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남양주시] 늘푸른낚시터

728x170

늘푸른낚시터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로48번길 29-13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로에 있는 늘푸른낚시터는 어린이들과 함께 낚시할 수 있는 장소이다. ‘잡은 붕어를 잡아가지 않고 손맛만 보고 다시 놔준다’는 의미의 ‘손맛터’로 가족 단위 낚시터와 초보자 낚시터가 있어서 낚시를 처음 접하는 이도 즐길 수 있는 낚시터이다. 단 취사는 되지 않는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821-3490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일요일~목요일 07:00~23:00
금요일~토요일 07:00~06:50

- 주차시설
가능





◎ 포인트안내


◎ 이용요금
평일 10,000원~15,000원
주말 및 공휴일 15,000원~20,000원
※ 자세한 사항은 전화 문의 요망



◎ 체험프로그램
낚시



◎ 보유장비
안전시설 설비사항: 구명부환, 구명동의, 구명줄, 소화기, 구급약품, 관리선, 관리선내구명조끼, 단독경보형감지기, 내부피난안내도





경기도_남양주시_늘푸른낚시터_내부2경기도_남양주시_늘푸른낚시터_외관1경기도_남양주시_늘푸른낚시터_외관2경기도_남양주시_늘푸른낚시터_외관3



◎ 주위 관광 정보

⊙ 에코랜드


- 홈페이지
https://www.ncuc.or.kr/eco/620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에코-랜드는 환경보존을 뜻하는 ecology 와 지역을 뜻하는 land의 합성어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매립장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또한, 단순한 폐기물 매립을 벗어나 부지면적의 30%를 주민친화공간으로 조성하여 국제규격의 축구장과 풋살장 족구장, 25m의 실내수영장과 실내체육시설, 간이운동기구 등을 설치하였다.
각 시설은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 신청이나 수강 신청을 하면 된다. 매립장 외곽에 용암천을 따라 벚꽃길이 이어진 순환도로를 주민의 산책로(총 길이 1.8km)로 개방하여 주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야외공연장에서는 지역축제나 음악회 등의 문화 공연을 개최하기도 한다.

⊙ 헤라유원지(헤라낚시터)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사유지 3,000여 평 규모의 낚시터를 겸한 물놀이장이다. 이곳은 날씨가 좋지 않거나 겨울 방문객을 위한 하우스 낚시터와 야외 낚시터(손맛 낚시터), 물놀이를 위한 야외 수영장으로 구성되었다.
야외 낚시터에서는 낚시 초보나 학생, 어린이를 위한 낚시 체험장을 운영중이며, 낚시대는 무료로 대여가 가능하다. 낚시를 하기 위해 온 방문객은 낚시요금 지불시 이용할 수 있는데, 낚시대를 던지기만 해도 손맛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용료가 아깝지 않을 정도이다.
수영장은 이용요금이 없는 대신 음식을 주문해야 이용이 가능하며, 수영장 바로 앞에 조성된 평상, 테이블 좌석에서 주문한 음식을 먹으며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수심 1.5m~2.5m 깊이로, 어린이는 구명조끼를 입고 물놀이를 즐기는 것이 안전하며, 튜브 대여도 가능하다.
물놀이와 낚시를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일석이조의 즐거움이 있는 곳으로, 아이와 함께 가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 청학밸리리조트


- 홈페이지
남양주시 문화관광 https://www.nyj.go.kr
남양주시 블로그https://blog.naver.com/nyjloving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543-4 일대

청학밸리리조트는 본래 ‘청학동 계곡’으로 여름철 피서지로 많은 사랑을 받은 곳이다. 청학밸리리조트는 다른 계곡들과는 달리 모래 놀이터와 자갈길 등이 조성되어 있어 마치 해변에 온 듯한 느낌을 준다. 그야말로 도심 속 자연 놀이터이다. 청학계곡은 워낙 많은 사람들의 방문으로 인해 무허가 음식점, 자릿세 등의 불편함이 있던 곳이었다. 이러한 점을 바로 잡고자 남양주시에서 하천정원화사업을 추진했고, 2020년 ‘청학비치’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했다. 또한, 청학비치를 보완하여 2021년 청학밸리리조트로 재개장함으로 현재는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피서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 담다헌 체험교육관


- 홈페이지
http://www.damdaheon.com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로939번길 98 (산곡동)

담다헌은 경기도 의정부시 산곡동, 거문돌(검은돌) 마을에 소재한 떡 체험교육관이다. 경기도 선정 떡명장, 박경애 명장님께서 설립하셨고 2009년 10월 23일에 개관하였다. 담다헌에서는 떡만들기(떡케이크)를 비롯하여 양갱만들기, 메주만들기, 장담그기, 김장담그기, 두부만들기 등의 체험 프로그램과 주말농장을 운영(매년 분양)하고 있다. 인스턴트와 서구 음식 위주의 식습관을 갖은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체험을 통하여 우리의 건강한 먹거리를 알리고 담다헌의 손쉬운 떡 레시피로 각 가정에서 직접 떡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우리 떡을 널리 알리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담다헌은 떡을 세계화하기 위한 새로운 떡 레시피와 디자인 개발을 위해 힘쓸 것이다. 담다헌은 2010년 12월 24일 농림수산식품부 우수체험공간으로 지정되었다.

⊙ 수락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xn--pi2b34r3nehmiz2i.com/default/intro/prologue.php?topmenu=1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로971번길 133-5 (산곡동)

수락캠핑장은 서울과 의정부 그리고 남양주의 경계를 이루는 수락산 근교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서울과 의정부에서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갈 수 있는데, 조용한 캠핑장이고 가족 단위로 많이 찾는 곳이기 때문에 가족 4인(성인 2, 아이 2), 텐트 1, 타프 1, 차량 1 원칙으로 1자리에 텐트 2개의 설치는 불가하다.

⊙ 별내어린이천문대


-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astrocamp6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용암리

별내어린이천문대는 남양주 별내면에서 산속으로 더 들어가야 만날 수 있는 곳에 있다. 용암리 산속에 자리 잡아 수도권에서 별 관측이 가장 좋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 이루어지는 정규 수업과 일일체험 수업이 진행된다.
정규 수업인 천문대 수업은 첫걸음 교실, 체험교실, 탐구교실, 테마교실 등 4단계로 이루어지며,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 난이도에 따라 사고를 키워나간다.수업 내용은 천문학 강의 외에도 토론 및 만들기 실습도 함께 진행된다.
천체망원경과 3층 옥상에 있는 천체관측 돔에서 행성과 별을 관측하는 시간도 있다. 날씨에 관계없이 흐린 날에도 실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별자리를 관측하지 못했을 경우 맑은 날을 정해 관측 보강이 이루어진다.
정규 수업 외에 일일체험 수업도 있으니 홈페이지를 통해 커리큘럼을 확인하고 신청하면 된다. 별과 행성, 우주에 관심이 많은 어린 학생들에게 천문학적인 지적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다.

⊙ 봉영사(남양주시)


- 홈페이지
http://www.bongyoungsa.org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2로 84-77

* 조선시대 왕실의 원찰 중 하나, 봉영사 *

봉영사(奉永寺)는 경기도 남양주시 천점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원찰(願刹)이란 다른 말로 원당(願堂)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원(願)을 빌어주는 곳을 말한다. 불교국가였던 고려와는 달리 조선은 유교를 국시(國是)로 하는 “배불숭유(排佛崇儒)”정책을 일관되게 지속하여 불교를 배척하였다. 하지만 유교가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치관이나 규범 등에 치우칠 뿐 사람들이 가지는 사후세계에 대한 불안과 현실의 고통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죽은 자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게하고, 자신들의 복을 빌어줄 곳은 불교밖에는 없다고 여기는 백성들은 불교를 계속 신봉하였다. 또한 왕실이나 양반들도 개인적으로는 원찰을 만들어 조상의 영혼을 위로하고 자신의 복을 빌었다.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서울의 봉은사, 안성의 청룡사,화성의 용주사, 남양주의 봉선사와 흥국사 등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왕실의 원찰이다. 봉영사도 이와 같은 원찰의 하나입니다. 봉영사 입구에 보면 순강원(順康園)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순강원은 훗날 인조(仁祖)의 할머니가 되시는 선조의 후궁 인빈(仁嬪) 김씨의 묘소이다. 이렇게 순강원의 원찰로 지정된 봉영사는 절 이름까지도 봉인암(奉仁庵)에서 “순강원을 오래도록 받든다”는 뜻으로 봉영사로 바뀌게 된다.

* 봉영사의 유래 *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창건하고 봉인암(奉仁庵)이라고 불렀다. 이후 조선 중기까지의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737년(영조 13) 태전(太顚)과 해청(海淸)·치학(致學)이 중창하였다. 인근에 선조의 후궁이었던 인빈(仁嬪) 김씨의 묘와 그의 둘째아들 신성군(信城君:?∼1592)의 묘가 있는데, 1755년(영조 31) 묘역을 순강원(順康園)으로 꾸미면서 이 절을 인빈김씨와 신성군의 명복을 기원하는 원찰로 삼았다. 순강원이 들어서면서 재실과 신도비·정자각이 세워졌으며, 절 이름도 봉영사로 바뀌었다. 이 때 절에 토지 10결을 내려 설날과 추석 등 명절에도 제사를 지내게 했다.


⊙ 흥국사(남양주)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별내동)

흥국사는 남양주시 별내면 수락산의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 봉선사의 말사다. 599년(진평왕 21년) 원광(圓光)법사가 창건했고 처음에는 절 이름을 수락사(水落寺)라고 했다. 그 이후의 내력은 한동안 끊겼다가, 1568년(선조 1년)에 이르러 선조가 그의 아버지인 덕흥대원군의 원당(願堂)을 이곳에 지으면서 '흥덕사(興德寺)'라는 편액을 하사했다.그 뒤 1626년(인조 4)에 절 이름이 지금의 흥국사로 바뀌었다고 한다. 흥국사는 조선중기 이후 왕실의 원당으로서 발전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는 봉은사, 봉선사, 용주사, 백련사 등과 함께 오규정소(五糾正所) 가운데 한 사찰로 선정되면서 사격(寺格)이 더욱 높아지기도 했다. 오규정소는 나라에서 임명한 관리들이 머물면서 왕실의 안녕을 비는 동시에 관할 사찰들을 관리하던 곳이다. 절 안에 법당 지붕보다 높은 향나무가 있어서 눈길을 끈다.

* 흥국사의 역사와 볼거리 *

1818년(순조 18) 요사채 대부분이 소실되었는데, 4년 후 왕명에 따라 기허(騎虛)가 대웅전과 법당 등을 중건했다. 1878년(고종 15)에는 다시 소실된 것을 용암(庸庵)이 중건하였는데, 이곳에 덕흥대군의 묘소가 있으므로 흔히 ‘덕절’이라고 부른다.경내에는 현재 정면 3칸, 측면 3칸인 팔작지붕의 대웅전과 영산전(靈山殿)·만월보전(滿月寶殿)·독성전(獨聖殿)·시왕전(十王殿)·산신전 등이 있다.


⊙ 우석헌자연사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geomuseum.org

-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강로 1095

1988년에 설립된 남산서울타워 수석·광물전시관을 모체로 2003년 12월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서울·경기지역 유일의 지질전문자연사박물관으로 설립되었다. 2005년에 문화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령의 경력인정대상기관으로 등록되었으며, 다양한 특별기획 전시와 유익한 학습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의 탐구심을 채워주는 생동하는 교육현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어여쁜 돌의 집, 우석헌 *
우석헌(愚石軒)은 '어여쁜 돌의 집'이라는 뜻으로 광물, 암석, 화석을 중심으로 한 지질 전문 자연사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이 돌들에 담겨있는 무한한 과학 발전의 가능성을 담고 있으며, 세계 도처에 산재한 화석, 광물, 암석 산지를 직접 탐방, 최고의 가치와 학술적 의미를 지닌 다양한 표본을 수집하여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 교류하고 있다. 생명의 역사관, 지구과학관, 동물 생태관, 특별전시관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전시관에는 진본화석, 광물, 암석, 운석, 해양관련표본 등의 희귀 자연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