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

[인천 강화군] [강화 나들길 제3코스] 고려왕릉 가는 길

728x170

[강화 나들길 제3코스] 고려왕릉 가는 길


- 홈페이지
강화나들길 http://www.nadeulgil.org
강화나들길 카페 http://cafe.daum.net/vita-walk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청하동길 24

강화나들길은 해안을 따라 1.3km마다 자리한 돈대와 강화산성, 고려왕릉을 돌며 강화도를 찬찬히 들여다보는 도보 여행길이다. 탐방로를 천천히 걸으며 강화도의 역사, 생태, 생활, 문화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길로 구성되며 총 20개 코스가 있다. 강화는 섬 전체가 박물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유적지가 많은 곳이다. [강화 나들길 제3코스] 고려왕릉 가는 길은 온수공영주차장부터 가릉까지 16.2㎞를 잇는 구간으로 고려왕릉을 살펴볼 수 있는 코스이다. 전등사 동문에서 출발하여 전등사 경내를 돌고 삼랑성 북문을 거쳐 온수성공회를 돌아 길정 저수지로 향한다. 고려 최고의 문장가 이규보의 묘를 지나 고려왕릉을 돌아보는 코스이다. 강화나들길 도보여권도 준비되어 있으니, 코스를 완주한 후 도장 받는 재미도 쏠쏠하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2-930-3123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주차시설
있음





◎ 코스안내
[강화 나들길 제3코스] 고려왕릉 가는 길
* 온수공영주차장-가릉
* 거리 : 16.2km
* 소요시간 : 5시간 30분
* 구간 : 온수공영주차장 - 성공회온수성당 - 길정저수지 - 이규보묘 - 곤릉 - 석릉 - 가릉
* 완주도장 받는 곳
* 출발지 : 온수공영주차장 CU마트
* 도착지 : 가릉주차장(자동)





인천_[강화 나들길 제3코스] 능묘 가는 길03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5)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6)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1)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3)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6)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7)인천_[강화 나들길 제3코스] 능묘 가는 길02인천_[강화 나들길 제3코스] 능묘 가는 길04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2)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3)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4)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7)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8)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9)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0)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2)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4)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5)A04244_인천_강화_강화나들길3코스(18)



◎ 주위 관광 정보

⊙ 소창체험관


- 홈페이지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rip/experience.jsp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20번길 8

소창 체험관은 1938년에 건축된 한옥과 염색공장이었던 옛 평화 직물 터를 2016년에 리모델링하며 꾸며졌다. 강화군 전통산업인 소창에 대한 전통문화유산 보존과 가치를 재조명하는 공간으로, 화문석에서 시작되는 강화의 직물산업 역사와 마지막 종착지인 소창 이야기에 대한 이해는 물론 소창 손수건 스탬프 체험, 다도 체험, 소창 직조 시연 체험이 상시로 운영되어 소창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다.

⊙ 김상용순절비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16

조선 인조 때 문신인 김상용 선생의 충절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명종 16년에 출생한 김상용 선생은 장렬 김번의 증손이며 척화파 김상헌의 형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우의정을 거쳐 인조 15년에 순국하였다. 김상용 선생의 증손들에 의해 세워진 비석의 내용은 병자호란 때 김상용 선생이 왕실의 종묘와 빈궁·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로 피난 온 이후 본 강화수비대의 안일한 전투 대응에 대한 지적과 강화성이 청에 의해 함락되고 김상용 선생이 손자와 함께 남문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순절하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선생의 위패는 선원면에 위치한 충렬사에 봉안하였다. 순절비는 1976년 강화군 사업의 일환으로 현 위치로 옮겨 세우던 중 숙종 때 세웠던 구비가 발견되어 현재 신·구비를 나란히 세웠다.

⊙ 용흥궁


- 홈페이지
강화군 문화관광 http://www.ganghwa.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6-1

조선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유수 정기세가 건물을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을 붙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용흥궁은 창덕궁의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