게 기초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학습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최무선(1325~1395)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화약을 만들고 화약 무기를 개발한 고려 말의 장군이자 과학자이다. 그는 당시 첨단 기술이었던 화약 제조법을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자체 개발했으며,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무기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에도 앞장섰다. 당시 최무선이 개발하고 제작한 화약과 무기는 왜구 격퇴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정치적,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과학관은 전시실과 영상체험관, 어린이 체험실, 블록놀이공간, 야외 공연장, 야외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린이 체험실은 최무선 장군의 화야 화포를 개발하는 과정을 체험하고 어린이 스스로 직접 만지고, 느끼고, 관찰 탐구하는 과학체험실이다. 블록놀이 공간은 공간 개념과 측정 등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상상을 표현해 보는 공간이고 영상체험관에서는 최무선 장군의 화약 개발에 대한 의지와 화통 대감을 통한 화약무기를 바탕으로 위대한 승리를 이끌었던 진포대첩에 대해 다룬 3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상영된다.

⊙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 홈페이지
http://museum.cu.ac.kr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13-13

대구가톨릭대학교 역사박물관은 학교사,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 등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보관·전시하는 대구가톨릭대학교 내 박물관이다. 1977년 옛 봉덕동 캠퍼스에서 처음 문을 열었고, 1980년대에 하양으로 캠퍼스를 옮기면서 독립적인 박물관 건물을 건립하여 1989년에 이전 개관을 완료하였다. 그로부터 약 35년 후인 2023년, 박물관 리노베이션을 완료하여 안정적인 전시와 유물 보존환경을 구축하였고, 디지털 전시 콘텐츠 시설을 대거 도입해 수준 높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1전시실은 학교사 전시실로 성유스티노학교와 통합 이전의 양 대학의 역사, 그리고 통합과정에서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발전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각종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2전시실은 기증자전시실로 (재)대구구천주교회유지재단, 박형진 신부, 이태조 여사, 이병재 선생이 기증한 유물을 선별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3전시실은 기획전시실로 매년 정기적으로 다양한 테마의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4전시실은 상설전시실로 청동기부터 조선까지에 이르는 유물들이 주제별로 전시되어 있다. 아울러 관람객이 수장고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보이는 수장고]를 조성하여 관람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다.

⊙ 하양향교


- 홈페이지
https://www.gbgs.go.kr/open_content/tour/index.do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길20길 12-5

1985년 8월 5일 경북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하양향교는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구전으로 전하는 바에 의하면 600여 년 전 고려 공 양왕 때 향교를 세웠으며, 100년 뒤 정원수로 은행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구체적인 기록에는 1580년(선조 1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된 공교육기관이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8 칸의 명륜당, 4칸의 전사청, 기물고, 각 5 칸의 동재와 서재, 내삼문과 외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은 왜란 당시 소실 이후 1608년에 중건하고 이후 1803년(순조3)과 1862년(철종13)에 차례로 중수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하양향교에는 수령이 540여년의 높이 23m, 가슴높이 둘레 6m의 거대한 은행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첫 번째 정일에 전통 유교 행사인 학문과 덕행을 기리는 제례. 석전대제를 드리며 지역 원로 유림과 어르신을 모시는 기로연과
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 등 다양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고자 한다.

⊙ 금호서원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가마실길2길 32-1

조선 세종조의 좌의정 문경공(文敬公) 허조(許稠)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2월중정(中丁)에 향사를 받든다. 금호서원은 1653년(효종 4)에 금호동에 창건한 뒤 1724년(경종 4)에 사이동(四而洞, 현 서사동)으로 이건, 1790년(정조 14)에 ‘금호’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923년(고종 8년)에 훼철되었다가 그곳에 유허비를 세우고 단향(單享)으로 배향하여 왔으며 1923년 현 위치에 서원을 다시 세웠다.


⊙ 영천 만취당


- 홈페이지
http://www.yc.go.kr/tour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종동길 25

만취당은 건물은 조선 선조 때 성리학자인 지산(芝山) 조호익(曺好益) 선생의 7세손이며 정조5년(1781년)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조학신(曺學臣, 1732~1800) 선생이 살던 집으로 만취당은 사랑채에 붙인 이름이다.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은 주택에도 영향을 미쳐 한 집안 내에서도 남녀의 처소를 안채와 사랑채로 분리하였으며 조상에 대한 제례를 중시하여 사당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 집은 안채와 중사랑채 및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사당 뒤쪽에는 신주를 모셔다 제사드리는 별묘(別廟) 및 보본재(報本齋) 등이 배치되어 사대부 저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집 뒤의 마을을 감싸고 있는 울창한 소나무 숲은 선생이 손수 심어 이루어낸 것으로 전한다.

⊙ 대부잠수교해바라기밭


- 주소
경북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592-6

경산 하양 환상리 묘목단지와 하양 대경로를 잇는 지름길 역할을 하는 대부잠수교는 교량 높이가 낮아 금호강 수위가 상승하면 물에 잠긴다고 해서 잠수교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바라기밭은 대부 잠수교 둔치 근방에 있는 꽃밭으로, 봄에는 유채꽃, 여름이면 해바라기, 가을이면 코스모스가 피는 꽃놀이 명소이다. 대부 잠수교 둔치 앞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다. 몇 년 전부터 시민들을 위해 계절마다 꽃을 심기 시작해 이제는 아름다운 장관을 연출하는 장소가 되어 많은 사람이 찾는다. 넓은 부지 안에 가득 핀 꽃과 함께 인생 최고의 장면을 찍을 수 있는 사진 명소이기도 하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