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강서구] [서울둘레길 7코스] 봉산·앵봉산코스

728x170

[서울둘레길 7코스] 봉산·앵봉산코스


- 홈페이지
서울두드림길 http://gil.seoul.go.kr

- 서울둘레길 안내센터
02-779-7902~4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97

서울 둘레길의 7코스인 봉산, 앵봉산코스는 가양역에서부터 출발하여 과거의 난지도로 유명한 지금의 노을공원, 하늘공원을 통과하고 2002년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월드컵 경기장을 지나 진입하게 된다. 봉산과 앵봉산은 특별한 트레킹 기술을 요하지는 않으며 급한 경사지와 통과하기 어려운 곳은 정비가 잘 되어 있음에 따라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봉산과 앵봉산은 수국사, 서오릉 등 역사적 유산이 많아 볼거리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서울둘레길 안내센터 02-779-7902~4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포인트안내
출발지 : 지하철 9호선 가양역 4번 출입구
진입로 1 :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3번 출입구
진입로 2 : 지하철 경의선, 공항철도,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1번 출입구
도착지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3번 출입구, 북한산 인접지



◎ 코스안내
지역 : 마포구,은평구
거리 : 16.6km
소요시간 : 6시간 10분
코스 : 가양역~노을공원~하늘공원~월드컵경기장~봉산~앵봉산~구파발역





서울노을공원27마포_서울월드컵경기장03서울_은평_봉산05



◎ 주위 관광 정보

⊙ 구암공원


- 홈페이지
http://parks.seoul.go.kr/parks/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5길 42 (가양동)

탑산 아래의 천연적인 바위 동굴인 허가바위 일대에 조성된 공원으로, 허가바위에서 양천 허 씨의 시조인 허선문이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 구암공원은 의성이라 불리는 허준 선생 기념공원으로, 구암(龜巖)은 허준 선생의 호이다. 허준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그 유명한 동의보감을 저술한 곳이, 허가바위 동굴이자, 지금의 구암공원이다. 구암공원에는 올림픽대로 건설로 인해 한강의 일부분이 잘려 나와 호수처럼 되었고, 아파트가 하늘 높이 솟아있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이곳에는 허준 선생이 환자를 진료하는 인자한 모습의 동상이 앉아있다. 한편에는 아름다운 호수가 있고 그 호수 속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담겨 있는 고색창연하고 구멍이 뚫려있는 자색의 광주바위가 있다. 양화대교가 놓이기 전까지 이곳은 한강 하류를 건너는 공암(孔巖) 나루터였고, 허가바위 동굴이 있어 여러 차례 정변과 임진왜란, 병자호란, 가깝게는 6.25동란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피신하였다 한다.

⊙ 황금내근린공원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221-40 (가양동)

한강 변 올림픽대로와 가양 6, 7단지 아파트 사이에 위치한 황금내 근린공원은 2만 2,002㎡ 규모의 근린공원으로 강서구 내 방화, 옹기골, 공암나루, 개화 근린공원과 함께 5대 근린공원에 속한다. 농구장, 풋살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족구장 등 코트 시설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곳으로 특화되어 있다. 특히 풋살장, 농구장과 배드민턴 코트에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설치했고 족구장은 인조 잔디로 조성했다.

⊙ 허준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heojun.seoul.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87

서울 강서구에서는 허준선생의 출생, <동의보감>집필, 돌아가신곳으로 알려진 가양동 허준근린공원 옆에 허준박물관을 건립하여 선생을 높은 뜻을 기리고자 설립되었다. 허준박물관은 허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업적을 기리는 사업과 더불어 강서구민의 휴식공간과 문화향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쉽게 찾고 친숙하며, 흥미있는 박물관" 이 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한의학 전문박물관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 허준
1539(중종33) ~ 1615(광해군7),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岩)으로 훈련원정 허곤의 손자, 용천부사 허론의 아들로, 경기도 양쳔현 파릉리 능곡동 백석마을(현 서울시 강서굴 등촌 2동)에서 태어났다.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의원으로 그의 뛰어난 의술로 인하여 명의(名醫)로 이름을 떨쳤으며, 또 한의학을 집대성한 [동의보감]을 저술하여 한의학의 체계를 세웠다.

⊙ KBS스포츠월드


- 홈페이지
https://kbsbiz.co.kr/

- KBS스포츠월드
02-2600-8808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376

KBS스포츠센터는 종합 스포츠센터로, 수영, 헬스, 스피닝, 골프, 볼링, 스쿼시 등의 다양한 종목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강서청소년회관


- 홈페이지
http://www.gs-youth.or.kr

- 강서청소년회관
02-3664-2456~8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42길 23-19

청소년들의 인성개발과 정서 함양을 통하여 21세기 주역으로 성장케 하고 지역사회 문화 발전을 도모키 위해 각종 문화강좌를 비롯하여 학습, 체육, 어울마당 등 여가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한강공원 난지캠핑장


- 홈페이지
https://www.seoul.go.kr/storyw/campingjang/nanji.do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한강난지로 28 (상암동)

난지캠핑장은 서울시 마포구 난지한강공원에 있다.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을 지나 난지한강공원 방향으로 가면 도착한다. 자동차를 이용하는 캠퍼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자동차 출입이 불가능해 가지고 온 물품은 손수레 등을 이용해 옮겨야 한다. 시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입장료가 저렴하다. 이곳은 캠핑장 180면이 있다. 임대 텐트 지역에는 4인 텐트 26면, 6인 텐트 78면이 있고, 이용료에 입장료가 포함되어 있다. 내부에는 인원수에 맞게 매트를 비치해 두었다. 6인 텐트 가운데 냉난방기를 구비한 사이트는 별도의 전기 사용료를 받는다. 단체용 텐트 지역에는 중형 몽골 16면, 대형 몽골 20면, 특대형 몽골 40면이 있고, 임대 텐트와 달리 입장료를 따로 내야 한다. 냉난방기를 갖춘 텐트의 경우엔 전기 사용료도 별도로 내야 한다.

⊙ 홍원사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49길 56-12 (가양동)

불교 신자들을 향한 수행과 포교 활동을 위해 도심에 2005년 새로 건립했다. 사찰 이름의 ‘홍원’이라는 뜻은 ‘크나큰 서원으로 일체중생을 제도하겠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사찰 건축으로 건물 맨 위의 금동탑이 인상적이다. 9호선 양천향교역 2번 출구를 통해 찾아갈 수 있으며, 인근에 궁산 근린공원과 서울식물원이 있다.

⊙ 양천향교


- 홈페이지
https://hyanggyo.net/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47나길 53

양천향교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은 향교로,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 조선조 태종 12년(1411)에 창건돼 노후된 것을 지난 81년에 전면 복원했다.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을 비롯, 명륜당(明倫堂), 전사청(典祀廳), 동재(東齋), 서재(西齋),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과 부속건물 등 8동이 있다. 현재 양천향교에서는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석전(釋奠)을 봉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주민과 초,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문과 서예 및 사군자 등을 가르치는 등 청소년의 인성교육 및 옛 전통문화 재현에 노력하고 있다. 주변의 겸재정선미술관, 궁산땅굴역사전시관 등과 연계 가능하며 서울도보해설관광 양천로 겸재정선 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 서울 양천고성지


- 홈페이지
http://www.gangseo.seoul.kr
http://www.ch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가양동 양천향교 뒷산인 궁산에 위치하며 대략 29,390㎡ 넓이의 옛 성터이다. 궁산(宮山)은 한강 올림픽대로 변 해발 약 74m의 야산으로 서쪽과 남쪽은 완경사로 시가지와 연결되며, 북쪽은 한강 변 쪽으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고 동쪽은 남쪽보다는 다소 급하게 경사져 새로 조성된 가양아파트 단지와 연결된다.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대동지지 등 문헌기록에 등장하며, 축성시기는 언제인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역사의 흐름에 맞추어 추정해 볼 때, 이 성은 백제가 축성한 성(城)으로 백제 22대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475년)하기 전, 강 건너 고구려를 견제하며 국경을 지키던 백제성으로 짐작된다. 특히 이곳에서 백제 초기시대의 토기 파편이 발견됨으로써 백제 성이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김천일 장군 등이 의병을 이끌고 이 성에 주둔하였다가 권율장군을 도와 행주대첩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4년에는 산 정상 동편에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소악루(小岳樓)가 아름답게 복원되어 강서구민들의 관광 휴식처가 되고 있다.

* 시설규모 - 29,370㎡ 넓이의 토성터
* 시대 및 조성시기 - 백제시대로 추정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