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

[강원도 인제군] 강원평화누리길 14코스 인제 인제길

728x170

강원평화누리길 14코스 인제 인제길

- 홈페이지

http://www.inje.go.kr/portal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강원평화누리길은 북한과 맞닿아 있는 서해안 강화도에서 동해안 고성까지의 접경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트래킹, 자전거길이다. 특히 강원도 평화누리길은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을 관통하며 총 연장 361.2km, 20개 코스가 조성되어 있다. 분단의 역사와 아름다운 자연이 이어지는 길을 느끼고 싶다면 평화누리길을 추천한다.


코스소개 : 살구미마을에서 시작되는 '강원평화누리길 14코스 인제 인제길'은 인제읍 건너에서 소양강변을 따라 걷는 특별한 코스다. 시원한 강바람을 즐기며 걷다가 합강정 공원에서 잠시 쉬어가며 번지점프를 즐기는 사람들을 구경해보자.

주요지점 : 살구미마을 -> 합강정 -> 리빙스턴교 -> 원통교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인제군청 033-460-2088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코스안내
거리 : 약9.7Km, 라이딩 소요시간 약30분, 구간 : 살구미마을 -> 합강정 -> 리빙스턴교 -> 원통교




강원평화누리길_14코스_안내표지판강원평화누리길_14코스_한계정강원평화누리길_14코스_참전유공자기념탑강원평화누리길_15코스_한국시집박물관

◎ 주위 관광 정보

⊙ 인제향교

- 홈페이지

http://tour.inje.go.kr http://www.cha.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231번길 14

1610년(광해군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15년에 현감 구인기(具仁基)가 군의 서쪽으로 이건하였다가 1804년(순조 4)에 현감 신진하(申鎭夏)가 동쪽으로 다시 이건하였다. 1930년 대홍수로 수해를 당한 뒤 1934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50년 6·25 때 대성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1954년 군수 이승춘(李承春)과 유림의 주선으로 명륜당을 중건하였으며, 1966년에 동재(東齋)·서재(西齋)를 재건하였다. 1967년 대대적인 보수와 함께 대성전을 중수하고 삼문루를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삼문루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약화되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는 현재 강원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방학기간 동안 학생들에게 한문강습을 실시하고 있다.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 목공예 갤러리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비봉로 52

목공예갤러리는 인제군에서 활동중인 목공예가 18명이 함께 모여 만든 곳이다. 개인 작업과 공동작업을 병행하며 초청강의를 가지고, 작품에 대해 토론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한다. 목공예의 대중화와 그 우수성을 알리고자 만들어진 이 곳은 현재는 인제 군민을 위한 곳으로 탈 바꿈 하였다. 각종 공예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내면서 목공예 작가들뿐만 아니라 인제군 이름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에 위치한 인제 목공예갤러리는 갤러리 겸 목공예전시 판매장을 개관하여 전시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활동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행사에서 목공예 체험 및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출처 : 강원도청)

⊙ 인제산촌민속박물관

- 홈페이지

http://mvfm.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156번길 50

인제 산촌 민속박물관은 인제군의 사라져 가는 민속문화를 체계적으로 보존·전시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산촌민속 전문박물관으로서 2003년 10월 8일 개관하였다. 비상하는 새를 기본 모티브로 한 박물관의 외형은 도약과 웅비의 정신을 상징한다. 산촌민속박물관의 전시실로는 산촌 사람들의 삶과 믿음의 세계라는 테마로 산촌의 봄, 여름, 가을, 겨울 풍경과 겨울 맞이하는 5개의 코너가 있고, 산촌사람들의 애환과 여유의 코너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식생활의 모습과 주거형태의 5개의 코너로 나누어져있다. 그외로는 특별전시실, 박인환 문학관, 야외전시장으로 구분되어있다. 산촌 민속박물관은 주민과 함께 호흡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서 편안한 휴식처와 잊혀져가는 산촌 문화를 되새겨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 박인환문학관

- 홈페이지
박인환 문학관

http://parkinhwan.or.kr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