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은평구]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728x170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portal/dulegil/bukhansan/index.do

- 북한산 둘레길 탐방안내센터
02-900-8086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 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내시묘역길 구간은 방패교육대 앞에서 효자동 공설묘지까지 3.5km에 이른다. 국내 최대의 내시묘역이 위치한 이 구간에는 군신의 예를 목숨처럼 여기며 왕을 그림자처럼 보좌하던 내시들의 역할과 삶을 재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 구간에서는 북한산성 축성 당시 동원되었던 연인을 기다리다 만나지 못하고 연못에 빠져 죽은 기생의 흔적인 "여기소"의 터도 볼 수 있으며, 8m 높이의 투명 발판이 설치되어 아찔함을 느낄 수 있는 "둘레길교"도 만나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북한산 둘레길 탐방안내센터 02-900-8085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거리 : 3.5km
*소요시간 : 약 1시간 45분
*난이도 : 하
*구간 : 효자동 공설묘지~방패교육대 앞



◎ 참고사항
※ 북한산 둘레길 스탬프 투어
각 구간별 포토포인트에서 인증사진 촬영 후 북한산국립공원내 운영장소에 제시
문의) 02-900-8087





서울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02서울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02서울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04서울 [북한산 둘레길] 10 내시묘역길 05



◎ 주위 관광 정보

⊙ 북한산둘레캠핑장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북한산로 232-1 (진관동)

북한산 글램핑은 서울시 은평구에 있다. 서울시청을 기점으로 북한산 국립공원 쪽으로 방향을 잡고 지하철 6호선 불광역과 하나고등학교를 거치면 도착한다. 소요시간은 30분가량이다. 이곳은 북한산 둘레길 10구간에 속해 있어 자연 친화적이며 서울 최초의 글램핑 캠핑장이란 특별함이 있다. 다양한 수목이 자연 그늘을 만들어 주는 캠핑장에는 글램핑 18면을 마련했다.

⊙ 은평한옥마을


- 홈페이지
https://https://eptour.kr

- 주소
서울 은평구 진관동 127-27

은평 한옥마을은 북촌, 서촌에 이은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 한옥 단지이다. 여유로움과 도심 속 전원을 한껏 느낄 수 있다. 국립공원 북한산, 그리고 진관사와 어우러진 역사 문화 마을이다. 은평한옥단지는 개인에게 한옥만을 지을 수 있게 토지를 분양해서 소유주의 취향에 따라 각 한옥마다 모양과 나무색이 달라 보는 즐거움이 있다. 상업시설을 제외한 곳은 대부분 개인의 사유지이기에 내부 관람은 불가하나 소유주의 허락이 있다면 관람이 가능하다. 또한, 산책로와 편의점, 카페 등 여러시설을 갖추고 있어 나들이를 즐기기에 적당하다.

⊙ 은평역사한옥박물관


- 홈페이지
http://museum.ep.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50길 8 (진관동)

은평역사한옥 박물관에는 실제 한옥(집)과 한옥의 건축과정 및 과학성 등이 전시된 한옥 전시실이 있다. 특히 은평 지역의 역사가 담긴 생활 양식과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는데 은평 뉴타운 개발 당시 거주했던 고대인들의 생활 양식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 발굴되면서 한옥 박물관 조성 후 발굴되었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북한산 진관사 가는길 하나고등학교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 북한산온천비젠


- 홈페이지
https://wiesen123.modoo.at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중고개길 88-10 (지축동)

지하 972m에서 올라오는 미네랄이 풍부한 100% 온천수를 사용하는 곳으로 항암작용에 효과가 있는 게르마늄과 항산화 성분이 비타민E보다 2940배나 많은 셀레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북한산 자락에 있는 천연온천이다.

⊙ [북한산 둘레길] 9 마실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portal/dulegil/bukhansan/index.do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마실길 구간은 진관생태다리 앞부터 방패교육대 앞까지 1.5km에 이른다. 이웃에 놀러간다는 뜻의 '마실길' 구간은 은평 뉴타운과 인접한 구간으로 동네 마실 나온 기분으로 가볍게 걷다보면 생태적, 역사 문화적 가치가 있는 명소들을 만나게 되는 구간이다. 은평구 보호수로 느티나무, 은행나무를 볼 수 있으며 그 중 마을을 지키는 지신처럼 수령 150년의 느티나무 5그루가 아름드리 가지를 뻗고 있고 높이 15m, 둘레가 3.6m나 된다. 한국의 여느 마을처럼 너무도 편안하게 느껴지는 민가에는 삶의 체취가 감돌고 있다. 또한 진관생태다리와 진관사 입구 구간에 위치한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 2014년 창설되어 은평구의 역사적인 유물과 한옥마을 조성과 관련하여 한옥에 대한 전문적인 전시실이 갖추어진 곳으로 마실길 탐방 중 들려보기에 좋다.
* 은평구 보호수
성조의 13번째 왕자인 영산군의 사위이며 경주 정씨 54세조인 정충인공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느티나무 5그루가 아름드리 숲을 이루고 있다.

⊙ 흥국사(고양)


- 홈페이지
http://www.heungguksa.or.kr
http://heungguksa.templestay.com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길 82 (지축동)

흥국사의 창건연대는 신라 661년 (신라 문무왕 원년)에 당대 최고의 고승이었던 원효대사가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하던 중 북서쪽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산을 내려와 이 곳에 이르게 되었고, 서기를 발하고 있는 석조 약사여래(藥師如來)부처님을 보신 원효대사가 인연도량이라 생각하여 본전(本殿)에 약사부처님을 모시고 '상서로운 빛이 일어난 곳이라 앞으로 많은 성인들이 배출될 것이다' 하며 절 이름을 흥성암(興聖庵)이라 하고 오늘의 흥국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 이후 사찰의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자세한 자취는 알수 없으나 서기 1686년(조선 숙종 12년)에 중창한 사실과 영조시대에 크게 발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에 여러 스님들이 중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 진관사계곡


- 홈페이지
http://bukhan.knps.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은평구 진관내동 북한산성 입구에 위치해 산림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도롱뇽, 산개구리 등 서울시 보호종이 관찰되는 곳이다. 2011년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는 수환경 및 수서 생태계 보호를 목적으로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진관사 계곡(약 0.5㎞, 3500㎡)을 북한산국립공원 특별 보호구로 지정했다. 때문에 출입이 제한되어 진관사 무료주차장 아래 마실 길 근린공원 근처의 구역에서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 진관사(서울)


- 홈페이지
http://www.jinkwansa.org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사는 동 불암사, 서 진관사, 남 삼막사, 북 승가사와 함께 예로부터 서울 근교의 4대 명찰로 손꼽아 왔다. 진관사(津寬寺)의 연혁은 고려 제 8대 현종(顯宗)원년 서기 1010년에 현종이 진관대사(津寬大師)를 위해서 창건 하였다고 한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명령에 의하여 조종선령(祖宗仙靈)과 순국충열(殉國忠烈), 희생당한 고려 왕씨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수륙사(水陸社)를 설치하고 춘ㆍ추로 수륙대재(水陸大齋)를 장엄하게 베풀어 왔었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 학사들을 위한 독서당을 진관사에 세우고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등과 같은 선비들을 독서하게 했다고 한다. 한국 동란 때 공비소탕의 일환으로 사찰을 잿더미로 만들고 말았다. 1963년 비구니 진관(眞觀)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30여 년간 복원 불사를 하여 지금의 가람으로 일신 중창하였다. 건물로는 대웅전, 명부전, 나한전, 칠성각, 독성각, 나가원, 홍제루, 동정각, 동별당, 요사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에는 본존불인 석가모니불과 협시보살로는 미륵보살과 제화갈화보살을 모셨으며, 명부전은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무독귀왕 십대 대왕을 모셨으며, 나한전은 석가모니불과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십륙나한상을 보셨다.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만큼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역사를 자랑하는 진관사는 현대를 살아가는 서울 시민들에게 마음의 평안과 일상에 찌든 때를 말끔히 씻어주는 청량제 역할을 하면서 오늘도 부처님의 자비를 세상에 전하고 있다.


⊙ 삼천사(서울)


- 홈페이지
http://www.3004.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54길 127 (진관동)

통일신라시대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고, 그 규모가 대단히 커서 한때 3000여 대중이 모여 수도 정진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는 서울 지역 승병들의 운집처로 왜병과 혈전을 벌였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진영화상이 중창하고 성운화상에 의해 거듭 중창 복원하였다. 경내에 있는 천년고불 마애석불은 고려시대 조성된 것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존진신사리 석종탑과 나한사 5층 석탑이 봉안되어 있어 법신제불이 상주방광하는 성지이며, 기도 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삼천사 마애여래입상은 양감을 뚜렷하게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원만한 얼굴 표정과 부드럽게 흘러내린 유려한 옷고름 등에서 고려불화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매력을 보여 주는 고려의 마애불이다. 현재 융기선을 따라 금분칠을 하여 본래의 모습과 다소 달라졌지만 아직도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으며 좌우에 네모난 목조가구의 흔적이 남아있다. 민머리 위에 높은 살상투가 솟아 있고, 풍만하고 둥근 얼굴에는 입가에 미소가 번져 온화한 느낌을 준다. 가슴에는 내의를 묶는 띠매듭이 리본형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러한 띠매듭은 통일신라 후기 상에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양쪽으로 벌어진 연꽃대좌는 불안정라며 광배는 두 줄의 두광과 한 줄의 신광으로 간략화되어 있다. 신체의 비례가 자연스럽고 조각수법도 섬세한 편이며 선묘도 유려하여 고려를 대표할 만한 뛰어난 마애불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