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

[강원도 평창군] 계방산오토캠핑장

728x170

계방산오토캠핑장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이승복생가길 160

청정지역 평창의 계방산의 자연휴양림 속에 위치한 캠핑장으로 평창군에서 운영하고 있다. 계방산 등산로 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등산을 즐기기도 좋다. 오토캠핑뿐 아니라 카라반, 통나무집, 방갈로 등 다양한 사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여름,가을,겨울

- 문의및안내
033-339-9016

- 쉬는날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가능

- 예약안내

https://booking.naver.com/booking/3/bizes/515988/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 ~ 익일 11:00

- 주차시설
주차가능





◎ 이용요금
25,000원 ~ 3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부대시설
전기,무선인터넷,장작판매,온수,물놀이장,놀이터,운동시설



◎ 주요시설
소화기:50





계방산오토캠핑장 공용시설계방산오토캠핑장 쉼터계방산오토캠핑장 전경2계방산오토캠핑장 카라반사이트





◎ 주위 관광 정보

⊙ 샬롬빌리지 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shalomvillage.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이승복생가길 114

샬롬빌리지 캠핑장은 해발 800m에 위치한 캠핑 사이트로 푸르른 잔디와 숲속에서 계곡물 소리와 새소리를 들으며 힐링할 수 있는 장소이다. 잣나무 숲속에 위치한 캠핑 사이트로 하여 아침저녁으로 계곡물 소리와 새소리를 들을 수 있다. 개수대, 화장실, 개인 샤워실, 온수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형견에 사이트당 2마리 입장 가능하다.

⊙ 용골송어와캠핑


- 홈페이지
http://cafe.naver.com/yonggol//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767-17

강원도 평창 송어회로 유명한 용골캠핑장. 계곡과 나무 그늘이 좋은 캠핑장이다. 아이와 함께 방문한 가족 캠핑객들을 위한 피자 만들기, 송어잡기, 영화 상영 등과 같은 이벤트가 있다.

⊙ 밀브릿지


- 홈페이지
http://millbridge.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방아다리로 1011-26

오대산국립공원 내 방아다리 약수터 일대에 조성된 자연체험학습장이다. '전나무 숲 쉼터'를 표방하는 시설에는 60년 넘게 가꿔진 전나무 숲에 숙박시설, 산책로, 약수 체험장, 명상원, 미술관, 카페, 식당 등이 자리한다. 밀브릿지 건물은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승효상이 디자인했다. 건축 과정에서 부지의 지형과 수목을 보존, 전나무와 어우러진 건물은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 '밀브릿지(Mill Bridge)'라는 이름은 방아다리 약수터의 영문명에서 따왔다. 철분과 탄산이 풍부한 방아다리 약수는 조선 시대 숙종 때부터 약효를 인정받았다고 한다. 밀브릿지 입구부터 약수 체험장까지 이어지는 약 300m 길은 전나무와 낙엽송이 가득한 아름다운 산책로다. 밀브릿지의 숙박시설인 생활관은 18개 객실이 있다. 전나무 숲이 담기는 넓은 창, 흰색 벽과 원목마루가 어우러진 방은 안락한 휴식을 선사한다. 숙박을 하지 않아도 당일 숲 체험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10명 이상이면 점심이 제공되는 숲 해설 프로그램, 숲 해설가와 함께하는 숲 해설 프로그램도 신청이 가능하다.

⊙ 방아다리약수터


- 홈페이지
평창 문화관광 http://tour.pc.go.kr/

- 오대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033-332-6417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척천리

영동고속도로 진부나들목에서 북쪽으로 12km에 있는 이 약수터는 조선의 숙종조 이래로 알려진 역사 깊은 약수터다. 약수에는 탄산, 철분 등 30여 종의 무기질이 들어있는데, 특히 많이 함유된 철분은 위장병, 빈혈증, 신경통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변에 전나무 100만 그루를 비롯하여 잣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박달나무, 주목나무 등 70여 종의 나무들이 빽빽이 우거져 있어 산림욕에 좋으며, 경관이 좋아 여름 한철 피서를 겸할 수 있다. 특히 입구부터 약수터로 가는 약 1km 구간은 전나무 숲이 울창하여 산책을 즐기기에도 적격이다.

* 방아다리 약수의 유래
오래전, 경상도 태생의 이노인이 신병으로 고생을 하다가 각처의 유명한 의원을 찾아 백방으로 약을 써도 아무 효험이 없어 거의 삶을 포기한 지경이었다. 그러다가 이 곳에 이르러 아늑한 나무 밑에 잠자리를 정하고 밖에서 잠을 잤다. 꿈에 백발이 성성한 풍채좋은 노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어인 사람인데 산중에서 노숙을 하느냐?” 꿈이었지만 이 분은 틀임없는 산신령이라는 생각이 들어 "노인께서 제 인생을 가련하게 생각하시어 병을 고칠수 있는 약초 있는 곳을 가르쳐 주시오”라고 하니“그러면 네가 누워있는 자리를 파보아라”하며 사라졌다. 그는 소스라쳐 깨어, 있는 힘을 다해서 땅을 파헤치니 지하에서 맑은 물이 솟아올랐다. 약초를 기대했던 터에 실망은 하면서도 이상한 생각이 들어 물을 퍼마셨더니 정신이 맑아지고 원기가 소생했다. 며칠을 머무르면서 물을 마셨더니 병이 씻은 듯 나아져 산신단을 모셔 크게 제사를 지냈다 한다.

⊙ 신약수(가리골약수)


- 홈페이지
평창 문화관광 http://www.knps.or.kr
http://tour.pc.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속사2리

신약수는 가리골약수 라고도 한다. 신약수는 인근에 있는 역사 깊은 방아다리 약수에 비해 발견된 지 얼마 안 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특히 안질에 효과가 있다 하여'안천(眼泉)'이라고도 불린다.
방아다리약수에서 운두령 방면으로 고개를 넘어 3km 내려오면 오른쪽 숲속에 있으며, 규모는 크지 않으나 물맛과 성분은 방아다리약수와 비슷하다. 물빛이 맑고 맛은 시원하며, 함유성분은 1ℓ당 과망간산칼륨소비량 3.2㎎, 망간 0.14㎎, 구리 0.004㎎, 철 0.75㎎, 불소 1.5㎎ 등이고, 페닐기 3.3, 경도 555이다. 오대산 국립공원 안에 있으므로, 월정사(月精寺)·상원사(上院寺) 등과 함께 관광코스를 이룬다.

⊙ 계방산(평창)


- 홈페이지
http://tour.pc.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1243

해발 1579.1m 의 계방산은 태백산맥의 한줄기로 동쪽으로 오대산을 바라보고 우뚝 서 있으며, 한라, 지리, 설악, 덕유산에 이은 남한 제 5위봉이다. 계방산 서쪽에는 남한에서 자동차가 넘는 고개로서는 꽤나 높은 운두령(해발 1,089m)이 있으며, 북쪽에는 수미상의 반달곰이 서식한다는 깊은 골짜기 을수골이 있고, 남쪽에는 몸에 좋다는 방아다리 약수와 신약수 등 약수가 두 곳이나 있다.계방산은 각종 약초와 야생화가 자생하는 곳으로, 특히 산삼이 유명하여 사철 심마니들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이산에는 회귀목인 주목, 철쭉나무들이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는 곳으로 산세가 설악산 대청봉과 비슷하며, 이 일대가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환경이 잘 보호되어 있는 곳이다.

계방산은 겨울철에만 만끽할 수 있는 환상적인 설경이 이른 3월 초순까지 이어져 등산인들에게 인기를 더하고 있다. 여기에다 어지간한 산 높이에 해당되는 해발 1,089m의 운두령에서 정상까지 표고차가 488m에 불과하기 때문에 크게 힘들이지 않고도 오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산 정상에 오르면 백두대간 등줄기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인근에서는 최고의 전망대로 손꼽히는데 북쪽으로 설악산, 점봉산, 동쪽으로 오대산 노인봉과 대관령, 서쪽으로 회기산과 태기산이 파노라마를 연출한다.


⊙ 솔내음 평창 먹을거리촌


- 홈페이지
http://yes-pc.net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500-11

해발 1,577m의 계방산은 정상을 오르는데 비교적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산이다. 31번 국도가 인제방향으로 운두령을 지나는데, 우리나라 국도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고개를 넘다보면 고개 정상이 산과 함께 항상 구름에 잠겨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운두령'이다.군사적 요충지로도 알려진 계방산과 운두령, 그리고 노동계곡을 따라 다양한 향토음식업소와 전통찻집 등이 자연발생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계방산지구 먹을거리촌과 중간에서 이어지는 속사리 지역을 신약수지구라 하여 일명 먹을거리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계방산등산을 비롯해 노동계곡, 이승복기념관, 이승복생가터, 신약수와 인접한 방아다리약수가 자리잡고 있고, 700리조빌, 방아다리산방, 7-STADIUM 등 황토 찜질방 등이 조성되어 있다. 전통찻집으로는 '감자 꽃 필 무렵'과 '산마을풍경' 등이 있는데 이색적인 인테리어는 물론이고 황토와 통나무를 소재로 해서 귀틀집 형태로 지은 콘도형민박집이 일품이다.

민박집 중에는 귀틀집에다 장작불을 지펴 옛멋을 한껏 더한 곳도 있어 옛날의 정감을 더하고 있다. 이곳에는 송어횟집이 집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송어는 냉수성어류라 산간계곡의 맑은 물에만 서식하는데, 수온이 25℃ 이상 올라가거나 수질이 탁해져도 먹이를 먹지 않는습성때문에 이곳 노동리와 같이 오염되지 않는 곳에서만 자라는 특성이 있다. 송어는 칼슘, 비타민, 단백질 등의 영양분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유명하며 단백한 감칠맛으로 송어회, 구이, 튀김 등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다. 그 외에도 토종닭, 메밀 막국수, 산채정식, 부위별로 요리되는 평창한우, 바닷가재요리, 오리불고기 등 다양한 향토음식업소가 자리하고 있다.


⊙ 이승복기념관


- 홈페이지
이승복기념관 http://leesb-memorial.gwe.g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500-11

1959년 12월 9일 계방산 기슭의 목골재 아래에서 화전민의 아들로 태어난 이승복은 1968년 11월 2일 삼척 울진지방에 침투한 무장공비에게 무참히 살해당하면서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항거한 반공 어린이다. 그 넋을 달래고 반공의 산 교육장이 되도록 그의 모교를 중심으로 1982년 10월26일 성역화한 단지이다.
전시관, 일가 묘소, 동상, 살던 집모형, 6.25참전장비 및 자연학습장을 갖추고 있다. 특히 1992년 4월 개관한 자연학습관실은 잼버리 자연학습장을 옮겨다 놓은 것으로, 많은 학생들이 자연학습관의 산실로 이용하고 있어 기념관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