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강 용정권역 어울마당 야영장

728x170

보성강 용정권역 어울마당 야영장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보성강로 356-30

보성 IC와 가까운 보성강 용정 권역 어울 마당은 녹차의 고향답게 녹차밭이 있는 캠핑장이다. 오토캠핑장 10 사이트, 일반 캠핑장 16 사이트, 펜션은 5실이 준비되어 있다. 광장, 회의실, 식당이 있고 매점에서는 과자, 음료, 주류, 부탄가스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쓰레기는 쓰레기봉투를 구입한 뒤 지정된 곳에 버려야 한다. 보성강과 접해 있는 캠핑장이라 낚시가 가능하고 산책로, 명상의 길 등이 있어 자연 안에서 깊은 힐링을 즐길 수 있다. 계절에 상관없이 따뜻한 물이 잘 나오는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는 추위에 민감한 사람들이 가을, 겨울에도 편안하게 캠핑장을 이용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 여름, 가을, 겨울

- 문의및안내
061-853-2999

- 쉬는날
평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불가

- 예약안내
전화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익일11:00

- 주차시설
가능

- 주차요금
무료





◎ 이용요금
40,000원~5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전화 문의 요망



◎ 부대시설
전기, 장작판매, 온수, 트램폴린, 놀이터, 산책로, 운동장, 운동시설, 족구장, 펜션



◎ 주요시설
안전시설 설비사항 소화기 22개, 방화수 3개, 화재감지기 6개





보성강용정권역어울마당야영장_5보성강용정권역어울마당야영장_4보성강용정권역어울마당야영장_3보성강용정권역어울마당야영장_2



◎ 주위 관광 정보

⊙ 용산서원(보성)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덕림리

용산서원은 보성출신의 죽천 박광전(竹川 朴光前)을 제향 했던 곳으로,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84년 복원사업이 진행되었다. 이 서원의 창설은 1607년 죽천의 학덕과 충의를 평소 흠모하였던 이 지방유림들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특히 건원 시에는 죽천의 문인으로 문명이 높았던 우산 안방준(牛山 安邦俊)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여 지는데, 1607년(선조 40) 그는 <건원통문建院通文>을 작성하여 열읍과 유림에게 전하는 한편 실제로 정길(鄭佶)을 비롯한 도내사림들의 협조를 얻어 서원을 건립하였다. 이로부터 2년 뒤인1610년(광해군 2)에는 광해군이 왕세자시절 그의 사부였던 죽천에게 증정원좌승지겸 경연참찬관을 증직하였고, 가묘에 예관을 보내어 치제致祭하기도 하였다. 창건 이후 100여년이 지난 1705년(숙종 31)에는 호남유생 임치당 등이 용산서원에 사액을 청하는 청액소를 올렸다. 당시 청액의 이유로는 우선 이미 건립된 지 100여년이 경과하여 제향하여 왔다는 점과 다른 設處가 없다는 점, 그리고 학덕과 행의가 사림의 추앙을 받을 만 하다는 사실이 지적되었고, 당시 조정에서는 예조판서 조태채가 주선하여 사액의 지명을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 선액이 된 것은 2년 뒤인 1707년(숙종 33)이었으며 이는 당시 용산서원의 원장이었던 권상하, 이만성, 신임, 김흥경, 이재, 조연빈 등의 합계가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이후 한차례의 중수가 있었는데 죽천의 7대손인 박벽덕과 윤종의의 <용산서원중수상량문>이 그 사정을 알려주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가 없다. 아마도 이때는 죽천의 묘지명찬(1738년), 문집완성(윤봉조書, 1739년), 묘표찬(윤봉구撰, 1748년) 등 일련의 사업들이 이뤄지던 시기가 지나고 1809년 문집이 중헌되던 어간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후 1871년 훼철될 때까지의 특기할 연혁은 확인되지 않으며, 다만 1809년(순조 9)에 이루어진 죽천문집의 목판각주와1834년(순조 34)의 청액소와 이에 의한 증직 및 문강이란 익호 하액(1841) 등이 주목된다.


⊙ 삼우당충선공강성군부민후 문익점 부조묘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도개2길 21 (미력면)

고려말에 목화씨를 들여와 우리나라에 보급한 분으로 널리 알려진 문익점을 모신 사당이다. 문익점의 부조묘는 1398년(태조 7년)에 경상도 단천에 세웠었다. 문익점의 사손이 끊겨 외손인 합천이씨가 관리해 왔는데 1592년 임진왜란시에 불타버리고 말았다. 그 후 철종 5년(1854년)에 남평문씨 후손들과 유림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위치에다 부조묘를 옮겨와 복설하였다. 1963년에 후손들이 돈을 모아 사우를 중수하였고, 1986년 에는 후손들이 관리위원회를 조직하고 헌금을 모아 중수하였다. 이 부조묘는 1988년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골기와 건물인 사당과 내삼문을 갖추고 있다. 사당에는「부인후묘」라는 현판이, 내삼문에는「충신문」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 보성문화원


- 홈페이지
http://boseongcultural.or.kr/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송재로 281-11

1967.7월 설립되어 현재까지 7대에 걸쳐 있으며,기구는 사무국과 이사회가 있다. 중점사업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책 홍보 향토문화예술의 개발 진흥, 전통문화의 발굴 보존 및 계승, 향토지 및 지방문화사업자료 편간, 향토사회교육, 국내외 문화단체와의 제휴 협력 등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