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용인시] 숲속에안뜰

728x170

숲속에안뜰


- 홈페이지
http://yongincamp.com/default/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원양로 250-23

숲속의안뜰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 외곽에 위치한 캠핑장으로 도심과 멀지 않은 곳에서 힐링할 수 있다. 2개의 캠핑구역에 16개 사이트와 3개의 펜션이 준비되어 있다. 넓은 공간에 적은 수의 사이트로 조용하고 안락한 캠핑을 즐길 수 있고, 캠핑장 바로 앞에 저수지와 산이 있어 자연을 느끼고 휴식과 재충전을 할 수 있다. 주변관광지로는 에버랜드와 용인농촌테마파크 등이 있다.


※ 소개 정보
- 개장기간
봄,여름,가을,겨울

- 문의및안내
010-6639-6701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4:00~익일 12:00

- 주차시설
가능





◎ 이용요금
50,000원~250,000원
※ 이용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부대시설
전기,무선인터넷,장작판매,온수,놀이터,산책로



◎ 주요시설
소화기:25





숲속에안뜰 전경1숲속에안뜰 전경2숲속에안뜰 전경3숲속에안뜰 전경4



◎ 주위 관광 정보

⊙ 용담저수지


- 홈페이지
https://www.yongin.go.kr/tour/index.do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용담저수지 둘레길은 용담 태교 둘레길이라고도 부르는 곳으로 둘레길 총 길이는 4.1km이다.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 정도이며, 가볍게 산책하기 딱 좋다. 용담저수지에는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여러 곳 있고 깨끗한 화장실도 잘 갖춰져 있어서 이용하기 편리하다. 둘레길 주변에는 카페, 용인 농촌테마파크, 농도원목장 등도 있어 연계하여 관광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산책을 하면 차를 타고 다닐 때 보지 못했던 것들을 더 자세히 보고 듣고 또 냄새를 맡을 수 있다.

⊙ 사암리선돌


- 홈페이지
https://www.yongin.go.kr/tour/index.do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일반적으로 선돌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걸쳐 이루어진 유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까지도 마을의 수호신격으로 신성시되어 민간신앙의 대상이로 여겨져 왔는데 이는 사암리 선돌이 마을입구 정동향을 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선돌이 3 개 이상 나란히 배치된 예는 드문 편으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민간신앙의 숭배 대상물로써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 용담태교둘레길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govlrodtnr/221388574636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용인 8경으로 이름난 용담저수지, 이 저수지 주변으로는 ‘용담태교둘레길’이라는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용인은 태교도시로 유명한데, 이 용담저수지 태교둘레길은 엄마들과 아기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에서 진행한 사업 중의 하나이다. 이전에는 걸을 수 없었던 저수지 수문주변에 목교와 데크가 설치되어 4.1km 구간의 안락한 산책로가 만들어졌다. 벤치가 군데군데 놓인 예쁜 이 길은 계절마다 들꽃들이 지천으로 피어 호숫가의 절경을 만들어낸다.

⊙ 용담낚시터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원양로 382-2

낚시터를 이용하면 낚시터 앞 공터에 타프와 텐트를 무료로 칠 수 있다. 다양한 위치의 방갈로와 좌대, 잔교를 운영한다. 396,694 m² 에 이르는 넓은 수 면적의 용담저수지는 조깅 및 트레킹, 산책이 가능한 둘레길이 있다. 평지형 저수지라 수심은 1m~3m 사이이다. 서울과 가까운 경기도 용인시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수상 방갈로까지는 관리인이 보트로 옮겨준다. 관리실 내부 매점에서 미끼나 찌 등 낚시용품을 살 수 있다. 잔교에서는 4칸 이하 낚싯대 4대까지 허용, 노지에서는 칸수 제한 없이 10대까지 허용한다.

⊙ 내동마을 연꽃단지


- 홈페이지
http://blog.naver.com/govlrodtnr/221318407784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내동로23번길 6 내동마을회관

용담저수지 둘레길을 지나 농촌체험테마파크 방향으로 시골길을 20분 정도 걷다보면 끝없이 펼쳐지는 연밭을 만나게 된다.연꽃들은 활짝 필 7~8월을 기다리며 연잎만이 파랗게 연못을 메우고 있다.연꽃하면 빼놓을 수 없는 개구리 왕눈이도 연밭을 지키고 있다.이 내동마을 연꽃단지는 내동마을 주민들과 푸른 농촌 희망 찾기 프로젝트가 함께 만든 꽃밭이다.매년 여름이면 화사한 꽃을 피워내 농촌의 관광 자원으로써 아름다운 모습을 드러냈는데, 겨울이면 이 연밭의 꽁꽁 언 물을 이용해 눈썰매장도 운영한다.


⊙ 팡팡캠핑장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동부로 1041

서울에서 가까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동부로에 위치한 팡팡캠핑장은 울창한 나무숲과 전원주택지에 있는 캠핑장이다. 팡팡캠핑장은 문수봉 아래 와우정사 드라이브 코스에 있는데, 캠핑장은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캠핑사이트는 2층과 3층이다. 파쇄석을 기본으로 8m×8m 11개가 있다. 펜션을 신축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캠핑장 공용시설은 깨끗하고, 소모품들도 잘 갖춰져 있다. 관리실은 매점과 같이 운영하며 어린이 캠퍼를 위한 트램펄린도 있다. 소형견 출입이 가능해 도시와 가까운 캠핑장에서 반려동물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 용인 농경문화전시관


- 홈페이지
https://www.yongin.go.kr/yitour/index.do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농촌파크로 80-1

연면적 1,425㎡로 경사지인 자연지형에 순응하는 형태로 용인 농업의 미래상을 담아 첨단과학, 기술혁신, 세계 인류라는 목표를 모티브로 비상하는 용인시를 형상화하였다. 중앙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전통건물인 경희루의 피로티를 연상시키는 옥외전시관 위로 비상의 이미지를 형상화환 주전시관을 배치했다. 내부시설로는 전시홀, 영상실, 농경문화관, 경사로의 농가월령가, 미래농업관, 기획전시실, 농산물 홍보코너, 수장고가 있고, 환경시설로는 잔디마당, 소공연장, 만남의 마당 등 다양한 공간을 연출하였다. "낳는 것은 하늘이고 기르는 것은 땅이며, 키우는 것은 사람이다."라는 다산 정약용의 고어와 같이 천·지·인의 조화를 주제로 용인농경역사와 전통농가의 삶을 표현하고 미래 과학농업을 전개하여 농업·농촌체험 교육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출처 : 농경문화전시관>


⊙ 법륜사(용인 문수산)


- 홈페이지
용인 문수산 법륜사 http://www.beomnyunsa.or.kr
법륜사 템플스테이 http://www.beomnyunsa.or.kr/templestay/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농촌파크로 126

법륜사는 경기도 용인시 문수산 기슭에 있는 관음성지 발원기도 도량이다. 현재 대웅전을 비롯해 극락보전, 관음전, 비구니 선원, 삼성각, 조사전, 범종각, 요사채 등이 여법하고 당당하게 자리하고 있다. 위용이 있는 130평의 대웅전은 남방불교 양식의 아(亞)자 복개형으로 민족의 영산 백두산 자생 홍송으로 건축되었으며, 본존불로 석굴암 부처님의 3배 규모인 53톤 중량의 석조 석가모니 부처님을, 좌우보처로 석조 문수 보현 보살상을 33톤 규모로 모시고 있으며, 좌측벽면에는 불법을 호지하는 104위 신중님과 동진보안보살상을 우측에는 1250불보살님을 봉안하여 찾는 이들의 신심을 더욱 고취시키고 있다.

상륜 큰스님은 "법륜사가 비구니 스님들의 선지(禪地)이자 이천만 불자들의 관음성지로 자리매김 하기를 기원한다." 하시고 "공부하는 사람은 삼계에서 애착하는 일들을 몽땅 털어버려야 하니 털끝만큼이라도 애착이 남아 있으면 그것은 아직 공부가 덜 된 것이다."는 유훈을 남기셨다. 현암 주지스님 부임이후 용인시의 대표사찰로 만들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매일 기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경기도 문화재 자료인 통일신라 하대의 삼층석탑을 보유하고 있다.

⊙ 법륜사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농촌파크로 126

용인 문수산 자락에 위치한 법륜사 (대한불교조계종)는 2005년 비구니 원로스님인 무아당 상륜 스님이 창건한 수행정진 도량이다. 대웅전, 극락보전, 관음전, 조사전, 삼성각, 범종각, 오사채 등이 있으며 대웅전에는 세계 최대 석불이 모셔져 있다. 휴식형, 체험형, 당일형 등 다양한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는데 2019년에는 템플스테이 최우수 사찰로 선정되기도 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