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산자락길
- 홈페이지
https://www.daegu.go.kr/cts/
-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용두2길 43
앞산 자락길은 대구광역시 남구 고산골 메타세쿼이아 길에서 달비골 청소년수련관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기존의 등산로와는 달리 앞산순환도로에서 일정 높이의 이격 거리를 두고 등고선을 따라 산자락부에 기존의 산책로와 오솔길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누구나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된 길이다. 앞산 자락길을 걷다 보면 고려태조 왕건의 유래와 관련 있는 전통사찰을 볼 수 있고 고산골에서 출발하면 메타세쿼이아길을 지나 과거 앞산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용두토성, 공룡발자국 및 지질자원(연흔·건열)을 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앞산공원관리소 053-803-5450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코스안내
고산골·강당골 → 큰골 은적사 → 케이블카 → 충혼탑 → 대덕문화전당 → 안지랑골 → 무당골 → 매자골 황룡사 → 대덕승마장 → 청소년수련원 → 상인배수지 → 달비골평안동산 → 달비골 청소년수련관
- 14km/6시간/편도코스
- 난이도 : 상
◎ 이용요금
무료
◎ 주위 관광 정보
⊙ 공룡공원
- 홈페이지
https://nam.daegu.kr/tour/index.do?menu_id=00003601
-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용두2길 43
대구광역시 남구의 앞산 고산골에 위치한 공룡공원에서는 실물과 비슷한 크기로 제작된 티라노사우루스와 스피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등의 공룡 모형을 만나 볼 수 있다. 공룡 주변에는 공룡알과 새끼공룡 등을 제작하여 포토존을 조성되어 있어 자유롭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안내판에 안내된 스마트폰 증강현실 콘텐츠 앱을 이용하면 공룡화석 생성과정을 영상으로 볼 수 있어 더욱 생생한 공룡 체험이 가능하다.
⊙ 고산골 메타쉐콰이어길
- 홈페이지
http://nam.daegu.kr
-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용두2길 43
대구광역시 남구는 연간 350만 명이 이용하는 앞산 공원 진입로인 고산골에 메타쉐콰이어 숲길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건강한 휴식을 제공하고 있다. 고산골 메타쉐콰이어 숲길은 메타쉐콰이어길과 앞산의 숲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는 명품거리로 사랑받고 있다. 신라말엽 왕실에 대를 이을 왕자가 없어 근심이 컸던 왕은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서쪽으로 수 백 리 되는 곳에 절을 짓고 정성을 다하면 소원이 이루어진다 하여 지금의 고산골에 절을 짓고 그 이름을 ‘고산사’라 하였다. 이듬해 왕비가 백일기도를 드리고 왕자를 낳자 왕은 대단히 기뻐하여 고산사에 3층 석탑을 세웠다. 고산골이란 명칭은 이 고산사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산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지금의 법장사가 재건되었다. 이곳은 맨발산책로, 공룡공원, 앞산전망대 등 볼거리가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이공제비 및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 홈페이지
https://www.suseong.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 117 (상동)
대구의 신천이 흐르는 둔치 주변 이서공원에 한 채의 비각 안에 서 있는 3기의 비이다. 왼쪽에 있는 것은 이공제비로, 대구판관을 지낸 이서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주민들이 세운 것이다. 당시 대구는 하천이 중심부로 흘러 홍수 때마다 큰 피해를 당하였다. 조선 정조 즉위년(1776) 대구판관으로 부임해 온 이서는 주민들의 어려움을 알고 1778년 자기의 재산을 털어 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리게 하였다. 홍수의 피해에서 벗어난 주민들은 새로 만든 냇물을 신천이라 부르고, 제방의 명칭도 이공제라 한 후 정조 21년(1797)에 이 비를 세워 그를 기렸다. 원래 수성교 서쪽 제방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자리를 잡았다. 가운데에 있는 비는 옆의 이공제비가 초라하여 그의 업적을 영원히 기리는 의미로 순조 5년(1805)에 다시 세운 것이다. 오른쪽에 서 있는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는 광무 3년 (1899)에 세운 비로, 고종 때 대구수령으로 있던 이범선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1898년 큰 홍수가 일어나 이공제의 하류 부분이 파손되어 대구읍성이 위험하게 되자, 이범선은 빠른 기간에 보수공사를 완성하여 주민들의 근심을 덜어주었다. 이에 보답하고자 광무 3년(1899) 이곳 주민들이 비를 세웠다. 매년 정월 대보름에는 덕수이씨 종친회 주관으로 향사를 지내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법장사(대구)
-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고산3길 96-4 (봉덕동)
법장사는 대구 사람들에게는 '앞산'이라고 불리는 대덕산 고산골 깊은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는 고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며, 창건 연대 및 중창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았지만 구전 및 현존하는 유물로 보아 신라 말기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다.
전해지는 창건 설화는 신라 말의 한 왕이 대를 이을 왕자가 없던 차에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서쪽으로 수백 리 되는 곳에 산 좋고 물 맑은 곳이 있으니 그 곳에 절을 짓고 정성을 다하면 소원을 이루리라”고 하였다. 이에 왕명을 받고 신하들이 보름 만에 고산골에 이르러 그 곳에 절을 짓고 고산사라 하였고 백일기도 후 왕비는 왕자를 낳고 이듬해에도 두번 째 왕자를 낳아 이를 기뻐한 왕은 고산사에 삼층석탑을 세우도록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고산사는 불에 타게되고 삼층탑만 남게 되었다. 그 뒤의 중창에 관한 역사는 전래되지 않지만 현재 이 절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산신각·요사채 등의 당우들이 있다. 법장사라는 이름은 중창 때 바뀐 것으로 추정되며, 1961년 새로 지은 절이다.
전설과 관련된 삼층석탑은 탑재(塔材)를 찾아서 최근에 복원한 것이다. 근처에 왕건의 전설이 있는 절로 안일사와 은적사가 있으며 대구에 해넘이 명소인 앞산 해넘이 전망대도 차로 5분 거리에 있다.
⊙ 봉산서원(대구)
- 홈페이지
https://www.suseong.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12길 70 (상동)
조선 영조 11년(1735년)에 후손들이 손린(孫遴) 선생의 사당을 지음으로써 시작되어 조선 순조 3년(1803년)에 봉산서원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러나 1864년 서원 훼철령으로 서원은 없어지고 1967년에 다시 강당을 지어 경모재(敬慕齋)라고 하였다. 그리고 1996년에 후손들의 노력으로 강당인 지행당(砥行堂), 동재 자리에 사당인 봉암사(鳳岩祠)와 서재인 송독재(誦讀齋)를 세우고 손린 선생을 기리는 유허비도 세웠다.
2009년에는 지행당이 낡아서 크게 수리였으며 건물의 배치와 크기를 보면 지행문이라고 쓴 외삼문인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오른편에 문탄 손선생유허비가 서 있고 맞은편에 강당이 있다. 이 강당에는 봉산서원과 지행당이라는 두 개의 현판이 붙어 있다.
(출처 : 행복수성 문화관광)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아르떼수성랜드
- 홈페이지
https://suseongland.co.k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42 (상동)
아르떼 수성 랜드는 대구 최초의 놀이공원으로 수성구 상동에 자리 잡고 있다.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는 12종류의 놀이 기구와 실내 아이스링크, 동물 먹이 주기 체험이 가능하고 제기차기, 팽이, 투호 던지기 등의 민속놀이도 할 수 있다. 비행기 카페, 전망대 가든, 바비큐 공간 등 다양한 시설을 별도로 갖춰 놓았고 피크닉 가든에서는 스몰 웨딩과 야외 웨딩, 돌잔치 회갑잔치, 기업행사나 체육대회를 할 수 있다. 시즌별로 다양한 문화 행사를 기획 중이고 체험이 가능한 목공예, 도예, 가죽공예, 식물공예, 켈리그라피 공방도 운영한다.
⊙ 아르떼수성랜드 아이스링크
- 홈페이지
https://suseongland.co.kr/ice_fee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동
대구 수성구 수성못 인근 아르떼수성랜드에 위치한 아르떼수성랜드아이스링크장은 이 놀이 동산에 자리한 실내아이스링크장으로 무더운 한여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바로 옆에 아르떼성수랜드와 수성못이 있어 자연에서 공원도 즐기고 아이스링크장에서 스케이팅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이곳 아르떼수성랜드는 바이킹, 범퍼카, 스윙거, 공중자전거를 비롯한 여러가지 놀이시설과 어린이 동물원을 포함한 어린이 모험놀이터, 어린이 실내놀이터 등 놀이시설들과 아르떼공예마을, 피크닉가든, 수성못전망대 등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피크닉장과는 별도로 BBQ하우스도 운영하는 수성구의 놀이공원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용지봉
- 홈페이지
https://enolja.com/t/yongjibong
- 용지봉
053-783-8558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9
용지봉은 대구의 대표 관광지 수성못 인근에 자리한 곳으로 위구이와 한정식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구이 한정식 전문점이다. 경상북도가 인증하고 영남대학교와 경북지역축협이 공동 개발한 참품 한우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토속 한정식과 참품 한우를 코스요리로 선택할 경우 더욱 뛰어난 맛을 느낄 수 있다. 고조리서를 연구하여 차려낸 우리 전통반가음식을 맛볼 수 있어 격식 있는 접대 혹은 상견례를 위해 많은 이들이 방문하고 있다.
⊙ 민수사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19
민수사는 대구의 맛집 거리로 유명한 들안길에 있는 생선 초밥 전문점이다. 주문과 함께 바로 초밥을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란, 연어, 도미, 광어, 참치, 성게알 등을 사용한 초밥과 덮밥, 튀김, 메로 소금구이 등이 함께 나오는 초밥 정식 메뉴가 인기이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수성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10) | 2025.08.14 |
---|---|
[대구 수성구] 아르떼수성랜드 아이스링크 (8) | 2025.08.14 |
[대구 달서구] 두류수영장 (6) | 2025.08.05 |
[대구 달서구] 이월드 83타워 아이스링크 (3) | 2025.07.25 |
[대구 수성구] 대구스타디움 (6) | 2025.07.22 |